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대

1 전례복의 일종

1.1 개요

한자: 領帶
라틴어: Stola
영어: Stole
에스페란토: Stolo

성직자가 성무를 집행할 때 착용하는 전례복의 한 종류로, 에 걸치면 무릎 아래까지 내려오는 좁고 긴 띠. 유래는 고대 동방의 장식용 목도리유대인손수건으로 보인다.

1.2 가톨릭성공회

왼쪽은 사제용, 오른쪽은 부제용

원래는 부제들이 명예를 표시하는 휘장으로 사용했으며, 공식적인 사용은 6세기부터 이루어졌다. 시간이 흘러 부제는 왼편 어깨에서 오른쪽 옆구리로 비스듬히 걸치는 식으로 바뀌었고, 목에 걸어 상체 부분에 위치한 띠로 고정시키는 방식은 주교사제용이 되었다. 그나마도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에는 나란히 늘어뜨리는 방식은 주교만 가능했고 일반 사제는 X자로 교차해 허리에 고정시키게 되어 있었다. 사제가 미사를 집전할 때는 이 위에 제의를 입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

전례력에 따라 바뀌는 영대의 색은 제의에 맞추며, 당연히 그 의미도 제의와 것과 같다. 항목 참고. 또한 언제 어디서나 고해성사나 병자성사를 할 수 있도록 하체로 넘어오지 않을 정도로 작게 만들어진 휴대용 영대도 있다. 고해성사 시 착용하는 영대는 사제가 하느님의 대리인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색은 통회와 보속을 뜻하는 보라색. 또한 세례성사, 축성, 성체강복, 병자성사 시 착용하는 영대는 흰색이다.

20543C6D0A2853AEBB732553AEBB67.jpg

영대는 착용자로 하여금 성직자로서의 거룩한 권한과 의무감을 부여하게 만드는 의미가 있다. 또한 사제는 영대를 착용하며 "주님, 주님께 봉헌하기에 합당치 못하오나, 원죄의 타락으로 잃은 불사 불멸의 영대를 저에게 도로 주시니, 영원한 즐거움을 누리게 하소서"라고 기도한다.

성공회의 사제가 영대를 착용하는 기본원리 역시 가톨릭과 크게 다르지 않다.

1.3 정교회

에피트라힐리온(ἐπιτραχήλιον, epitrachelion)이라고 불린다. 보제가 착용하는 영대와 사제나 주교가 착용하는 영대 모양이 다 다르고, 착용방법도 각 나라별 정교회마다 차이가 있다고 한다.

1.4 개신교

목사감독이 착용하며, 영대란 말보다는 영어인 '스톨'을 더 많이 쓴다. 주로 목사 안수식에서 볼 수 있으며, 안수 목사가 새 목사에게 안수를 준 뒤 스톨을 걸쳐주면 의식이 완료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이쪽은 중세의 대학 교수나 법관의 복장과 흡사하다.

대체적인 개신교에서도 교회력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착용한다.

2 영남대학교의 약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