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자연지리 관련 정보, 지질학 관련 정보, 미술 관련 정보
흙의 종류 | ||||
자갈 | 마사토 | 모래 | 실트 | 점토 |
왼쪽부터 크기순 |
언어별 명칭 | |
한자 | 粘土[1] |
영어 | Clay |
일본어 | 粘土(ねんど)[2] |
러시아어 | глина |
1 개요
약자는 C로 영어의 Clay에서 따왔다. 점토는 입자 크기가 2μm 이하인 무른 흙이다. 점토보다 큰 것은 실트라고 한다.
점토는 미술재료에 매우 적합한 소재 중 하나이다. 물렁물렁하고 쉽게 찢어져 누구나 생각하는 대로 형태를 만들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유아들이나 노인들에게도 접근성이 높으며, 점토로 작품을 만들고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덩어리를 나누고, 색이나 글씨를 더하는 등 여러 가지 파생되는 활동을 할 수 있다. 생찰흙은 흙냄새를 맡으며 정서를 안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정리를 하기 귀찮다는 단점이 있다.
2 종류
2.1 찰흙
말 그대로 흙을 재료로 사용하는 점토이다.
암석이 풍화되면서 주로 규소나 알루미늄이 물과 결합하여 점토가 만들어진다. 입자가 곱고 점성이 높다. 찰흙이라고도 하며, 벽돌, 기와, 도자기, 시멘트의 원료로 쓰인다. 흑연과 섞어 연필심으로 쓰이는데, 점토를 넣은 비율에 따라 심의 강도와 진하기가 달라진다. 미술 쪽에선 소조의 재료로 주로 쓰인다.
색은 갈색빛이 나는 게 보통이지만, 어디서 제조된 것이냐에 따라서 고동색, 적색 등등의 약간의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물에 잘 씻기고 조형하기 쉬운 성질이 있기 때문에 고무찰흙과 함께 초등학교의 미술 실습에 빠지지 않는 레퍼토리 중의 하나다.
주재료의 특성상 만지다 보면 작은 돌멩이 알갱이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가끔 나뭇가지나 머리카락도 발견되기도 한다.
이것을 제대로 된 가마에 구우면 간단한 도자기가 된다. 흙 속에 있는 무기질이 녹거나 소결되서 단단해지는 것이다.
NEO 꼬마찰흙, 도너랜드 찰흙, 우리반찰흙, 금메달찰흙, 동네꼬꼬마찰흙, 두리노리깜찍찰흙, 바이오세라믹찰흙, 코끼리찰흙, 홈런찰흙 등이 있다.[3]
2.2 유토
油土
이름대로 물 대신 기름을 넣고 섞은 찰흙으로, 유토 내지는 유점토라고 부른다.
물 대신 기름을 넣었기 때문에 몇 시간 방치하면 물이 증발하여 금방 굳어버리는 보통 찰흙에 비하면 거의 굳지 않는다는 특성이 있다. 특성상 겉이 마르더라도 속까지 마르지는 않아 살짝 반죽하면 원래대로 돌아온다. 다만 완전히 굳지 않는 건 아니라 오래 사용할수록 서서히 굳어가기 때문에 심하게 굳은 유토를 재사용하기 위해 유약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특성 탓에 반복 사용이 용이하여 미술대학의 조소과에서 자주 애용하는 재료로, 디자인 구상 용도나 미술공예 등지에 주로 사용된다. 다만 완전히 굳지 않는 특성상 최종 재료로 사용하는 빈도는 좀 떨어지는 편. 유토로 작품을 만들 경우 완성 후 경화제를 뿌려서 굳힌다.
다만 물 대신 넣은 기름의 냄새가 다소 역한 편이고 손에 기름이 심하게 남는 게 결점이다. 메이커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손을 몇 번이나 비누로 씻어도 기름기가 남아있을 정도의 강력한 기름기를 자랑한다.
1990년대 초에는 동네 문방구에서도 비교적 흔하게 팔았으나 지금은 찾아보기 어렵고, 구하려면 전문 미술용품점에 가는 게 빠르다.
2.3 옹기토
甕器土
2.4 지점토
점토 대신 종이로 찰흙을 만든 경우 지점토라고 한다. 보통 재생 종이를 이용하여 생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원 재활용 면에서도 꽤 유익하다고 볼 수 있다. 뜯어서 자세히 보면 종이의 펄프가 보이기도 한다.
찰흙이나 고무찰흙과는 달리 색이 순백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건조 후 색을 입히기에 좋다. 단 잘 늘어나지도 않고 뚝뚝 끊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2.5 고무찰흙
보통 작은 상자나 통 안에 여러 색의 고무찰흙이 색깔별로 비닐에 포장되어있는 모습이다. 주로 초등학교 앞 문방구에서 싼 가격으로 판매된다.
고무 냄새가 심하게 나는 경우도 있고, 가위로 자르지 않고 손으로 자르려고 하면 실처럼 죽 늘어나서 애먹는 경우도 있다. 오랜 기간 두면 굳는다.
보통 초등학교에서 찰흙과 같이 미술 시간에 같이 이용된다. 형태를 잡아 놓으면 잘 움직이지 않아서 작은 미니어처 같은 것들을 만들 때 많이 사용하기도 한다. 가끔 딱딱한 것들이 있는데 정말 손에 쥐가 날 정도로 손에 쥐기 힘들다.
고무찰흙 중에는 특수한 재료를 사용해 절대 굳지 않는 재료도 있는데, 굳지 않는 성질을 이용해 애니메이션을 만든 것을 클레이 애니메이션이라고 부른다. 《패트와 매트》, 《꼬마펭귄 핑구》, 《월레스와 그로밋》 등등이 이에 속한다. 최근에는 주로 폴리머 점토를 이용해 제작하는 추세.
가소제 성분이 많은 고무찰흙의 경우 냄비에 찌면 지우개가 되기도 하기 때문에 자기가 원하는 모양의 지우개를 만들 수도 있다. 흔히 요술점토라고 불리는 것인데, 해당 찰흙은 지우개똥과 성분이 흡사한데 문제는 환경호르몬인 프탈레이트가 들어있어 애들 교재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덜 찔 경우 지울 때 종이에 엄청난 흔적을 내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또 한번 쓰면 지우개 가루가 대량으로 나와 지우개의 반이 소멸되므로 활용도는 낮다.
2.6 플라스틱 점토
플라스틱 재질의 점토이다. 다른 말로는 수지점토라고도 한다. 플라스틱 점토를 잘 다룬다면 피규어를 만들 수도 있다.
2.7 폴리머 점토
생찰흙은 정리를 하기 귀찮다는 단점이 있는데, 그 단점을 개선한 것이 폴리머 점토이다. '아이클레이', '천사 점토' 등의 제품이 이에 해당된다. 플라스틱 점토와 달리 다루기는 훨씬 쉬우며, 색깔별로 섞는 것도 수월하다. 만들어지는 원리는 추가 바람.
2.8 금속점토
일본의 한 회사에서 개발한 점토로 금속 분말과 바인더를 결합하여 만든 점토로 원하는 모양을 빚은 다음에 가마에 구워주면[4] 금속 공예품이 나온다. 대표적으로 은을 이용한 은점토, 구리를 이용한 동점토, 금을 이용한 금점토가 있다.
3 기타
- 속어로 품질이 낮은 3D 게임 텍스처들을 보고 찰흙 가지고 논다고 한다.
엘더스크롤 5 개비스콘 - 저사양 옵션을 선택하면 찰흙처럼 보이는 정도로 낮춰서 저사양 환경에서의 구동에 도움을 주는 게임[5]도 있고 그런 설정이 없거나 부족해서 유저가 '~찰흙 패치'라고 모드를 만들어두었거나 설치하는 게임도 있다.[6]
- 《마인크래프트》 에서는 벽돌, 화분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주로 호수나 강바닥에서 발견된다. 점토 블록을 캐면 점토 4개가 나오며 이를 화로에 구워 벽돌 아이템을 만들 수 있다. 점토 4개를 조합해 다시 점토 블록으로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찰흙을 가지고 놀 수 있는 모드가 있다. (점토병사모드) 찰흙을 조합해서 각종 가구와 장난감을 만들 수 있다. 또한 포켓 에디션에서는 무한맵이 등장하기 전까지는 매우 희귀한 블럭이었다.
0.13.0 베타버젼에서는 산 위에서 점토가 있다는 버그가 있었다고 카더라., 마인크래프트 산업모드에서도 티어 1 장비 제작용 재료로 은근히 요구하는 편이다. 정확히는 강철 제작을 위한 고로를 만들 때 재료 아이템으로 요구한다. - 폴란드볼은 이것을 암묵의 룰로 영토를 대신 말하는 데에 사용한다.
- 뽑기 기계에 보면 은색 봉지 안에 점토가 있는데 무거워서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근데 대부분 너무 커서 실패하거나 못해서 실패한다 - 다니엘(덴마)의 별명이 점토 또는 찰흙이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 일부 산간지방을 제외한 한국의 전통 건축(특히 초가집)의 주 재료이기도 하다.[7] 바닥에다 난방을 한다는 아이디어도 바로 이러한 전통에서 나온 것이다.
- ↑ 한국 한정으로 점으로 읽지만, 본래는 염토(←념토)가 옳다. 왜 그런지는 속음 참조.
- ↑ 오덕계에서 유명한 데폴메 피규어 넨도로이드할때의 그 넨도다.
- ↑ NEO 꼬마찰흙은 예전에는 이마트나 핫트랙스에서 흔히 판매되고 있었으나 도너랜드찰흙이 들어온 이후로 NEO 꼬마찰흙은 판매가 종료되고 이내 단종되었다.
- ↑ 보통 칠보공예용 전기가마나, 가스불(토치, 가스레인지)을 통해 굽는다.
- ↑ 예를 들면 《마비노기 영웅전》이나 《블레이드 앤 소울》의 최저 사양 설정.
- ↑ 예를 들면 《월드 오브 탱크》.
- ↑ 정확히는 황토 찰흙에다 지푸라기를 섞은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