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디드니 학살사건

Wounded Knee Massacre
600px

1 설명

miniconjou.jpg
인디언 전쟁의 마지막에 벌어진 일로 1890년 12월 29일, 미 육군 제7기병연대 500여 명이 운디드니 내와 그 근처 언덕에서 저지른 북아메리카 원주민 대학살 사건. 이 사건으로 추장 큰발(Big Foot)을 비롯한 전사, 노인, 여자와 어린아이들이 포함된 350명의 수우 족 중 300명가량이 목숨을 잃었다.

GhostDancePainting-400.jpg
1889년 자신들을 보호하고 부족의 죽음과 영토의 강탈, 파괴된 생활방식으로 얼룩진 자신들의 현재의 삶을 애도하고 이는 천국의 삶으로 바뀔 것이라는 믿음을 표현하기 위해 원주민들은 큰 발 추장 등을 중심으로 영혼의 춤(Ghost Dance)이라는 새로운 영적인 운동을 전개했다. 미 정부는 이 영혼의 춤을 백인 개척민을 두렵게 만드는 악마적인 의식이며 자신들에 대한 불복종이라는 이유로 금지하였다.

knee06.jpg
그래서 원주민들은 1890년 영혼의 춤을 포기한 상태였고 폐렴을 앓고 있던 큰발 추장이 자신을 따르는 미네콘주 라코타(수우) 지파와 함께 미국 백인들과 그나마 가깝게 지내던 붉은 구름(Red Cloud)에게 도움을 받기 위하여 그가 있는 곳으로 피난하려 하였다. 하지만 그들이 영혼의 춤을 포기한 것을 몰랐던 미 육군은 이들을 검거하기 위해 포사이스 육군대령이 인솔하는 제7기병연대를 보냈고 이들은 항복하였다. 그리고 미 육군은 이들을 보호구역으로 보내기 위한 목적으로 운디드니 냇가에 천막을 친 350명 정도의 수우 족을 감시하고 있었다. 큰발 추장도 치료를 요청하자 군의관을 부르겠다며 기다리게 했다.

2 전개

그런데 수우족의 무기를 수거하려는 미 육군과 이에 저항하는 수우족 전사들 사이에 다툼이 벌어지던 과정에서 검은 코요테(Black Coyote. 정확히는 그로 추정되는)라는 귀머거리 원주민이 자신의 무기를 백인 병사에게 건내주려고 하지않고 총을 쏘아 미군 병사에게 부상을 입혔다. 이로 인해 미 육군은 원주민들이 공격한다며 천막 안에 있던 원주민들에게 무차별적인 사격을 가했고 대포와 기관포까지 쏘아대었다.

10031292_burial.jpg
결국 백인 병사들은 피신처를 찾아 근처 언덕 너머로 도망간 원주민 대다수를 쫓아가서 죽였고 남은 50명에게 부상을 입혔다. 당시 원주민들이 지니고 있던 무기의 대부분은 활과 화살이었다.[1] 미 육군에게 살육당한 대다수가 여자와 어린아이들이었다. 크나큰 환란 속에서 큰발 추장도 죽었다. 눈발이 흩날렸다. 백인 병사들은 죽은 원주민들의 시신 위에 쌓인 눈을 걷어낸 뒤 시체를 구덩이에 던져버렸고 일당으로 2달러씩이나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그들은 부상을 입은 원주민들도 치료해달라고 했지만 무시하고 일부러 눈보라 치는 마차에 방치해서 몇 명이 얼어 죽었다. 당시 의사로 있던 수우족 출신 오히예사Ohíye S’a[2]와 그의 아내 엘레인 구달(Elaine Goodale)은 병사들의 이러한 잔혹성에 대하여 강력하게 항의하여 살아남은 부상자들을 데리고 와 보호구역 안의 교회에서 치료했다.

그리고 다음날 다른 원주민들과 함께 운디드니에 간 백인 병사들은 그곳에서 늙은 장님 여인과 한 여자아기(Zintkala Nuni(진트칼라 누니, 잃어버린 작은 새 Little Lost Bird))가 살아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 여자아이는 백인인 육군 장군에게 입양되었다. 그녀는 양부모로부터 사랑을 받았고 백인으로 자라도록 키워졌으나, 그녀는 대다수의 백인들로부터 차별을 받았고 동포들에게도 받아들여지지 못하여 불행한 삶을 살았다.

3 평가

언뜻 생각해도 이 학살은 그야말로 처참하다. 당연하게도 원주민들은 백인병졸들을 공격할 의사는 커녕 변변찮은 무기 밖에 가지지 못한 상태였다. 더불어 미군 측 피해자는 대부분 아군의 오인사격에 의한 것이었다는 것이 정설일 정도로 학살의 자행됐던 당시에 백인 병사들은 광기에 차 있었다. 활과 화승총과 같은 전근대적인 무기를 사용하여 근대식 장총과 기관총 그리고 대포로 무장한 부대에게 피해를 주려면 대오를 갖추고 왕성한 용력과 철처한 정신력을 갖춘 공격부대를 편성하여 야밤에 기습을 하거나 또는 기동력과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각개전투를 하며 급습하고 급하게 빠지는 전술이 필요하다 . 그런데 운디드니의 인디언 희생자들에 대한 기록물을 보면정황상 미 육군 측이 선제기습을 가했을 가능성이 높다. 한 마디로 미군 피해자들은 대부분 동료들의 팀킬

하지만 당시 기록화들에서는

이런 식으로 묘사되었고, 이 일로 20명의 미 육군 장병들에게는 명예 훈장이 국가로부터 주어졌다. 이것이 19세기 말을 살던 아메리카 대륙의 이민자 백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인인 원주민들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이었다. 그리고 오늘날에 이르러 원주민과 시민단체들이 명예 훈장에 대한 정당성에 있는 도덕적 문제를 지적하고 폐기되기를 요구하고 있지만 아직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3.1 운디드니 점거 사건

woundedkneeriflemen.jpg
그로부터 80여 년 후인 1973년 2월 27일, AIM(미국 인디언 운동) 소속의 오글라라 라코타 부족 200여 명이 운디드니 마을을 점거하고는 보호구역 내에서의 부정부패 조사 및 처벌, 그리고 원주민들의 열악한 실태에 대한 해결을 호소하였다. 하지만 연방 정부는 이들의 요구를 무시하며 '당장 항복해라 안그러면 진압한다'며 경고를 했다. 결국 71일간의 대치 끝에 연방군 육군이 일방적으로 협상을 깨고 인디언 사무국(BIA) 측의 사병(私兵)들과 함께 무력으로 이들을 소탕하였고, 또한 부정부패의 축으로 지목된 인디언 사무국 측에서 3년여에 걸쳐 폭력배를 사주하여 이에 동조한 원주민들을 살해하는 등 막장 행보가 이어졌다. FBI의 개입 의혹이 무성하지만, 연방 정부는 현재까지 이를 부정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이 과정에서 언론에 원주민들의 비참한 실상이 알려져, 원주민 인권에 대한 관점을 환기시켜주는 계기가 되었다.

4 관련 매체

9780684195124.jpg
이와 관련된 책으로는 <운디드니의 잃어버린 새: 라코타의 영혼Lost Bird of Wounded Knee: Spirit of the Lakota>이나
bury-my-hawk.jpg
<나를 운디드니에 묻어주오 Bury My Heart in Wounded Knee> 등이 있으며,
bury_my_heart_at_wounded_knee_ver3.jpg
<나를 운디드니에 묻어주오> #는 2007년 HBO 제작하에 TV영화화되기도 했다.

19730711-C09-17-Massacre-Wounded-Knee-South-Dakota.jpg
이 항목 상단에 있는 표지판과 비교해보자. 과거의 인식 은 이렇게 '전투(battle)'로 보았다. 그 위에 붉은 스프레이로 학살(massacre)이라 고쳐놓은 게 안타까움을 더한다.

미국에서도 20세기 들어서 (100여년이 되어서야) 제대로 관심을 받기 시작한 사건이라서 직접 다루는 매체는 적다. 하지만 보면 볼수록 씁쓸할 수 밖에 없던 사건이라서 그런지 소재로 사용되면 안 좋은 의미로 충격적인 효과가 있다. 나치의 홀로코스트 같은 사건에 비하면 알려진 규모만 적다 뿐이지, 이런 제노사이드는 근대 미국의 대표적인 흑역사라고 볼 수 있다. 단순히 생각해봐도, 2백여 년 간 수천만에 달하던 북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사라졌는데, 이런 사건이 운디드니에서만 있었을리가 없다(…).

  • 폴아웃

폴아웃:뉴 베가스비터 스프링스 학살은 운디드니에서 일어난 일을 모티브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피해자는 레이더 부족인 위대한 칸, 가해자는 뉴 캘리포니아 공화국이었다. 이 때문에 학살에 참가한 크레이그 부운은 회의감을 품고 제대했고, NCR은 위대한 칸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했으나 모하비 황무지의 여론이 나빠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러나 모티브가 된 사건과 달리, NCR의 학살 자체는 의도된 것이 아닌 일종의 사고였으며 뒤에 나오지만 이러한 사건의 근본 원인은 위대한 칸의 막장 짓거리 때문이었다. 애초에 NCR이 전쟁전 미국이나 엔클레이브같은 놈들이었으면 위대한 칸 전투원만 박살내려는 계획이 아닌 아예 위대한 칸 자체를 학살했을 가능성이 크고, 사과따윈 할리가 없을 것이다. 전쟁전 미국 정부가 시민들이 시위를 하면 그냥 쫓아내는 수준이 아닌, 아예 다 죽여버리거나 심지어 마루타로 잡아갔다는 걸 생각하면 NCR의 행동보다 온건하게 행동할 것이라는 보장따위는 없다. 특히 NCR은 공개적으로 사과라도 했다.

그리고 실제 아메리칸 원주민과 달리 위대한 칸 자체도 억울한 희생자는 아니다. 맨날 마약을 빨아가며 NCR의 민간인들을 살해하고 약탈하는 등 모하비 황무지에 온갖 범죄를 저지른지라 빡칠대로 빡친 NCR 군대가 위대한 칸을 토벌한 것이다. 비터 릇에게 이것에 대해 물어보면, 그의 원래 아버지가 맨날 약을 빨아가며 NCR 시민들을 저격하는데, 어른이고 아이고 가리지 않았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런데 뉴 캘리포니아 공화국의 공격이란게 지휘체계의 병크로 인해 학살이 되어버렸다는게 문제였지만. 그리고 아메리칸 원주민과 달리 위대한 칸은 모하비 황무지의 원주민도 아닌 그냥 황무지에 흘러들어와서 약탈이나 하는 레이더에 지나지 않았다. 솔직히 이 사건은 꼬시면 꼬셨지 운디드니 학살사건이랑 비교될 막장은 아니다. 자기네 사람들을 장난으로 마구 쏴죽이던 놈들을 상대로 사과라도 한게 어디인가?

현실의 수우족은 모든 저항을 포기하고 피난가던 중에 민속운동 좀 한 것인데, 이를 명령불복종으로 선언한 미군에게 붙잡혀서 변을 당한 것이다. 게다가 현실은 전투다운 전투도 없었고, 미군이 이미 항복한 민간인들에게 다짜고짜 기관총을 갈기고 돌격하다가 자기들끼리도 쏘아댔을 가능성이 높은 이뭐병스러운 학살이다. 민간인 살상작전은 유난히 아군에 의한 오사가 많다. PTSD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군인들도 기계나 로봇 혹은 사이코패스가 아닌 이상, 생존본능에 의한 전투활동이 아니라 순수한 제노사이드처럼 일방적인 살인행위를 벌일 때 엄청난 정신적 손상을 입는다. 때문에 민간인 학살은 대부분 마약/술을 이용한 심신미약 상태와 광신에 가까운 이데올로기가 결합되어야 한다. 이런 상태에서 군사작전처럼 고도의 전술활동을 실행하게 되면 당연히(...). 집단활동의 정밀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즉 팀킬의 향연 달리 보면, 운디드니 학살의 막장도는 검열 때문에 픽션으로 내기도 어려울 정도라고 생각할 수 있다.

  • 바이오쇼크

바이오쇼크 인피니트의 주인공 부커 드윗코넬리우스 슬레이트가 지휘하던 제 7 기병연대에 있었고, 이 운디드 니 사건으로 심한 PTSD를 앓게 된다. 또, 핵심 악역이라고 볼 수 있는 재커리 헤일 컴스탁은 이 사건에서 탄생했다.

  • 드라마

미국 드라마 How I Met Your Mother에서 Marshall이 할로윈 다음 날 광란의 밤을 보내고 집으로 돌아가는 사람중 포카혼타스 복장을 한 사람에게 "저 포카혼타스는 무릎이 다쳤네" 라고 말하고 까인다.

  • RED

가면라이더 스피리츠의 작가인 무라에다 켄이치의 만화로 주인공 레드는 운디르니 학살사건이 모티브인 학살에서 살아남은 사람으로 작품의 내용이 학살을 일으킨 블루의 기병대를 전멸시키기 위해 여행하는 내용이다.

  • Run To The Hills
영국 록밴드 아이언 메이든의 노래. 서부 '개척민'의 인디언 학살을 그린 노래다. 제목부터가 백인들의 학살로부터 살아남기위해 언덕으로 달려 빨리 도망가라(run to the hills, run for your lives)는 뜻.
  1. 왜냐면 총을 미군에게 전부 압수당했으니까.
  2. 찰스 이스트먼(Charles Eastman)으로도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