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고속도로 | ||||
서울외곽선 | ||||
양주 방면 고양IC | ← | 18 일산IC | → | 김포 방면 자유로IC |
一山交叉路 / Ilsan Interchange
일산나들목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Ilsan Interchange |
한자 | 一山交叉路 |
번호 | |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18 |
관리기관 | 한국도로공사 수도권본부 인천지사 |
서울외곽선 개통일 | 2001년 9월 27일 |
접속도로 | |
중앙로 |
1 개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18번.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장동에 있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인근에 위치한 일산신도시에서 유래했다.[1]
고양종합터미널을 시종착으로 삼는 시외버스들이 대부분 이 나들목을 이용한다.
2 구조
2.1 김포방향
2.2 양주방향
3 역사
4 트리비아
일산IC의 북쪽 방향에 있는 고양IC부터 불암산TG까지는 한국도로공사가 아닌 민간기업인 (주) 서울고속도로에서 운영한다.
나들목 자체 차선이 매우 넓은 편이다. 진출로가 전부 2차선으로 되어 있어, 고속도로-중앙로 간 연결도로도 접속도로 주제에 왕복 8차로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아무래도 중동IC, 송내IC 같이 고속도로 주변까지 개발된 지역이 아니라서 그런지 자체 진입로를 넓고 길게 지어 놓은 듯. 그럼에도 교통량이 어디 안 가서, 백마주유소앞 사거리에서 일산IC 간 거리가 짧은 관계로 이 쪽에서 체증이 일어나기도 한다.
행정구역상 덕양구에 위치하기도 하고 일산신도시뿐만 아니라 화정·능곡 방면으로의 진출입도 가능하므로, 고속도로 나들목 이정표지판에는 '덕양'과 '일산'이 함께 표기되어 있다.
일반좌석 830번, 광역버스 1500번 등 명성운수 소속의 영등포행 시내버스 상당수가 이 IC를 통하여 자유로에 진입한다. 루트는 일산IC-외곽순환고속도로-자유로IC-자유로. 9707번 안습 그리고 신성여객 소속의 200번 버스가 이 나들목을 이용하여 자유로로 진입한다.
5 관련 항목
- ↑ 계획 당시 가칭은 1992년 고양군의 시승격 이전 현 덕양구 능곡동, 화정동, 행신동, 행주동 일대를 관할하던 읍인 지도읍에서 따온 '지도IC'였다.
Map Inter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