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스운자

e스포츠 관련 용어.

1 용어의 뜻

e스포츠, 특히 스타크래프트계에서 스타리그, MSL, GSL 등의 개인리그 우승자들이 우승하고 난 후 활약이 미미할때 쓰이는 단어, 언어유희.

10-11 시즌 중에 열렸던 개인리그인 박카스 스타리그 2010 우승자 정명훈피디팝 MSL 우승자 신동원이 프로리그에서 죽을 쑤자 이 용어가 생겨났다.[1] 참고로 10-11시즌 초반에 개인리그에서 우승, 준우승한 선수는 모두 우승, 준우승 후의 프로리그 성적이 좋지 않다. 하위 호환으로 우스운자가 있으며, 마찬가지로 준우승 이후 성적이 좋지 못한 선수에게 사용된다.[2]

우승 후보로 꼽혔거나 우승을 호언장담하다가 예능이나 OME를 보여주며 바닥에서 헤매는 팀이나 선수를 가리키는 용어로 웃음후보가 있는데 어쨌든 이미 우승을 해낸 우스운자와는 의미가 다르다.더 안습 웃음후보는 e스포츠에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타 스포츠에서도 많이 쓰이는 표현으로 주로 야구에서 쓰인다.

스타크래프트 2로 넘어오면서 GSL에서 우승은 했으나 이후로 코드 S에 오래 머물지 못 하면 우스운자로 취급한다. 그 기간의 기준은 정확하게 잡혀 있지 않았으나 우스운자에 있는 정지훈안상원, 권태훈 모두 우승하고 난 후 두 시즌을 버티지 못했기에 대략 2~3시즌 정도로 잡혔다. 준우스운자의 경우에는 더 주관성이 강한데, 일단 꾸준하게 몇 시즌 버티지 못하면 준우스운자로 보는 편이었다. 이 부분은 객관적으로 정하기 위해서 의견을 나눌 필요가 있으므로 차후 수정바람.

참고로 스타리그에서는 오래전부터 전 시즌 우승자가 16강 정도에서 광탈해버리는, 소위 우승자 징크스라는 것이 있었다. 이 징크스를 깨고 다음 리그에서 연속으로 우승을 한 선수가 스타리그 역사를 통틀어서 3명[3]뿐일 정도.

개인리그뿐만 아니라 아예 팀 단위로도 징크스가 생기는 경우도 많다.

2 우스운자 개인 목록

  • GSL
    • 정지훈 : 우승 직후 열린 블리자드컵으로 인해 우승 자체가 묻힌 데다 이후 리그 성적도 수직 낙하. 결국 코드 B까지 떨어지고 만다. 허나 군단의 심장 전환 후, JOGUNSHOP GSL 코드 S 8강에 진출 성공하면서 장장 9시즌만에 8강 복귀, 부활의 신호탄만 쏘았다. 그러나 2014년 이후로 좋은 성적을 내고 있고 프리미어리그 준우승까지 하는등 슬럼프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이고있다. 2014년만 해도 4강을 3번이나 가고, 준우승까지 하며 사실상 우스운자에서 벗어났다고 보면 된다.[4]문제는 해외에서 기록한 성적이라서 그런지 아직도 한국에선 우스운자 취급을 받고있다.... 그리고 2015 HOT6 GSL Season 3에서 최성일에게 3대0으로 완패하면서 다시금 우스운자의 낙인이 찍히고 말았다.
    • 안상원: 2012 무슈제이 GSL Season 3 우승 이후 연패를 거듭하다 차차기 시즌SAB라인에 등극하고 말았다. 이후로는 개인리그, 팀리그 가릴 것 없이 부진...그 이후 2014 HOT6 GSL Season 1 코드A에 복귀하지만 찻잔 속 폭풍으로 끝나 다시 예선으로 내려갔다.
    • 권태훈: 우승 이후, 우승자라고 하기에는 멘탈이 약한 건지 실력이 줄어든 것인지 알 수 없게 되다가 그러니까 스막화됐다고 MANGOSIX GSL 승강전에서 '16강도 못가본 반쯤 듣보'와 '폼 떨어진 티원저그 1인자(…)'와 멘탈 붕괴 게임을 플레이하며 코드 A로 가버리게 된다. 그리고 결국 2013년 5월 1일 조성호에게 패하면서 코드B로 떨어지고, 우스운자가 돼버리고 만다.각종족 사기시절에 우스운자 한 명씩 돋네 돋아

여담으로 정지훈, 안상원, 권태훈 모두 테란, 토스, 저그 유저다. 그 셋이 PC방의 나락으로 떨어지면서 급기야 이런 추모곡도 나왔다.

  • WCS
    • 다비드 모스케토: 2015 WCS Season 3에서 우승했는데, WCS 역사상 첫 외국인 우승자라 엄청난 기대와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WCS 글로벌 파이널 16강에서 광탈한 뒤, 트인낭으로 어그로를 잔뜩 끌어 모든걸 망쳐놓았다. 공허의 유산을 집중하겠다고 선언했으나 정작 최근 모든 공허의 유산 리그에서 광탈하는 금자탑을 달성중이다. 그리고 오버워치로 전향을 선언하여 은퇴한다.

3 팀 목록

  • 롤챔스
    • 나진 블랙 소드 : 2013 롤챔스 윈터 우승이후 롤챔스 8강 탈락 롤챔스 16강 탈락을 하고 말았다 다만 NLB에서 연속 우승을 하면서 시즌3 롤드컵에 갈 수 있는 서킷을 벌어 윈터우승 하나덕택에 롤드컵 간다고 비난을 받았다. 다만 롤드컵에서 어그로는 조별 예선에서 탈락한 삼성 갤럭시 오존이 끌어가고 소드 자체도 새로운 미드와 함께 괜찮은 활약을 보여줘 다음 시즌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그러나 그다음 롤챔스에서도 16강 탈락을 하고 말았고 리빌딩 그러나 리빌당한 첫 롤챔스에서도 연속 16강 탈락을 했다. 그나마 다시 리빌딩을 거친 2014 롤챔스 서머에서 다시 8강에 가서 부활의 신호탄을 쏘았다.
    • KT 롤스터 애로우즈 : 2014 롤챔스 서머 우승이후 2주일 뒤에 열린 시즌4 롤드컵 선발전에서 나진 실드에게 3대0으로 패배하면서 시즌 4 롤드컵에서 각 지역 서머시즌 우승자 중에 유일하게 오지 못했다.C9이 플옵 4위 하면 어떤 면에서는 위로가 될지도... 그리고 C9은 무난히 롤드컵에 진출했다 만약 윈터시즌에서 다시 기세를 올리면 "방심해서 그랬네" 정도에서 끝나겠지만 윈터시즌까지 망한다면 이 문단은 여기에서 웃음후보로 옮겨질 수도(...). 근데 챔스는 아니여도 역시 서킷 포인트가 달린 대회인 NLB 서머 우승자이자 디펜딩 챔피언인 SKT K도 못 올라오면서 재평가가 필요해졌다.(...)그래도 NLB 우승자랑 롤챔스 우승자를 같은 라인에 놓고 비교하는 것은... 그리고 카카오와 루키가 팀을 나가면서 우승의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에 팀이 공중분해 되어버렸다. 그리고 2015년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룰 중에 '롤챔스 서머 우승팀은 해당 시즌 롤드컵 직행'이라는 규정이 생기면서..
  • The International
    • 모든 우승자팀 : TI에서 우승한 모든 팀들은 그 이후로는 하나같이 맥을 못추리고 팀 자체가 뒤흔들어지는 징크스가 발생한다. 초대 우승팀인 Na'Vi는 그나마 이후 Ti 2, 3를 준우승까지 가긴 했지만, 그 이후로는 점점 나락을 걷다가 팀의 기둥을 담당하던 Puppey가 빠져나가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리빌딩을 거치다 거쳐 아예 팀이 공중분해돼버릴 뻔한적도 있었다. IG는 그나마 사정은 좀 나았지만 그래도 어딘가 애매한 위치에 서다가 결국 팀이 대규모 리빌딩으로 완전히 공중분해됐다. 얼라이언스는 나비와 다를게 없는 신세이며, Newbee는 우승팀중 최단기 퇴물팀이 돼버렸다. 마지막으로 EG는 그나마 좀 선전하다가 미드 및 캐리를 담당하던 아티지,서포터로서 슈퍼 세이브를 하던 유니버스가 탈단하게 돼서 지금은 맥도 못추리는 중이다. 지금까지 5개의 우승팀 모두 우승 이후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으며 이따금씩 회생하는 모습도 보이지만 그것도 얼마못간다.

4 준우스운자 목록

  • 롤챔스
    • 나진 화이트 실드: 2014년 스프링 시즌을 준우승을 하면서 확실하게 강호로 분류되었으나, 선수들의 좁은 챔프폭 문제로 서머 시즌에서 3무로 탈락 위기로까지 내몰린다. 다행히 형제팀 소드가 실드를 제외한 모든 팀을 잡아주면서 조 2위로 올라가나 서머 시즌 대회 우승자인 KT 애로우즈와의 8강전에서 승승패패패라로 역전을 당하면서 NLB로 강등되었다. 그리고 NLB 4강전에서 더 이상의 자비는 없다 형제팀에게 3:0으로 완패하면서 이 항목에 등극할 뻔 했으나... 2주만에 열린 롤드컵 선발전에서 8강전에서 만났던 우승자 KT 애로우즈를 이 항목으로 넘겨버리더니 결국 한국에 있는 롤드컵 마지막 티켓을 거머쥐는 데 성공한다. 하지만 롤드컵 본선에서 조별예선 내내 불안한 경기력을 보여준 끝에 8강에서 중국 팀들 중 가장 안습한 모습을 보이던 OMG에게 무려 3대0으로 셧아웃 당하면서 다시 이 항목에 등극하고 말았다. 과연 재평가의 롤판
  1. 정작 신동원은 우승 이후 양대리그 4강을 찍어서 논란을 잠재웠다.
  2. 신동원과 차명환이 우스운자, 준우스운자 콤비로 불렸었다.
  3. 2001년에 임요환(한빛소프트배, 코카콜라배)과 이제동(2009년에 바투, 박카스 스타리그 2009), 허영무(2011년 진에어 스타리그, 2012년 tving 스타리그 2012). 종족별로 1명씩이다.
  4. 모두 프리미어리그에서 기록한 성적이다!
  5. 여기서의 1승카드란 더도 덜도 말고 딱 1승만 한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