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종(軍種) (준군사조직 포함) | |||||
일반 편성 | |||||
육군 | 해군 | 공군 | |||
특수 편성 | |||||
공공보건서비스부대 | 공공부대 | 공수부대 | 의무군 | 국가 헌병대 | |
국경경비대 | 내무군 | 민병대 | 방공군 | 사이버군 | 연합군 |
용병/PMC | 우주군 | 전략로켓군 | 군수군 | 친위대 | 통합군 |
특수작전군 | 합동군 | NOAA 파견부대 | 예비군 | 해안경비대 | 해병대 |
- 영어: Joint Medical Service
- 독일어: Zentraler Sanitätsdienst der Bundeswehr
1 개요
독일군과 벨기에군 등에 존재하는 군종이다. 완전히 새로운 군종은 아니고 육해공 소속의 의무부대들을 합쳐놓은 것이다.[1] 일본에서는 구호업무군이라 표현한다.
한국의 군대 표현을 따른다면 합동의무군이 적절할 것이다.
2 특성
2.1 독일군
부대 규모는 2만 명 수준이며 기존의 육군, 해군, 공군과는 별개로 의무군사령관의 지시를 받는다. 각 군의관이나 간호장교 등이 소속된 부대의 지휘관에게 짓눌리지 않고 의료견해를 제시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평가된다. 사령관의 경우에는 의무 병과 장교가 임명되며 진급 상한선은 중장이다. 국방참모총장의 경우에는 군수군이나 의무군에서는 올라갈 수가 없기 때문이다.
군복은 예하 장병들이 자기 출신군의 그것을 그대로 입는다.
2.2 벨기에군
인원은 2천명 수준이며 소장이 사령관으로 보임된다.
3 기타
미군의 연방공공보건서비스부대와 비슷해 보이지만 여기는 군인이 아니라 보건소가 할 일을 하는 곳이다.
의무군사령관은 대한민국 국군의 국군의무사령관과 비슷하지만 다른 점은 육군참모총장이나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등 각 군 최선임들과 동급으로 대우받는다는 것이다. 즉 별도의 군종으로 인정받는다는 것이다. 한국에서도 김록권 장군 시절에 의무사령관을 중장으로 보임함으로써 의무군처럼 국군의무사를 확대개편하는 방안을 고려하였으나 무위에 그쳤다.- ↑ 다만 항공의무나 잠수의무 등 특수한 경우는 해당 군종에 남겨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