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해군의 지휘관 | ||||||
정장 | 편대장 | 함장 | 전대장 | 전단장 | 함대사령관 | 해군작전사령관 |
{{틀:문서 가져옴| title=틀:해군편제단위| version=9}}
대한민국 공군의 지휘관 | |||||
편대장 | 대대장 | 전대장 | 비행단장 | 공군기능사령관 | 공군작전사령관 |
중대장 | 포대장 | 방공유도탄여단장 |
{{틀:문서 가져옴| title=틀:공군편제단위| version=8}}
목차
[숨기기]1 개요
海軍作戰司令官. 대한민국 국군에서 해군 및 공군의 전술제대 중 가장 큰 단위인 작전사령부의 지휘관으로 해군작전사령관(海軍作戰司令官)과 공군작전사령관(空軍作戰司令官)이 있다. 계급은 통상 중장이 보임되고, 각각 해군과 공군에 대한 작전권을 가지며 해군작전사령부 및 공군작전사령부를 구성한다. 육군으로 치면 야전군사령관에 대응한다.
2 대한민국 해군 및 공군
대한민국 공군의 경우 휘하의 전술부대로 공중전투사령부, 공중기동정찰사령부, 방공관제사령부, 방공유도탄사령부 4개 사령부를 두고, 대한민국 해군의 경우 제1함대, 제2함대, 제3함대, 잠수함사령부의 4개 사령부와 제5성분전단, 제6항공전단, 제7기동전단, 제8전투훈련단, 특수전전단, 해양전술정보단의 6개 전단을 둔다. 전술부대는 아니지만 해군교육사령부 및 공군교육사령부도 중장급 부대다.
3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의 경우 작전사령부가 야전군에 해당하며. 제1야전군사령부와 제2작전사령부, 제3야전군사령부가 해당된다. 이 중 제2작전사령부의 사령관이 제2작전사령관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제1야전군, 제3야전군의 사령관은 제1야전군사령관, 제3야전군사령관 명칭을 사용한다. 이후 제1야전군사령부와 제3야전군사령부를 통합하여 지상작전사령부를 창설할 예정인데,[1] 이렇게 되면 해당 사령부의 사령관은 지상작전사령관이 될 것으로 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