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불교의 승려, 즉 스님의 일종. 여자 스님을 일컫는 말이다. 남자 승려는 비구라고 한다.
"걸식하는 여성"이라는 뜻의 말 "비크슈니(bhiksuni)", "비쿠니(bhikkhuni)"의 음역으로, "니(尼)"로 번역된다.
슈도다나 왕이 죽은 후, 석가모니의 이모이자 계모인 마하파자파티가 자신도 출가하게 해달라고 3번 호소했으나 거절당하자, 석가족 여인들 수백 명과 함께 화장과 장식을 치우고 삭발하여 노란 가사를 입고 맨발로 걸어와 눈물을 흘리면서 다시 호소했다. 그러나 석가모니는 묵묵부답이었다. 이를 지켜보던 아난다도 안타깝게 생각하여 석가모니에게 여성 출가를 허가해달라고 청했으나 거절당했다. 아난다가 "이 길을 따르면 여성도 깨달을 수 있습니까?" 하고 묻자, 석가모니는 "여성도 깨달을 수 있지만 세속의 애착[1]이 깊고 정법이 오래 머무르지 못한다"라고 대답하면서 8가지 법[2]을 지킨다면 출가를 허락하겠다고 말했다. 마하파자파티 역시 8가지 법을 평생 범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최초의 비구니가 되었다. 이후, 야쇼다라 부인을 비롯한 석가족의 부인들도 이를 따라 비구니가 되었다고 한다. 물론 비구가 계급을 따지지 않고 출가를 받아들인 것처럼, 석가족 말고도 다양한 계급의 여성들이 비구니가 되었다.
상좌부 불교에서는 비구니계가 중도에 단절된 탓에 비구니가 없어져 버렸다. 비구니계를 주기 위해서는 스승이 되는 다른 비구니가 필요한데, 전승하던 도중에 전멸(…)하는 바람에… 태국이나 미얀마 불교에는 정식 비구니는 아니지만 그 대신이라고 할 수 있는 여성 불교 수행자는 있다. 다만 미얀마의 경우 비구승과 여성 수행자간차별이 심하다.
현대에 들어 상좌부 불교에서 비구니 승단을 복구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1996년 12월에 한국이나 대만 등 북방불교 쪽 비구니들이 불교 성지 중 한 곳인 인도 공화국의 사르나트(녹야원) 사원에서 상좌부 불교권 여자들에게 계를 전했다. 하지만 이때 수계한 비구니 대부분은 본국에 있던 비구 승단이 이를 인정하지 않거나, 혹은 사람들이 배척하여 어려움에 처했고, 오직 스리랑카에서만 이렇게 받은 계를 인정하여 비구니 승단이 정착했다.
정말로 상좌부 율장에 따라 비구니 승단을 복구하려면 반드시 남자 승단, 즉 비구 승단에게 인정받아야만 한다. 상좌부 율장에서 비구니 계맥에 대해 먼저 수계 여성이 선배 비구니로부터 비구니계를 받고, 비구 승단에 가서 다시 한 번 비구니계를 받아야 한다고 규정하기 때문이다. 즉 비구들이 비구니계를 전해주지 않는다면 설령 대승 비구니 계맥을 받음 자체는 인정하더라도 반쪽짜리 전수가 된다. 하지만 주요 상좌부 불교권 국가 승단 중, 대승 비구니 계맥을 받음을 인정하여 승단으로 받아들인 나라는 스리랑카뿐이었다. 스리랑카에서도 원로 비구들 중에서 인정하지 못한 사람도 있었지만 그래도 전반적으로는 수용하는 쪽이었기 때문에 비구니 승단이 복구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스도교 계통의 수녀와는 달리 삭발이라 모에 요소로는 별로 각광받지 않는다. 간혹 모에물에 등장하는 비구니 캐릭터들도 수녀 이상으로 개조가 되어 있는 경우가 있지만, 현실의 비구니는 얄짤없다. 모두 머리를 밀고 참선에 매진하는 여성들이 대부분. 물론 애초에 종교계에서 조용히 자기수행을 하시는 분들을 모에요소 따위로 취급하는 것 자체가 예의가 아니므로, 당연하지만 여자 스님들 머리 가지고 밖에서 이딴 소리는 절대 하지 말자(...)
다만 일본의 경우 모든 경우에 삭발을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특히 귀족 출신 여성들이 출가하여 비구니가 되는 경우에는 머리를 어깨선쯤까지 자르는 정도로 인정받았다고 한다. 이 경우는 정말로 수행을 쌓기 위한 전업(?) 비구니가 아니라 남편이나 아들 등이 죽은 뒤의 관례적인 출가가 많았다. 삭발까지는 아니어도 일단 머리를 짧게 자르는 게 관행인 듯 하다. 그리고 수녀 비슷하게 머리카락이 보이지 않게 하얀 천을 두르는 경우가 많이 보여서 나름 모에하다 사극 같은데 보면 출현이 잦다.[3] 물론 일본에서도 삭발한 비구니 역시 존재하며 평소에는 가발 쓰고 다니다가 절 안에서만 민머리를 드러내는 분들도 있다.
천태종 비구니는 머리를 자르기만 해도 된다. 허리까지 기르는 것은 안되고 머리카락을 동그랗게 말아서 모자를 이용해 가린다. 사실 경전 때문에 그런 것은 아니고 음양을 구분하기 위한 유교의 영향 때문에 그렇다. 천태종의 비구니가 머리를 자르는 정도에 그쳐도 되게 한 원인은 상월 스님[4].
한국에서 1984년 김지미 주연으로 임권택 감독의 <비구니>라는 영화가 제작되기도 했으나 영화 촬영 중 실제 비구니들이 영화제작 반대시위를 하면서[5] 결국 영화 자체가 엎어지고 말았다. 아울러서 당시 촬영분도 어른의 사정으로 필름이 완전히 소실되었다고 한다.
2 비구니 캐릭터
삭발이 거의 없다
- 닥터 스트레인지(영화) - 에인션트 원
- 동방프로젝트 - 쿠모이 이치린, 히지리 뱌쿠렌[6]
- 머나먼 시공 속에서 3 - 카지와라 사쿠
- 무한의 주인 - 야오비쿠니
- 역전재판3 - 하자쿠라인 아야메, 비키니
- 응석부리지마의 히로인들 전원
- 이말년 서유기 - 압룡동 노마님[7]
- 전국 란스 - 케이코쿠
- 후궁견환전 - 한때의 견환, 완벽 그 외 정백, 막언 등
- Fate/EXTRA CCC - 셋쇼인 키아라
3 백석의 시 '여승'
여승(女僧)백석
여승(女僧)은 합장(合掌)을 하고 절을 했다
가지취의 내음새가 났다
쓸쓸한 낯이 옛날같이 늙었다
나는 불경(佛經)처럼 서러워졌다평안도의 어늬 산 깊은 금덤판
나는 파리한 여인(女人)에게서 옥수수를 샀다
여인(女人)은 나어리 딸아이를 따리며 가을밤같이 차게 울었다섶벌같이 나아간 지아비 기다려 십 년(十年)이 갔다
지아비는 돌아오지 않고
어린 딸은 도라지꽃이 좋아 돌무덤으로 갔다산(山)꿩도 설게 울은 슬픈 날이 있었다
산(山)절의 마당귀에 여인(女人)의 머리오리가 눈물방울과 같이 떨어진 날이 있었다.
여승의 남편은 집을 나갔고, 하나 밖에 없던 어린 나이의 딸은 일찍이 죽어 별다른 것 없는 돌무덤에 묻혀 완전히 무너진 가정에서 여자는 머리를 깎고 출가를 선택해 세상에 단절된 곳으로 귀의한 여승의 서러움을 표현한 작품이다. 그리고 수능특강에 나오면 수험생들이 어려워서 눈물을 흘린다
- ↑ 모성애, 자식에 대한 집착 등 세속의 애착
- ↑ 이 법을 간단히 요약하자면 '비구니는 비구에게 순종하고, 비구보다 더 오랫동안 검증을 거쳐서 정식 승려가 되고, 죄를 저지르면 더 오랫동안 참회해야 하며, 비구니는 비구의 죄를 들어 말해서는 아니 되지만 비구는 비구니의 죄를 들어 말할 수 있다'는 것.
- ↑ 그런데 모 일본 영화에서는 이런 천을 두른 비구니가 등장해서 으레 머리가 있겠거니 예상했는데, 천을 벗었더니 삭발머리여서 나름 비주얼적으로 충격(..)을 주었다.
- ↑ 공식 호칭은 상월원각대조사. 현대에 들어서 천태종단을 재건한 스님. 다만 현 천태종단이 고려 시대로부터의 맥을 그대로 이은 것은 아니고 직접적인 맥은 일본에 가 있다. 그리고 현행 천태종단은 유교적 질서의 분위기가 강하게 풍기는 편이다. 불교에 관심 많은 외국인이 교환학생으로 와서 저거 유교 아니냐고 따지기도 했다(...)
- ↑ 기생이 비구니가 된다는 스토리에 불교계가 들고 일어났다.
- ↑ 둘 다 장발이다
- ↑ 삼장을 잊기 위해 머리를 밀어버리고 불교에 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