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

  • 이 항목은 WRD/스웨덴 으로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워게임 : 레드 드래곤 등장진영
BLUFOR - 북대서양 조약기구 및 협력국
미합중국
(USA)

미국
--
영 연방
(COMMONWEALTH)

영국

캐나다

ANZAC
유럽방위군
(EUROCORPS)

프랑스

서독
-
스칸디나비아 연합
(SCANDINAVIA)

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
청룡 연합
(BLUE DRAGONS)

남한

일본
-
북아메리카 항공우주 방위군
(NORAD)

미국

캐나다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유틀란트 지상군 동맹
(LANDJUT)

서독

덴마크
-
네덜란드-독일 연합 군단
(DUTCH-GERMAN CORPS)

서독

네덜란드
-
이스라엘 국방군
(ISRAEL DEFENSE FORCE)

이스라엘
--
연합 해군
NATO 연합해군
REDFOR - 바르샤바 조약기구 및 협력국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USSR)

소련
--
동구권 연합
(EASTERN BLOC)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적룡 연합
(RED DRAGONS)

북한

중국
-
발트 전선
(BALTIC FRONT)

핀란드

폴란드
-
협상국
(ENTENTE)

체코슬로바키아

유고슬라비아
-
연합 해군
PACT 연합해군

상위항목 : 워게임: 레드 드래곤

기존 유닛들 정보는 워게임 : 에어랜드 배틀/스웨덴 참조.

WRD스웨덴군 항목.

카테고리C는 갈색 볼드, 카테고리B는 녹색 볼드, 카테고리A는 검은색 볼드 처리되었다.

1 스웨덴 왕국 전투단

전작에서 말 그대로 순수 보병전만으로 보면 거의 최상위급이었던 국가. WRD에서도 자국제 항공기를 비롯해 스칸디나비아 연합 전력의 핵심을 책임진다. 스칸디나비아국가들의 추가유닛이 거의 수송헬기 정도라 인기가 다른 블루포 국가에 비해 상당히 딸리지만, 스웨덴만큼은 여전히 단독으로 싸우기에도 사정이 그렇게 열악하진 않다. 다만 RBS 56의 사정거리가 칼을 맞은 게 아쉽다.

DLC#3에서 기존의 약점이 상당히 보완되어, 3세대급 하이엔드 전차인 레오파르트2와 준수한 성능의 2세대 전차들이 대거 추가되어 튼실한 허리를 가진 기갑전력을 보유한 국가가 되었다. 또한 고성능 맨패즈 차량과 방공기관포, 최고급 포병유닛과 속사 박격포, 고성능 방공기이라고 쓰고 로리펜이라고 읽는다 등 전반적으로 스웨덴의 기존 특성이 골고루 강화되었다. 민간 헬기를 징발해오거나 지상발사형 암람을 쏘거나 함포를 떼어다 쏘는 방공포 따위를 가져온 이웃나라 노르웨이나 덴마크에 비한다면 컬트함은 부족하지만, 단독으로 싸우기 위한 범용성은 단연 스웨덴이 최강이다.

1.1 지휘(LOG)

1.1.1 지휘

  • 보병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ABSGRUPP.jpg
  • STABSGRUPP
북유럽의 어느 군밤장수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ABSTGB 1313.jpg
  • STABSTGB 1313
야지주행 100km/h로 폭주하는 지휘차량. 비슷한 속도의 지휘차량들이 110포인트인데 반해 5포인트 더 싸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RIPBV 3021.png
  • STRIPBV 3021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RIPBV 90.png
  • STRIPBV 90 -프로토타입
STRF9040의 지휘차량버전. 분명 유닛 모습에는 오토캐논이 달려있는데 무장 테이블엔 기관총만 달려있다. 자후 모델링을 수정할 것이라 했으나 감감무소식. 대신 가격이 130포인트로 인하되었다. 가격에 비해 튼실한 장갑을 갖추고 있어 어지간한 포격을 버티면서 지역 점령을 유지할 수 있다.
  • 지휘전차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RIPBV 103B.png
  • STRISTRV 103B
전차CV 업데이트 이후 가격이 하락하였다. 210->150

1.1.2 보급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FOB.png
  • FOB
전작과 동일하게 보급기지의 역할을 하는 곳. 그러나 한 슬롯당 1기만 배치가능하므로, 몇개의 보급기지를 놓기 위해서는 다른 슬롯에도 FOB를 추가해야 한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AMFIBIEBIL 101.png
  • AMFIBIEBIL 101

수륙양용 보급차량.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P93 SCANIA.png
  • P93 Scania

DLC에서 추가된 보급차량. 그럭저럭 쓸 만하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HKP 4A.png
  • HKP 4A
수송량이 딸랑 1000..알아서 잘 쓰자..

1.2 보병(INF)

  • 소총분대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HEMVARNSMAN.png
  • Hemvärnsmän - 예비군 - 프로토타입
들고 있는 소총이 옆동네 노르웨이 왕국 예비군의 크라그-요르겐센과 동일한 독일제 마우저 97식이라......그저 눈물 볼트액션 소총인데다가 숫자가 하도 많아서 시끄럽다. 평범한 예비군 아저씨들같아 보이지만 말이 마우저지, M14와 동일 스탯인데다가 15명이라서 좀비처럼 더럽게 안 죽는다. 거기다 예비군중에선 10포인트나 하는 비싼 예비군답게 대전차화기인 미니맨은 LAW 초기형보다 관통이 1 더 높다. 원래는 CQC기관총까지 휘두르는 미친 전투력을 자랑했지만 과연 너무한다고 생각했는지 노스 드래곤 DLC출시와 함께 삭제되었다. 예비군다운 기어가는 이동속도가 좀 문제다. 조금이 아니고 많이 시가지에서 네이팜이라도 맞으면 탈출을 못한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PANSAR.jpg
  • Pansarskytte - 정규보병
전작에서는 칼구스타프가 특별한(?) 무장이었지만 이번작에선 웬만하면 들고나오는 표준장비가 되었으므로...진짜 평범한 소총분대가 되었다. 스칸디 연합 덱에서 타국 소총수 유닛이 10포인트로 내려갔지만, 대전차 화기가 강해서 15원 그대로 남았다. 대보병 성능은 떨어지는 편.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PANASRSKYTTE 90.png
  • Pansarskytte '90 - 프로토타입
이유는 몰라도 칼M3대신 AT4를 들고 나온다. 이상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의외로 AT4는 사브제 물건이기 때문. 게임내에선 칼M3이 더 고급화기이기 때문에 스웨덴 유저입장에선 아쉬운 일. 대전차 명중률이 많이 떨어젔지만 연사가 2배로 올랐다. 마찬가지로 75년도와 같이 대보병 성능은 떨어진다. STRV9040의 사은품으로 자주 나온다.
  • 경보병
파일:Attachment/NORRLAN.jpg
  • Norrlandsjägare(DLC) - 충격보병
자국산 90mm무반동총의 사거리는 1575m로 제법 긴 편이지만 어쨌거나 무반동총이기에 화력은 LAW수준. 다만 무반동총의 보유탄이 12발로 넉넉한 편이고 무엇보다 15명이기 때문에 30포인트가 비싸다곤 할 순 없는 편. 여러모로 교도대의 상위호환이라 할 수 있다. 5포인트 트럭을 타고 나올 수 있는 몇 안되는 보병 중 하나.
  • 특수부대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KUSTJAGARE.png
  • Kustjägare
15인 분대라는 점에 힘입어 시가지에서는 스페츠나츠를 상대로도 이기는 괴물. 같은 특수부대 클래스인 스페츠나츠는 주화기인 AS-VAL, 기관총과 RPO를 더한 3종류의 무기를, 쿠스트야게레는 2종류의 무기를 들고 싸우는데 이긴다는 점을 생각하면 그야말로 공포. 명중률 80%의 전투소총을 장비하고 있기에 저격총을 연사한다는 평을 듣고 있다.북유럽의 어느 죽창병단대전차화기도 무난한 칼 구스타프 M2.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KUSTJAGARE 90.png
  • Kustjägare '90 - 프로토타입
대전차화기로서는 최정상급인 AP 25, 제압력 480[1]AT12-T#를 분당 20발이나 쏴댈 수 있는데, 멋 모르고 접근한 BMPT나 하이급 전차를 말 그대로 갈아버릴 수 있다. 심지어 IFV의 끝판왕인 서독의 마르더 2를 전면에서 일격으로 격파할 수 있다! 보병 전투력도 탁월한데, 전투소총을 장비하고 있는 75년형과는 달리 돌격소총을 장비하고 있기에 근접교전에서는 이 쪽이 조금 더 낫다.
  • 대전차 특기병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RBS56.jpg
  • Pvgrp RBS 56
전작에서 스웨덴의 명물이었던 유닛. 대전차 보병이 헬파이어급 미사일을 쏴댄다. 전작에선 프로토타입이었지만, 레드 드래곤에서 다시 프로토타입이 풀렸다. 가용량이 늘어난 대신 사거리가 2275m로 크게 칼을 맞았다. 그래도 여전히 상위권의 대전차 미사일. 이놈만 있으면 가증스러운 팩트 전차들의 머리통을 까 부술 수 있다. 그러나 AP가 26으로 매우 높은 대신 사거리가 2275m으로 미들급 이상의 전차 주포와 사거리가 같다는 점은 정찰로 식별되지 않아도 전차의 T 키를 이용한 공격으로 무력화될 수 있다는 치명적인 약점이다.
  • 대공 특기병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RBS70.jpg
  • Lvgrp RBS 70

가이드 타입 사거리 2625m. HE 4.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RBS90.jpg
  • Lvgrp RBS 90
GUID 특성이 붙은 대신 맨패드 중에서 미스트랄을 능가하는 최장사거리. 대헬기 2800미터, 대항공기 2240미터이다. 명중률은 이글라와 같고 미스트랄보다 5% 낮은 55%. WRD로 넘어오면서 프로토타입화가 풀려서 2카드유닛이 되었다. 덴마크의 스팅어C와 비교하면 명중률(70% 대 55%)과 고폭위력(5 대 4) 때문에 대항공기 능력에서는 떨어지지만, 대헬기 사거리 차이가 크기 때문에 대헬기 상대로는 더 낫다.
  • 전투공병
파일:Attachment/STORMPION.jpg
  • Stormpionjärer(DLC) - 정규보병
스웨덴에 추가된 전투공병. 10인분대에 SMG를 들고 오기 때문에 시가전에서 매우 강력하다. 하지만 네이팜 로켓이 아닌 화염방사기가 주무기다. 화염방사기로 공격시 땅에 불은 붙는데 불이 날아가는 모션이 보이지않는 버그가 있다. 패치되면 추가바람.

1.3 지원(SUP)

1.3.1 포병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AMOS.png
  • AMOS(AMOS) - 프로토타입
쌍열(!)포신을 가진 박격포이다. 2발을 한꺼번에 쏘기 때문에 화력이 좋다. 자주박격차량이지만 고급 자주포인 팔라딘이나 AS-90처럼 AP 14짜리 직사탄도 가지고 있는 게 특징. CV90 기반의 차체이기 때문에 어지간한 대포병 사격은 버틸 수 있는 장갑을 가지고 있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BKAN 1A.png
  • BKAN 1A
반드카논 1 시리즈. 휴대탄수 14발, 적은 탄수라고 생각할수도 있지만 이녀석은 한번에 14발을 전부 쏴버린다!! WRD에서 전체적으로 포병의 연사력이 감소한 상황에서도 여전한 속사력을 자랑한다. 그리고 이제 팩당 3대까지 가용가능. 즉 FOB를 3배씩 퍼먹으므로 BKAN을 적극적으로 굴릴거라면 여분의 FOB를 준비해두자. C형보다는 공산오차가 크지만, 그 점을 이용하여 적 보병이 건물을 옮겨타도 상관없이 광역 초토화를 하는 방식으로 운용할 수 있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BKAN 1C.png
  • BKAN 1C - 프로토타입
올 것이 왔다 BKAN 1A보다 10포인트 비싸고 탄착군이 대폭 좁아지고 조준속도도 빨라졌다. 정찰로 더욱 좁혀서 쏘면 범위 내의 경차량과 보병은 거의 초토화 되고, 3대가 뭉쳐서 단 30초 가량만 연사해도 맵에 커다란 검은 점(...)이 만들어지는 희한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이놈도 마찬가지로 FOB를 준비해야 한다.

1.3.2 방공

  • 방공기관포
    • 목측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LVKV fm43.png
  • LVKV fm/43
40mm 쌍열 대공포를 가진 목측식 방공차량. 문제는 먹는 연료에 비해 이동거리가 150km로 최악이다. 명중률도 10%대로 심각한 수준. 10포인트로 신병이 18대, 기간병 14대가 나오기 때문에 물량으로 극복해야 한다.
  • 레이더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VEAK 40.png
  • VEAK 40 - 프로토타입
게파르트/게파르트 A1과 같이 대헬기 사정거리 2800m로 상향. 문제는 STAT인 관계로...헬기 때려잡기에는 나쁘지 않다. 표기 사격수치는 451r/m으로 빠른데 이상하게 쏘는 거 보면 답답해보인다. 이것은 동시에 2발씩 발사해서 연사력이 절반으로 보이는 것이다. 701과 호크 사이의 사거리 간격을 메워 PACT의 ATGM 헬기에 대항하는 역할을 한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LVKV 90.png
  • Lvkv 90(Luftvärnskanonvagn)
STRF 90의 방공기관포 버전. 대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PS-95 레이더를 탑재했다. VEAK 40에 비해 고작 10포인트 비싼데 명중률이 60%나 되고, 기동 간 사격이 가능하다. 또한 고폭위력이 1이 아닌 1.5이기 때문에 Mi-24처럼 장갑을 두른 헬기도 쉽게 잡을 수 있으며, 지상 사거리가 1925인데다 관통력 3이 달려서 장갑차나 보병까지 갈아버린다. 그야말로 미니 오토매틱. 다만 이것은 지상에 쏘느라 계속 위치가 노출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부지런히 켜고 끄는 컨트롤을 해줄 필요가 있다.
  • 방공미사일
    • SACLOS - 이동식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ROVER RBS-70.png
  • Rover RBS-70 - 프로토타입
RBS-70의 차량 버전. 바로 밑의 RBS-90과 고작 5포인트 차이인데다 둘 다 프로토타입이라 도입년도 제한이라도 걸지 않는다면 굳이 이걸 쓸 이유는 없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ROVER RBS-90.png
  • RBS-90 - 프로토타입
상급 맨패즈인 RBS-90의 차량 버전. 가격이 35포인트로 매우 저렴하다. HE가 4고 명중률도 55%로 어벤저보다 낮은 대신 사거리가 2800미터라서 대헬기용으로 적합하고 차륜형이라 도로 이동 속도가 빠르다. 다만 F&F가 아니라 SA라는 것이 옥의 티. 또 위의 RBS-70 차량과는 달리 RBS-90이 듀얼런쳐여서 두 발씩 쏘고 장전한다.
  • SACLOS - 고정식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LVRBV 701.png
  • VLVRBV 701
RBS-70을 사용하는 맨패즈 장갑차. 무빙샷이 불가능하고 이동속도나 항속거리도 형편없지만 휴행탄수가 12발이나 되고 체력도 10이기 때문에 최전방의 증원지점에서 소환하거나 취약지역에 하나씩 뿌려놓는 용으로 쓰면 적당하다.
  • 레이더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RBS 67 HAWK.png
  • RBS 67 Hawk
I-호크가 아니라는 점에 주의. 스웨덴 단독 덱이면 어쩔 수 없이 영연방 덱에서 레이피어를 굴리듯이 쓰지만, 명중률이 40%...

1.4 전차(TNK)

  • 센츄리온 트리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RV 102.png
  • Strv 102
30포인트 초기형 센츄리온. 명중률 25%.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RV 102R.png
  • Strv 102R
35포인트. 개량형. 항속거리가 늘어났고 명중률이 50%로 올랐다. 문제는 화력이 여전히 구리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RV 104.png
  • Strv 104
전면이 10으로 왠지 고자같지만 포탑형 전차이고 45포인트짜리면서 103C와 같은 명중률인 55%라는 게 장점. 기동간 사격도 된다. 103C의 보조전력겸 소방수 정도의 의미. 스칸디 지원덱을 짤 경우 가장 강력한 전차이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RV 105.png
  • Strv 105 - 프로토타입
명중률이 70%나 된다. 레오파드 1A5와 비슷한 성능이지만 기동사격 명중률이 고작 40%라서 고정포대 신세를 면할 수 없다. 하지만 스칸디나비아에는 막강한 고정포대가 워낙 많아서(...) 기갑덱이 아니라면 묻힌다. 사이즈도 대형이라 숲에 숨겨도 불안하다.안쓰여서 묻히는사실이지만 뭔 마개조를 했는지 느려터진 원판 센츄리온보다 야지속도가 올라갔다.
  • 자국산 전차트리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RV 103B.png
103시리즈는 모두 자동장전장치를 장비하고 있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RV 103C.png
  • Strv 103C
성능은 그대론데 전작보다 오히려 포인트가 상승하는 불합리함을 겪고 있다. 사이즈는 스몰이지만...스칸디나비아의 안습한 기갑전력때문에 안쓸수도 없는 게 함정이다. 차라리 103b를 쓰고 장거리는 미사일 차량을 쓰는게 낫겟다!! 다만 발사속도가 15r/m으로 대단히 높고, 목고자라 달리며 쏘진못하지만 명중률과 관통이 포인트 대비 높아, 상대 스팸전차나 경장갑 차량에게는 사신과도 같은 위용을 뽐낸다. 다만 장갑이 고자고 포인트 대비 관통이 높다지만 얘는 80포인트다. 괜히 3세대 전차에게 개기다간 한대맞고 폭죽된다. STAT속성이 패치로 추가되어 이젠 후진 사격도 안된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RV 103D.png
  • Strv 103D
103C에 비해 전면장갑과 관통력, 명중률이 모두 상승하여 제법 쓸만해졌다. 특히 전면장갑 13과 15의 차이는 매우 크다.15와 17의 차이도 크지만 빠른 연사력을 이용하여 보병지원용으로 쓰기에도 좋으며 대전차전에서도 1대 버티고 2대 때리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사이즈가 소형이라는 점도 훌륭하다. 대신 속도가 느리고 목고자라 여전히 방어포대 신세이며, 공세작전에서 쓰기 어렵다. 특히 언덕 경사면을 넘는 등 지형에 고저차가 있는 전장의 경우 이동하고 공격하느라 차체 회전하고 하는 사이 터져버리는 상황이 나오기 때문에 평지에서 어깨를 맞대고 전진하는 게 좋다.
  • 레오파르트 트리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RV 121.png
스칸디나비아 연합의 하이엔드 전차. 여러모로 K1A1과 비슷하게 유리대포인데 AP와 전면이 1씩 더 높아 AP23이라는 엄청난 주포 위력을 자랑한다. 2팩으로 4대까지 나오며, 스웨덴 단독덱에서는 6대까지 굴릴 수 있다. 같은 가격의 트왈디와는 붙어볼 만하지만 자기보다 조금이라도 비싼 전차, 또는 ATGM이 달린 전차에게는 일방적으로 밀린다. 스칸디나비아에는 K1같이 좋은 몸빵도 없기 때문에 공격적으로 굴리기는 어렵고 구축전차처럼 숨어서 선빵을 날리는 식으로 쓰는 것이 좋다.

1.5 정찰(REC)

  • 보병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FALLSKARMS.jpg
칼 구스타프를 들고 나오는 평범한 정찰 보병이다.
  • 지프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L3304.png
  • L3304
  • 장갑차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EPBV 3022.png
  • EPBV 3022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EPVB 90.png
  • EPBV 90 - 프로토타입
강행정찰형 CV90. 본래 기관포로 무장하고 있었으나, 패치로 기관포를 잃는 대신 시야가 늘었다. 다만 모델링은 아직 수정되지 않았으므로 속지 않도록 주의.
  • 헬기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HKP 6A.png
  • HKP 6A

1.6 차량(VHC)

1.6.1 수송차량

  • 트럭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TGB 13.png
  • TGB 13
v21패치로 트럭이 지휘보병 전용탈것으로 돌아왔다. 5포인트.
  • 장륜 장갑차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TGB m42.png
  • TGB m/42
기관총 한자루 단 평범한 장갑차. 보병과의 싸움에선 그럭저럭 지원화력이 되어준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PATGB XA-180.png
  • PATGB XA-180 - 프로토타입
평범한 장륜장갑차같겠지만 이녀석이 추가되기전 이전 스웨덴군은 쓸만한 고속 장륜장갑차가 없었다.
  • 수송 차량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PBV 302A.png
  • PBV 302A
20mm 기관포를 장착한 장갑차로, 보통은 기관총정도로 무장하는 APC 치고는 살짝 중무장이지만 명중이 저질이다. 소련의 2A42와 비교하면 발사속도도 더 느리다. 실질적으로 IFV에 가까운 APC이고, 노르웨이의 NM135와 비교하면 뭔가 불합리하다는 생각이 드는 가격이지만 스웨덴에서 가장 싼 궤도형 수송차량이기 때문에 기계화 덱의 경우 울며 겨자 먹기로 써야 한다.
  • 대보병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TRF 9040.png
포럼에서 우스갯소리로 나오는 오토캐논교(...)의 신도중 하나(?). 40mm L/70 보포스는 IFV간 교전에서도 안 꿀리는 위력을 자랑한다. ATGM 안 달린 게 아쉬울 뿐. 게다가 전면장갑이 4. 다만 ATGM이 안달린것 치곤 너무 비싸서 브래들리에 익숙해진 지휘관이라면 멈칫하게된다. 어차피 25mm 부시마스터도 충분히 강하니..그래도 스웨덴덱 유저는 9040을 불러놓아서 후회할 일은 없다. 40밀리의 제압력하나는 확실하다.

1.6.2 Tank Destroyer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IKV 91.png
  • IKV 91
염가 구축차량. 가격에 걸맞는 위력의 주포와 기관총을 가지고 있어 나름 쓸만하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IKV 105.png
  • IKV 105
DLC#3에 추가된 관통력 16짜리 대전차포를 달고 있는 구축전차. 전면장갑은 고작 3이다. 가격이 35포인트로 저렴하며 명중률도 좋고 사이즈도 미디엄이기 때문에 여기저기 숨겨놓고 선빵을 날리는 용으로 쓰기에 적당하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PVTGB 9031 m77.png
  • PVTGB 9031 m/77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PVTGB 9031 m84.png
  • PVTGB 9031 m/84
  • 대전차 지프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PVTP JGB RBS-56.png
  • Pvpjtgb RBS-56
2275미터짜리 헬파이어의 차량 버전. 탱크와 사거리가 같은데다 체력도 5라서 미사일이 닿기 전에 반격으로 터지기 딱 좋다. 따라서 보병 ATGM처럼 여기저기 하나씩 뿌려놓기보다는 한 번에 2~3대씩 깔거나 고기방패를 동원할 필요가 있다.
  • 대전차 장갑차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PVRBV 551.png
  • PVRBV 551
흔한 나토 표준 I-TOW 셔틀. 그래도 기관총은 달고 있다.

1.6.3 화력지원차량

  • 주포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IKV 103.png
  • IKV 103
어째 나가리된 차량들만 여기오는듯한 느낌이 들면 지는거다

1.7 헬기(HEL)

1.7.1 수송헬기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HKP 3C.png
  • HKP 3C
Bell 204/205. 다른 국가들은 기관총 달고 명중률 25미만 에서 우왕거리고 있을때 혼자서만 기관총달고 명중률 40을 달고있는 무서운 수송헬기. 가히 하늘의 스나이퍼. 하지만 MG3과 비교하면 딸린다. 전작에선 게임내 유일한 5코스트 헬기였지만 자비심없이 10포인트로 올라버리고 말았다. 대신 일반 보병들도 이 녀석을 타고 다닐 수 있어 이득이었으나 스리슬쩍 이 녀석도 15포인트로 오르고 말았다.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HKP 4C.png
  • HKP 4C
CH-46. 특수부대 전용으로 새로 추가된 20포인트 헬기. 무장이 미니건이다.

1.7.2 공격헬기

  • 대전차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PVHKP 9A.png
  • PVHKP 9A
I-TOW를 운용하는 소형 대전차헬기. 크기가 아주 작음이다. 대신 4발밖에 안들어가지만...

1.8 항공(AIR)

스웨덴은 사브에서 자체제작한 전투기 시리즈를 대량으로 운용한다.
DLC3#에서 추가가 있었다.

  • 제공기 트리
    • 대공로켓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J 35D DRAKEN.png
  • J 35D Draken(J35)
도저히 써먹을 만 할 물건이 아니다. 무장인 대공로켓은 아예 적기의 꼬리를 잡고 있어도 사이드와인더만도 못한 딜량을 보여주며, 헬기를 상대로 쓰기에는 속도가 너무 빨라 1발 쏘기도 어렵다. HE 2의 로켓을 1초에 1발꼴로(분당 62발) 발사하는데 900km/h의 속도로 비행하기 때문에 로켓 사격 각이 나올 때 쯤이면 이미 다시 상승해야 하는 고도가 되는 것. 지상 유닛을 상대로는 로켓을 조준할 수 없기 때문에 헬기가 착륙해버리면 그대로 닭 쫓던 개 꼴이 된다는 점은 미사일과 같다.
  • IR+IR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J 35J DRAKEN.png
  • J 35J Draken

단거리 미사일을 2종류 장비하고 있어 근접전 화력이 좋을 것 같지만 명중률이 좋지 않고, 80포인트인데도 불구하고 ECM이 0%.

  • 반능동+IR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JA 37 VIGGEN.png
미들급 전투기. 시야가 좋고, 단거리 미사일의 명중률이 좋지 않지만 4발을 장비했다. 국가덱에서는 엘리트로 3기가 튀어나온다는 점이 무섭다. 운이 따라줄 경우 미들-하이급 제공기와 교환이 되기도 한다.
  • 레이더+IR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JAS-39 GRIPEN.png
암람 4발과 사이드와인더 2발을 탑재한 하이급 방공기. 선회력도 훌륭하고 ECM도 괜찮지만 하이급 전투기인 점을 감안하면 사이더와인더의 성능이 좋지 않다. 원거리전에 주력하는 것이 좋다. 로리펜의 무장이 너무 빈약하다 원래라면 고폭탄 몇개는 더들고 왔어야 하는것 아닌가 노르웨이덱에 F-16AM이 추가되었는데 별 차이 없지만 F-16AM의 기총이 더 우월하기 때문에 F-16AM을 쓰는 게 낫다.
여담이지만 그리펜의 도색이 원래의 투톤도색이 아닌 Su-47(...)의 도색을 닮았다.
  • 멀티롤
    • 로켓+IR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J 35F DRAKEN.png
  • J 35F Draken
Rb28 Falcon의 성능은 뭔가 약을 판 듯한 기분. 발사속도는 높다. 무려 99r/m. 허나 DLC3 들어서 팔콘이 철거되고 대신 135mm 대구경 로켓으로 개장하여 멀티롤기로 재분류 되었..다?
  • 대전차+IR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AJ 37 VIGGEN.png
  • AJ37 Viggen
미사일 2종류 다 F&F다. 대전차미사일인 Rb 75는 덴마크 F-16A MLU가 장비한 매버릭 D형과 비교했을 때 사거리는 3150m로 175m 더 짧고, 명중률은 40%로 10% 더 낮다. 10% 차이라지만 AGM이 상당히 안 맞는다. IR은 없는 것 보다 나은 수준인데, 용도에 맞게 대차량/대전차 용도로 쓰다 보면 프랑스의 쉬페르 에탕다르가 이것보다 10포인트 더 싸다는 점에 놀라게 된다.
  • 집속탄+IR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AJS 37 VIGGEN.png
  • AJS37 Viggen
450kg급 집속탄 '묠니르'를 운용한다. 집속탄은 집속탄인데 대체 무슨 짓을 해 놓은 건지, 전작에선 AP8, WRD에선 한술 더 떠 AP10이란 위력을 자랑한다. 묠니르란 이름에 부끄럽지 않은 화력. 제대로 맞으면 어떤 전차든지 죽는다.
  • 지상공격기
    • AGM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SK 60B.png
  • SK 60B
전작에선 좀 별종(?)이었지만 WRD에선 쉽게 볼 수 있게 된 HE미사일 2발무장. 일본의 F1등에 밀리는 안습한 면모가 있었지만 패치로 리파인되면서 레이저 가이드로 변경되고 탑어택을 때리게 되면서 기존 경장갑차량뿐만 아니라 MBT에도 상당한 데미지를 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다른 유도폭탄과 다르게 미사일형식이기 때문에 다른 미사일들보다 안전하게 공격할 수 있고, 착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대신 HE가 15에서 10으로, 제압이 600에서 400으로 내려갔다. 목표가 조금만(대략 30도 정도 이상) 정면에서 벗어나면 AGM이 이상한 방향으로 날아가버리니 주의. 목표에 정면으로 진입해야 한다.
  • 네이팜
파일:Attachment/워게임: 레드 드래곤/스웨덴/A 32A LANSEN.png
ECM이 없다...어차피 10%정도 붙어봤자 일회용 네이팜 배달기 신세인건 변함 없다
  1. VDV '90과 LStR-40이 사용하는 RPG-29 Vampyr가 AP 24, 제압력 420이다. RPG-29는 분당 10발인 대신 사거리가 175m 더 길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