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장기 말소사건

日章旗 抹消事件

1 개요

%EC%86%90%EA%B8%B0%EC%A0%95.jpg
1936년 독일 베를린에서 열렸던 하계올림픽 대회 당시 마라톤 경기에서 우승했던 금메달리스트 손기정 선수의 가슴에 붙어있는 일장기(日章旗)(일본의 국기)를 , 동아일보에서 지워버리자 이에 대해 조선총독부검열삭제를 가한 민족탄압 사건.

2 사건개괄

1936년 나치당이 집권한 독일에서 베를린 올림픽이 열리고, 당시 일본 선수단의 일원으로 참가하였던 마라톤 선수인 손기정은 동료선수인 남승룡과 함께 '올림픽의 꽃' 으로 불리웠던 마라톤 경기에 참가하여 손기정 선수가 올림픽 신기록을 달성하며 1위로, 남승룡 선수는 그 뒤를 이어 3위를 차지하여 각각 금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그러나 시상대에서는 한국이름인 손기정, 남승룡이라는 이름이 아닌 일본이름[1]으로 호명되었고 국기도 태극기가 아닌 일본 국기인 일장기가 게양되었으며 국가도 애국가가 아닌 일본 국가 기미가요가 대신 연주되자 두 사람의 표정은 기쁨이 아닌 슬픔으로 숙연해졌다. 나라를 잃고 한국인이 아닌 일본인으로서 시상대에 올라야하는 가슴 아픈 사연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2]

이 소식은 조선에서도 신문을 통해서 전해졌는데 특히 손기정의 가슴에 붙어있는 국기가 태극기가 아닌 일장기가 붙어있자 조선인들 사이에서는 분노와 격앙이 돋구게 되었으며 이에 맞춰서 조선중앙일보는 8월 13일, 동아일보는 8월 13일자 지방판, 8월 25일에 보도했다. 이 사진에 있었던 손기정 선수의 가슴에 있던 일장기 사진부분을 하얀색으로 덧칠해서 지워버렸던 것이 발단이었다.

파일:/image/414/2012/11/17/082012627 4n.jpg
사진은 손기정의 귀국 사진으로 사건 여파로 손기정은 일제로부터 밧줄에 묶여 귀국해야만 했고 노면전차를 이용하는것도 감시를 받았다.

2.1 조선총독부의 항의와 동아일보의 정간

이 소식을 알게 된 조선총독부는 당시 동아일보 사장이었던 송진우를 비롯하여 이 사건을 직접 주도했다는 동아일보 체육부 기자인 이길용, 사회부 부장 현진건, 사진부 부장 신낙균, 백운선, 서영호를 비롯해 이길용 기자의 지시에 따라 일장기 사진의 빨간 부분을 하얀색으로 덧칠해서 지웠던 사진부 화가 이상범 등을 체포조사하여 40일간의 구류 처분을 내리게 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송진우동아일보 사장직을 사임하게 되었으며 주필 김준연, 편집국장 설의식 등도 잇따라 사임을 표명하였고 사건 주동자로 지목되었던 이길용도 언론 활동이 정지되는 처분을 받았다. 조선총독부는 이 사건을 계기로 동아일보를 8월 29일 자로 무기한 정간조치시키고 자매지 신동아역시 폐간하였다.

이길용 기자가 작성한 회고록이 발굴되기도 했다.

세상이 알기는 백림(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의 일장기 말살사건이 이길용의 짓으로 꾸며진 것만 알고 있다. 그러나 사내의 사시(社是)라고 할까. 전통이라고 할까. 방침이 일장기를 되도록은 아니 실었다. 우리는 도무지 싣지 않을 속셈이었던 것이다. 이것은 (총독부에서 일본 본토를 가리킬 때 쓰도록 강요한) 내지(內地)라는 글을 쓰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이길용 기자는 1950년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납북되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이름을 딴 '이길용 체육기자상'을 제정하여 스포츠 취재 기자에게 수여하고 있다.

3 사진 게재 원조 논란?

여운형 기념사업회, 한겨레, 민족문제연구소 등 진보성향 단체에서는 일장기 말소사건의 원조는 동아일보가 아닌 조선중앙일보이라고 주장하며 동아일보는 총독부에게 선처를 하며 비굴하게 굴어 다시 복간되었지만, 조선중앙일보는 총독부의 친일성향에 사장 제안을 거부하고 폐간을 선택하여 조선중앙일보가 민족정신이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350px-%EC%A1%B0%EC%84%A0%EC%A4%91%EC%95%99%EC%9D%BC%EB%B3%B4%EC%99%80_%EA%B0%99%EC%9D%80_%EB%82%A0%EC%A7%9C%EC%9D%B8_%EB%8F%99%EC%95%84%EC%9D%BC%EB%B3%B4_%EC%A7%80%EB%B0%A9%ED%8C%90.jpg
(1936년 8월 13일자 조선중앙일보(좌), 동아일보(우)의 지방판 기사이다.)

그러나 1936년 8월 13일자 동아일보의 지방판 기사가 발굴되면서 조선중앙일보 원조설은 논파되었다.

채백 부산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의 저서 <사라진 일장기의 진실>(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을 통해 조선중앙일보가 가장 먼저 손기정의 우승사진에서 일장기를 말소했다는 주장이 학계에서 널리 알려졌지만 동아일보도 조선중앙일보와 같은 날 이 사진을 보도했다고 말한다. "8월13일자 동아일보 조간 지방판에 조선중앙일보(서울판)가 게재한 사진과 똑같은 사진을 실었는데 서울판이 당일 새벽에 인쇄하던 반면 지방판 조간은 그 전날 인쇄하던 관행에 비춰, 손기정의 우승 사진은 동아일보가 먼저였다고 결론 지을 수 있다"고 말했다.일장기 말소 사건의 진실은?

그리고 조선총독부의 친일 성향 사장 제안을 거부하고 장렬하게 폐간을 선택했다는 조선중앙일보의 폐간의 실상은 총독부의 극비문서, 삼천리 1938년 1월1일 신년호에서 잘 나타나있는데, 내용은 아래와 같다.

“소화11년(1936년) 8월 13일자 지상에 ‘머리에 빛나는 월계관, 손에 굳게 잡힌 견묘목, 올림픽 최고 영예의 표창 받은 우리 손 선수’라는 제목 아래 사진을 게재했다. 그러나 전기 동아일보와 같은 모양의 손기정의 가슴에 새겨있는 일장기 마크는 물론, 손 선수 자체의 용모조차 잘 판명되지 않는 까닭에 당국으로서는 당초 졸렬한 인쇄 기술에 의한 것이라 판단했으나 일단 관할 경찰 당국을 시켜 조사한 결과 동아일보처럼 손기정의 가슴에 새겨져 있는 일장기 마크를 손으로 공들여 말소시킨 사실이 판명되었다. 그렇지만 동사(同社) 사장 여운형 이하 간부는 전연 그 사실을 부인하다가 사실이 밝혀지자 하는 수 없이 근신의 의미로 같은 달(9월) 4일에 이르러 당국의 처분에 앞서 ‘근신의 뜻을 표하고 당국의 처분이 있을 때까지 휴간한다’ 운운의 사고(社告)를 게재함과 동시에 휴간 수속을 이행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 조선총독부 경무국 도서과, ‘극비문서 <조선출판경찰개요> 1936년 119~120쪽
소화 11년(1936년) 9월5일, 동업 동아일보가 같은 사건으로 경무국으로부터 발행정지의 처분을 받자, 중앙일보는 자진휴간의 거조(擧措)에 출(出)하야 1개년간이나 경무 당국의 속간 내락을 얻기에 진력을 하였으나 사태 불순하야 한갓 헛되이 일자를 끌어오다가, 만 1년을 지나 또 제 9조에 의한 2개월간의 기한까지 지나자 11월5일에 저절로 낙명(落命)하게 된 것이다. 같은 사건으로 처분을 받았던 동아일보는 그래도 그 제명(題名)을 살려 다시 속간함에 이르렀는데, 어찌하야 당국의 정간 처분도 아니오 자진 휴간한 말하자면 경미한 중앙일보만 낙명하게 되었느냐 함에는 여기에 여러 가지 복잡한 사정이 잠재하여 있었던 것이다. (중략) 휴간 중에 현 사장(呂運亨) 지지파와 신 사장(成元慶) 지립파(持立派)의 알력이 있어 호상 대립이 되어 중역회에서나, 주주총회에서나 분쟁이 늘 끊이지 않아(不絶)왔으며 거기다가 8만원 공(空) 불입 같은 것이 튀어나와 주식회사 결성 중에 큰 의혹을 남긴 오점까지 끼쳐놓았음이 후계 간부가 사무국을 이해시킬만 한 공작을 1년 내내 끌어오면서도 이루지 못한 등 여러 가지의 실수가 원인이 되어 파란 많은 역사를 남기고 끝내 무성무취(無聲無臭)하게 마지막 운명을 짓고 말았다. -『오호, 중앙일보 逐 폐간, 이십여년의 언론활약사를 남기고』, 삼천리, 1938년 1월 1일 신년호}}

어느 시대에 막론하고 가장 큰적은 역시 내부분열

4 작품속에서 일장기 말소사건

4.1 야인시대

역사대로 일장기 말소사건을 다루면서 이전에 알려지지않았던 조선중앙일보[3]의 이야기도 역사적으로 조명하였다.

4.2 각시탈

드라마 각시탈에서는 이 사건을 모티브로해서 상황을 조금 바꾸었다. 그리고 동진이라는 가상인물을 만들어 여운형의 조선중앙일보가 주도한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조선인으로 권투 세계챔피언이 된 선수가 귀국하자 일제가 내선일체를 선전한다면서 대대적인 환영식을 치루는데 조선중앙일보의 전 사장인 동진이 만든 비밀 독립단체 동진결사대가 은밀히 태극기를 나누어주어 만세시위를 일으켰고 일장기를 가슴에 달고 부끄러워 하던 이 권투선수는 스스로 일장기를 뜯어버린다!
  1. 둘 다 창씨개명은 하지 않았기에 한자 음독 그대로 '손키테이(Son Kitei)', '난쇼류(Nan Shōryū)'로 기록되어있다.
  2. 여담으로 시상식 때 손기정 선수는 1위 기념으로 받은 묘목을 일부러 가슴에 끌어안아서 일장기를 최대한 가렸다고 한다. 그리고 3위를 기록한 남승룡 선수는 '(손기정 선수가)금메달을 딴 것보다 묘목으로 일장기를 가릴 수 있다는게 더 부러웠다'고 회고한 바 있다.
  3. 안티조선일보 같은 커뮤니티 사이트조차 조중동의 조선일보, 중앙일보로 아는 경향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