승천의 뿔피리

유희왕의 함정 카드.

1 승천의 뿔피리

파일:Attachment/HornofHeaven.jpg

한글판 명칭승천의 뿔피리
일어판 명칭 昇(しょう) 天(てん)の 角(つの) 笛(ぶえ)[1]
영어판 명칭Horn of Heaven
카운터 함정
①: 자신 또는 상대가 몬스터를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특수 소환할 시기에,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일반 소환 / 반전 소환 / 특수 소환을 무효로 하고,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등장 부스터 팩은 강철의 습격자.

자신 필드 몬스터 1장을 코스트로 몬스터의 소환 자체를 무효로 하는 카드. 마궁의 뇌물과 더불어 신의 심판의 실질적 하위호환 카드.

모든 소환방식을 막는다는 점에서 강력하나 사실상 2대1 교환으로 좀 아쉬운 카드. 환상수기, 가제트슬라임 증식로같은 토큰덱, 로우 레벨덱처럼 전개력이 좋은 덱이거나, 소환 시 어드밴티지를 얻는 제왕 같은 몬스터들을 대항하는 용도로는 써볼만한 구석이 있기는 하지만....비슷한 카드로 중력붕괴, 방주의 선별이 있다.

뱀발이지만 자신이 소환한 몬스터의 소환도 막을 수 있다. 하지만 특정한 상황이 아니고서야 그 쓸일이 없다는게 문제. 그 외에는 릴리스를 통해 효과를 발동하는 성각 등과의 조합도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

최근에 피안덱에서 많이 채용이 되면서 주가가 많이 상승했다.

애니메이션에서 어둠의 유우기바쿠라 료와의 듀얼에서 사용했던 카드. 바쿠라의 식인 곤충의 효과에 의해 유우기의 친구들이 당할 위기에 처하자, 화염의 검사로 코스프레를 한 죠노우치 카츠야가 몸으로 직접 식인 곤충에 달려들어 식인 곤충이 친구들을 먹어치우기 전에 자신과 함께 식인 곤충을 없애달라고 유우기에게 부탁한다.

결국 유우기는 눈물을 머금고 승천의 뿔피리로 죠노우치를 제물로 바쳐, 식인 곤충을 해치우게 된다. 다행스럽게도 그 직후에 성스러운 마술사로 코스프레 했던 마자키 안즈가 묘지에서 퍼올린 죽은 자의 소생으로 범골을 소생시켰지만.

2 승천의 블랙 혼

파일:Attachment/BlackHornofHeaven.jpg

한글판 명칭승천의 블랙 혼
일어판 명칭 昇(しょう) 天(てん)の 黒角笛(ブラックホーン)
영어판 명칭Black Horn of Heaven
카운터 함정
①: 상대가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시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특수 소환을 무효로 하고,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사이버 다크의 격돌에서 등장한 승천의 뿔피리의 아종. 원래는 하위호환으로서 나온 카드였지만 일반적인 덱이라면 사실상 상위호환. 아무런 코스트도 없이 특수 소환을 무효로 한다는 점에서 굉장히 강력.

특히 요즈음 듀얼은 싱크로 소환/엑시즈 소환 등의 특수 소환이 판을 치고 있기 때문에 더욱더 강력하다. 그리고 소환성공 전이고 카운터함정이기 때문에 스타더스트 드래곤같은 효과발동몬스터도 그냥 묘지로 직행해야 한다.

퍼미션덱에 넣어도 충분히 강력하며 다른 덱이라도 사이드 덱에 1~2장 정도 넣어보아도 큰 손해는 아닐 것이다.

북미나 유럽쪽에서 이제 식물싱크로덱의 뒤를 이어 깡패덱에 등극한 토끼 라기아덱에 매우 강하다. 일단 이 덱의 핵심 몬스터인 라기아와 돌카의 소환을 원천봉쇄할 수 있다.

그 후 나온 벨즈,텔라의 주력 엑시즈를 원천봉쇄한다는점에서 주목받았으나 범용성이 약간 부족하고 2체이상을 막을 수 없어 펜듈럼 소환을 무력화 할 수 없어서 보기가 힘들다.

3 승천의 그레이트 혼

card100026347_1.jpg

한글판 명칭승천의 그레이트 혼
일어판 명칭 昇(しょう) 天(てん)の 剛角笛(グレイトホーン)
영어판 명칭Grand Horn of Heaven
카운터 함정
①: 상대 턴의 메인 페이즈에 상대가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시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특수 소환을 무효로 하고,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그 후, 상대는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하고, 상대 메인 페이즈를 종료한다.

디멘션 오브 카오스에서 등장한 새로운 승천의 뿔피리.

언뜻 보면 블랙 혼과 다를 게 없어 보이나 잘 보면 몬스터 1장에게만 발동할 수 있는 블랙 혼과는 달리 2장 이상의 특수 소환, 그러니까 펜듈럼 소환도 막을 수 있다. 또한 전례가 없었던 메인 페이즈을 강제 종료하는 효과를 들고 왔다. 여기서 배틀 페이즈 실행은 가능하기 때문에 공격을 받을 가능성도 있고 이후 메인 페이즈 2에 추가 전개를 할 가능성이 높지만, 도중에 전개가 끊긴 시점에서 그 턴에 예정했던 전투를 치르기는 어렵다. 그리고 지배자의 일괄이나 영혼의 동결 등의 배틀 페이즈 스킵 카드를 사용하면 상대는 아무것도 못한다.

하지만 이 카드의 치명적인 단점은 소환 무효 + 페이즈 강제종료에 대한 보상으로 상대방에게 1장 드로를 시켜준다는 것. 마궁의 뇌물이 노 코스트 마함 무효 효과에도 1장 드로우 페널티 대문에 실제 지위가 애매한 것처럼 드로우 1장 1장이 치명적인 유희왕에서 한번 전개를 끊었다고는 하지만 이 카드 때문에 역관광을 당할 가능성도 무시 못하므로, 채용률은 생각보다 높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실제 채용률은 준수한편. 특시 2015년 8월 현재 티어덱인 마제스펙터, EMEm, 마술사등 P소환을 하는 덱이 많아져서 사이드에 한두장정도 기용하는 모습이 보인다. 여차하면 메인덱에 한 장 정도 넣는 모습까지 보일 정도. 특히 상대의 드로우를 차단시킬 수 있는 마스크드 히어로 다크 로우를 사용하는 마스크드 히어로 덱은 3장 꾹꾹 채워넣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 카드의 발매 이후 얼마 가지 않아 신의 통고가 발매되는 바람에 채용률이 급락했다.

4 비고

세 카드 모두, 막을 수 있는 특수 소환은 어디까지나 체인을 타지 않는 특수 소환이다. 즉 사이버 드래곤이나 담드, 암흑계의 용신 그라파처럼 카드의 효과 발동이 아닌 바로 패/묘지에서 특수 소환되는 룰 소환[2], 필드 위의 몬스터를 덱으로 되돌리고 꺼내는 컨택트 융합(대표적인 예로 검투수 가이재러스엘리멘틀 히어로 네오스의 융합체), 싱크로 소환/엑시즈 소환/펜듈럼 소환(블랙혼 제외) 정도 뿐이다.

의식마법카드에 의한 의식소환, 융합을 통한 융합 소환, 카드의 효과로 인한 묘지 소생 등은 '특수 소환하는 효과'이기 때문에 막을 수 없다. 상기한 것들을 통한 특수 소환은 범용 마법/함정 무효화 카드 아니면 마함 파괴 카드(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에 의한 특수 소환 등)으로 막을 수 있다. 혹은 신의 경고와 같이 특수 소환을 포함하는 효과까지 막는 카드를 쓰자.

나락의 함정 속으로는 공격력 제한이 붙어 있지만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어도 '소환된 후 파괴'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이것보다 뛰어나서 준제한의 위치에 오른 것.

4.1 브레이크 스루

Breakthrough-JP-Anime-5D.png

한글판 명칭브레이크 스루
일어판 명칭防壁突破(ブレイクスルー)
영어판 명칭Breakthrough
일반 함정
배틀 페이즈 중에 특수 소환한 몬스터를 파괴한다.
브레이크스루 스킬과는 관계 없다. 잭 아틀라스가 사용한 애니메이션 카드. OCG화 되지는 않았다.
  1. 일본판 이름 때문에 '각적(つのぶえ)'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마찬가지로 블랙 혼은 흑각적, 그레이트 혼은 강각적 이라 부르기도 한다.
  2. 즉, 몬스터의 유발/기동 효과로 치는 효과에는 쓸 수 없다. 대표적으로 기동효과인 다크 시무르그나 유발 효과인 TG 워울프. 따라서 이런 애들한테는 이 카드를 못 쓰고 천벌을 때려주어야 한다. 또다른 예로 라이트펄서 드래곤은 다크 시무르그와 닮았지만 발동한다 라는 텍스트가 붙어 있지 않기 때문에 룰 소환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