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의

한자: 祭衣
라틴어이탈리아어: Casula
영어: Chasuble
독일어: Kasel
에스페란토: Kazublo

1 개요

전례복 중의 하나로 제일 마지막에 입는 겉옷이다. 가톨릭정교회 같은 보편교회는 물론이요, 성공회루터교회, 일부 미국 감리교회 같은 개신교에서도 으레 착용한다[1]. 정교회에서의 제의는 따로 펠로니온(Phelonion)이라고 한다.

로마전례서 337항에 의하면 사제는 제의를 미사나 그와 관련된 거룩한 의식 때 영대와 장백의 위에 착용해야 한다고 나와 있다. 영대와 같이 제의도 전례의 형태에 따른 색깔을 따라야 한다. 또한 사제가 죽으면 제의를 수의로 입힌다.

제의는 로마 제국 후반에 여행용 복장으로 쓰였던 원통형의 판초에서 유래했다고 알려진다. 이 판초는 라틴어로 까술라(Casula) 혹은 '작은 집'으로 불렸는데, 모든 면이 무릎까지 닿고 팔부분에는 주름이 잡혀있어서 팔을 자유롭게 모을 수 있었다. 이것이 서방교회의 전례복으로 도입되면서 측면에서 접을 수 있도록 되었으며, 13세기 초반에는 제의의 측면을 조금 짧게 하는 경향이 있었다. 고로 지금의 형태를 띠게 된 건 15세기 이후이다.

제의는 시대별로 모양이 다르다. 전례복으로 채택된 이래로 16세기까지는 팔을 덮는 풍성한 형태의 제의가 등장했는데, 이런 형태를 고딕식 제의라 한다.[2] 19세기와 20세기 초반에는 팔부분을 움직일 수 있게 크기가 줄어들었으며 두 손을 모을 수 있도록 앞부분이 잘려나가 바이올린꼴로 만들어졌는데, 이런 형태를 로마식 제의라 한다.

▲ 고딕식 제의. 이 제의를 입은 사람은 교황 프란치스코.
▲ 이제는 구경하기 힘들어진 로마식 제의. 왼쪽은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3], 오른쪽은 교황 베네딕토 16세.
Vadersergistandhart.jpg
정교회의 제의인 펠로니온.

2 전례력에 따른 제의의 색깔들

사제미사를 집전할 때 전례력을 따져 전례법에 의해 지시된 색의 제의를 맞춰 입어야 한다.

1446641645x1935249572.jpg
사진의 제의는 세미고딕식 제의인데 성 야고보식 제의라고도하고 새발의 형태를 닮았다고 해서 새발제의라고도 불린다.
색상용도상징
녹색연중시기. 곧 주님 공현 후 주일부터 사순시기 전까지, 성령 강림 후 주일부터 대림시기 전까지의 성무일도 및 미사생명의 희열, 희망
흰색성탄·부활주일, 성모 마리아와 천사들의 축일, 수난주일 외의 예수 그리스도 관련 축일, 순교자가 아닌 성인의 축일, 모든 성인의 날(11월 1일)[4]·세례자 요한(6월 24일)·사도 요한(12월 27일)·사도 베드로의 주교좌(2월 22일)·사도 바오로의 개종(1월 25일) 축일의 성무일도 및 미사, 한국 가톨릭 한정으로 위령미사, 장례미사기쁨, 부활의 영광
홍색예수수난주일, 성금요일, 성령강림 대축일, 십자가 현양 축일, 순교성인의 축일, 사도들과 복음사가들의 축일, 각종 기념일 등사랑, 고통과 순교의 피
자색대림시기 중 제1~2주일, 사순시기, 위령 성무일도, 위령미사통회, 보속
장미색대림시기 중 제3주일 혹은 사순 제 4주일고통과 기쁨으로 가는 단계
황금색각종 축일 기념미사의 스케일이 클 경우 입는다.환희
흑색서양의 위령미사, 장례미사에서 가끔 입는다.슬픔, 죽음
  1. 기타 개신교회, 특히 장로교에서 목사들이 입는 검은색 옷은 제의가 아니다. 종교개혁 당시 법관들이 입었던 법복에서 유래된 "가운"이다. 이 가운은 따로 이름이 없으나, 속칭 "제네바 가운"이라고 불린다.
  2. 양팔 부분이 정통 고딕식 제의에 비해 다소 짧은 것은 '세미고딕'이라고 한다.
  3. 김 추기경이 사제서품을 받은 직후, 어머니(서중하 마르티나)와 함께 찍은 사진.
  4. 이 날 전야제가 바로 할로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