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평화·재건사단

틀:군관련

download.blog?fhandle=YmxvZzEwNTkxNEBmczUudGlzdG9yeS5jb206L2F0dGFjaC8xLzAxMDAwMDAwMDE2MS5naWY%3D?.jpg

9.11테러로 촉발된 미국이 일으킨 이라크 전쟁에 한국이 파병을 결정하며 만들어진 부대로 이름인 자이툰은 아랍어올리브를 뜻하며, 평화를 상징하는 의미를 담고있다.

1 창설

대한민국 국회2003년 4월 2일 국군부대의 이라크전쟁 파견 동의안을 통과시켰다. 이에 대한민국 국군은 의료지원단인 제마부대와 건설지원단인 서희부대를 파병했으나, 미국 정부는 한국에 2003년 9월, 전쟁으로 파괴된 국가를 재건한다는 목적하에 더 많은 전력을 파병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요청을 받아들인 대한민국 정부는 2004년 2월 23일에 평화 유지와 재건을 임무로 하는 자이툰 부대를 8,000여명 가량의 사단으로서 창설되어 이라크 다국적군의 일원으로서 파병하였다.

대한민국에 적대적인 아랍 저항단체에서는 이 부대를 이라크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했으며 2004년 6월 한국인 김선일유일신과 성전이라는 테러단체에 납치되어 피살되었음에도 당시 정부는 이라크 철군을 거부했다. 한편으로 당시 미국 국방부 장관 레알 악의 축 도널드 럼즈펠드2004년 10월 10일 이 부대를 방문하여 격려하였고, 노무현 대통령12월 8일 이 부대를 전격 방문하였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여러분의 존재가 대한민국 외교에 큰 힘이 된다."는 입장을 내놨다.[1]

2 부대 규모

초기에는 사단 사령부와 사령부 직할대, 육군 제1100건설공병지원단 "서희"(2003년 4월 15일 창설)와 제320의료지원단 "제마", 그리고 각각 특전사 인원이 주축인 2개 민사(또는 재건지원)대대와 각 특공대에서 차출된 대원들로 구성된 1개 경비 대대, 그리고 장갑차 중대가 편성된 11 민사여단(111, 112 재건지원대대)과 12민사여단(121, 122 재건지원대대)으로 구성되었다. 사단 사령부의 경비는 해병대 지원병으로 구성된 1개 경비중대가 맡았다. 해군의무 병과UDT/SEAL 인원을 보냈다. 부대의 총 규모는 약 3,600여명이었다. 공군은 자이툰 부대와 독립된 제58항공수송단 "다이만" 부대를 편성, 자이툰 부대에 군수 및 병력을 공수하여 지원하였다.

2007년 12월 28일, 국군부대의 이라크 파견 연장 및 임무종결계획 동의안에 따라 1년 더 파병이 연장되면서 사령부 부서인 민사처가 민사협조본부로, 재건지원대대에 경비대대가 통합되었다. 병력 감축에 의해 650여명으로 줄어들었으나, 독자적인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소장 계급의 지휘관의 지휘를 받았다. 초대 사령관은 정보병과 출신의 육군소장 황의돈 장군이었다.

3 사고

대한민국 시간으로 2007년 5월 19일 오후 6시 45분경(오후 1시45분 현지시간) 자이툰 부대 오모 육군 중위가 영내에 있는 자이툰병원 의무대 이발소에서 총상을 입고 숨진 채 발견됐다. 그리고 국방부 조사본부는 2007년 6월 4일 타살이 아닌 자살로 결론을 내렸다.

자이툰 부대는 쿠르드인들에게 부지와 대부분의 건설 장비 등을 넘겨주고 2008년 12월 20일에 쿠르드 자치구 아르빌에서 철수하였다.

4 여담

34098905.1.jpg

2005년도에 이라크에 파병한 일본 육상자위대원들과 자이툰부대 육군 장병이 우정을 과시하며 사진을 찍었는데 이 사진 때문에 소동이 빚어졌다. 한글을 읽을 줄 모르는 육자대원들이 자이툰 부대원이 든 "독도는 大韓民國 땅입니다."라는 팻말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웃으면서 나란히 서 있는 모습인데 누가 보면 영락없이 육자대가 독도가 한국땅임을 인정하는 듯한 모양새가 되는 셈이었다.

인터넷에서는 이 사진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고 언론에도 언급되었으며 이때문에 한일간 외교문제로 비화되기까지 했다. 이후 사진을 찍은 두 명의 육자대원은 본국으로 소환되어 조사받았는데 안습. 자신들은 한글을 몰라서 팻말의 내용이 뭔지 이해하지 못했다고 필사적으로 강변했다고 한다.

사진속 육자대원들은 모두 수염을 기르고 있는데, 일본 정부가 남성들 대부분이 수염을 기르는 현지 풍습을 감안, 현지인들과 친밀도를 높히기 위해 파병되는 남성 자위관들에게 수염을 기를 것을 지시했다고 한다.
  1. 당시는 북핵문제가 심각하게 흐르던 무렵인데 노무현 대통령은 대화를 통한 해결을, 조지 워커 부시 미국 대통령은 강경책을 구사해 한미간에 다소 갈등의 긴장이 흐르던 시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