整形外科, orthopaedics.
목수[1]
목차
1 개요
외과 분과의 하나로, 팔, 다리 및 척추를 구성하는 모든 해부학적인 구조에 대해 진료하는 분과. 본래 영문 어원인 orthopedics는 ortho(바로 잡는다), paidos(소아)를 의미하는 말로, 말 그대로 소아기의 변형을 교정하고 예방하는 학문이었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사지, 척추, 그외 그 부속기의 형태, 기능을 내과, 외과적 의미로 회복 및 발전시키는 학문을 뜻한다. 주요 치료법은 크게 약물 요법, 물리치료, 보장구 요법, 의지 등의 보존적 치료와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로 나뉜다.
1.1 진료 분야
머리와 가슴, 배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팔, 다리를 그 영역으로 한다. 손가락 끝에서 어깨와 쇄골을 지나 등 뒤로 돌아가서 척추를 따라 골반에 이어 발가락 끝까지가 모두 정형외과의 영역이라고 보면 된다. 헷갈리기가 쉬운 것이 손 끝 신경이 저린 것 같다... 라는 증상으로 병원을 찾을때 신경외과와 헷갈릴 경우가 많은데 대학병원의 경우에 신경외과는 머리와 목, 허리에 해당하는 중추신경을 주로 담당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정형외과 의사를 만나게 된다. 물론 의원급의 경우에는 정형외과건 신경외과건 다 진료를 볼 수 있다
단순히 해당 부위의 뼈, 관절 뿐 아니라 연골, 신경, 혈관, 인대, 근육을 모두 진료를 볼 수 있다고 보면 될 듯.
'뼈를 보는' 정형외과 의사다 보니 코뼈나 광대뼈, 턱뼈를 다친 환자들이 오기도 하는데 병원급의 경우 두개골의 경우는 신경외과, 안면골의 경우는 성형외과로, 정형외과의 영역이 아니다. 그 외에도 코뼈는 이비인후과와 성형외과, 턱뼈의 경우는 성형외과와 구강악안면외과가 나누어 맡거나 심지어는 서로 경쟁하는 병원도 있다. 어쨌든 머리, 얼굴 부분의 뼈는 정형외과의 영역이 아니므로 팔이나 다리 외에도 머리나 얼굴이 걱정되는 경우면 해당과에도 예약을 같이 넣어두는 것을 권장한다.
팔, 다리의 모든 관절을 그 대상으로 하다보니 세부전공의 분과전문의를 뽑을 때에도 관절 별로 세부전공을 모집한다. 단, 병원에 따라서는 관절별이 아니라 수술별로 모집하는 곳이 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관절경 분야' '관절치환술(인공관절) 분야' 식으로...
1.2 정형외과는 안마방?
최근 실손보험의 보급으로 인해 환자가 비급여 진료를 무료 혹은 저렴하게 받을 수 있게 되면서 도수치료, 즉 마사지에 주력하는 정형외과가 급증하고 있다.
안마를 받으면 시원하기 때문에 환자들도 다른 주사나 약물 치료와는 달리 도수치료를 하자고 하면 흔쾌히 받아들이기 때문. 치료비는 보험사에서 지급해주기 때문에 많은 환자들이 정형외과를 안마방처럼 이용하고 있고, 정형외과는 떼돈을 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요즘은 정형외과뿐만 아니라 다른 병의원에서도 물리치료사를 고용해 도수치료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
사실 환자 입장에서는 비싼 보험료를 냈으니 안마를 받든 뭘 받든 최대한 활용하는 게 이득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보험사에게 보험료 상승의 명분을 제공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손해가 될 수도 있다. 실제로 최근 몇년간 도수치료 때문에 재정이 바닥난다고 언론을 통해 많은 언플보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정부 차원에서 제재를 가하려고 하고 있는 상태.
1.3 보수
돈만 놓고 보면 가장 안정적이고 성공적인 분과.
위 짤방은 소위 말하는 '정형외과 전문병원'에서 '경기가 좋았을 때' 곧 정형외과 전문병원으로 환자가 많이 몰렸을 때1,600만원이라는 것이고, 거기다 인센티브는 따로 붙는다는 뜻이다. 2014년 중후반 들어서는 경기의 침체 등의 여파로 정형외과 전문병원의 환자 수가 감소하면서 상대적으로 매출이 적은 의사를 정리하는 등의 이유로 부익부 빈익빈이 있어 편차가 심하다. 서울 내인지 수도권인지 북방한계선 그 밖인지에 따라 격차가 발생하고 수술을 하는지 응급 콜을 받는지에 따라서 또 차이가 심하게는 2배 이상 나기도 한다.
그래도 최하 하한선을 보면 2015년 초 기준으로 세후 1,100만원 정도는 된다. 하지만 이정도면 거의 수술없이 외래만 3~4일 보는 수준. 정형외과 의사들은 끊임없이 나와도 끊임없이 수요가 증가하고[2] 어찌되었든 그들만의 영역인지라 보수는 셀 수밖에 없다.[3]
다만 업무강도는 다소 높은 편으로 외래는 외래대로 많고 수술도 자주 해야 하지만, 그래도 다른 분과들보다 나은 점은 응급 질환이 거의 없기 때문에 스케쥴대로 진행이 가능하다.
이렇게만 보면 정형외과 의사는 굉장히 선망받는 분야 중 하나이지만 그만큼 고난이 있다. 바로 레지던트 과정. 정형외과가 어찌 되었든 전문의 자격증만 따면 월 1,500은 벌어준다고 봐야 한다. 당연히 레지던트로 뽑아주는 걸 영광으로 알아야 하고 잡일도 많이 해야 한다. 대학병원에서도 돈 벌어주는 과가 정형외과[4]이므로 지원이 빠방하다. 그만큼 일도 많이 해야한다. 아무리 전공의를 많이 뽑아도 무릎 보는 사람, 수부 보는 사람, 족부보는 사람, 어깨 보는 사람, 허리 보는 사람 등등 다양하기 때문에 일이 정말 많다.
스탭은 그래도 정해진 시간만 일하지만, 정말 밤낮없이 일하고 뽑아주었다는 생각이 많아서, 함부로 대하거나 사소한 잡일까지 부려먹는 경우도 매우 많다. 군대 중에서도 가장 빡센 군대를 잠도 못 자면서 4년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전공의를 가장한 군대4년 + 군의관 3년 = 7년의 군대. 취소선을 해놓았지만 농담이 아니다 의사들 사이에선 정형외과 전공의를 하면 성격을 버린다는 말이 있는데 이게 괜히 나오는게 아니다. 게다가 정형외과의 수술 특성상 방사선 노출량이 많고 환자 특성상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등에 대한 관련 서류 페이퍼잡까지 있고 이는 당연히 스탭들의 몫이지만 전공의가 해야 하므로 정말 죽음의 4년을 버티게 되는 것이다.
어르신들이 무릎이나 허리가 많이 아프시기 때문에, 그만큼 자주 찾으시는 과이기도 하다. 게다가 교통사고로 인한 골절 등도 있기에 수요가 줄어들 일이 없는 과이며, 그만큼 개원하기에도 용이하고, 페이닥터로 병원에서 일하게 되더라도 급여 걱정은 안 해도 된다. 수요가 많다는 건 뒤집어말해서 그만큼 일이 많다는 소리긴 하지만... 대한민국 인구 고령화 때문에 울상인 소아과와는 대조적으로, 정형외과는 앞으로 상황이 더 좋아진다는 전망도 있다. 신이 선사한 통뼈 통연골이라도 타고 나지 않는 이상 노령인구는 반드시 정형외과를 찾게 되므로...
보수도 쎄고 응급도 없고 타과에서 침범도 못하는데도 불구하고 전문의 중에서 인기순위가 7~9위 정도 되는데, 이유는 역시 엄청나게 힘든 전공의 과정 때문.
2 레지던트 수련
일의 양으로만 치면 내과, 외과, 신경외과 등도 있지만 정신적인 고통까지 합친다면 단연 가장 힘든과.
다른 과목과 마찬가지로 수련의(인턴) 과정을 마친 의사면허 소지자에 한해 전공의(레지던트)를 모집한다. 수련 기간은 4년.
가장 빡센 군대 4년이라는 말이 틀리지 않을 정도로 폐쇄적이고 수직적인 시스템, 체벌 및 욕설이 아직까지 난무하는 거의 유일한 의국 분위기상 의대생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상당히 갈린다. 널린 게 목발, 견인장치 프레임 등 무기도 풍부하고, 기브스실 같은 격리된 독립공간까지 있다(...) 때문에 전공의 과정 수료 시점이 다가오면 아랫년차에게 가혹하게 행동했던 전공의들은 긴장을 하게 된다. 실제로 졸업 시즌의 아랫년차의 보복성 폭행이 의국 전통(?)으로 자리잡은 의국 역시 존재 할정도.
수련 중도 포기율 역시 다른 과들에 비해서 꽤 높은 편이다. 주 사유는 윗년차와의 갈등 혹은 과도한 업무. 대개의 경우 1년차들이 응급실에서의 정형외과 환자들 진료를 담당하게 되는데 타과 레지던트 1년차들의 일을 다 하면서 응급실 콜까지 받아야 하다 보니 정말 사는게 사는게 아닐 정도. 잠 좀 자자 하지만 최근에는 응급의학과에서 간단한 열상, 염좌, 좌상 등의 처치를 해주는 곳이 늘고 있어 조금 나아졌다. 정말 엎드려 절이라도 해야할 판 수련 병원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약주를 거하게 하신 분들이 어딘가 찢어지거나 시비가 붙어서 오시면 당직 인턴 다음에 정형외과 의사를 가장 먼저 만나야 했다. 그 뒷처리 역시 정형외과가 했어야 하는 일이 많다보니 가뜩이나 할 일이 쌓여있는 1년차 전공의의 입장에서는 죽을 맛이었다. 이젠 그 독박은 고스란히...
1년차 잡일으로는 주로 의국 식사주문, 장부 정리, X-Ray 필름 정리, 마취과 수술 permission 받으러 다니기, 수술전 검사 일정 협상해서 당기기(...) 등이 있다. R1들의 병원 내에서의 권력이 워낙 낮다 보니 이런 잡일들을 하게 된다.
이어 군미필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 3년 4개월간 군의관으로 복무하게 되는데 정형외과의 수요가 많은 대한민국 국군의 특성상 '다리 한 짝이 없어도 정형외과 의사는 군의관이다'(...)라고 할 정도로 거의 대부분은 비율로 군의관으로 차출이 된다. 주변에 정형외과 공중보건의가 보이면 로또를 사라멀쩡해 보여도 진짜 심각한 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가끔 정형외과 공보의라고 하면 다들 하는 말이 "어느 정도 병X인 거지?"니까 말 다했다
2.1 전문의 시험 내용
정형외과는 의사 국가고시 중에서 마이너 과목에 속한다. 국가고시를 보기 위해서는 정형외과는 전혀 몰라도 합격하는데 지장이 없다. 나도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과만 공부하고 잘 합격했다.
정형외과 전문의가 되기 위해서 공부해야 하는 양은 매우 방대하다. 공부량에서 내과 다음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라고 자부한다. 게다가 시험 이외에도 익혀야 하는 수술, 술기가 방대하기 때문에 공부해야 하는 양은 더더욱 늘어난다. 온몸에서 머리랑 내장 빼고 전부 다 공부한다고 봐도 될 정도인데 공부량이 적을리가.. 수부, 족부, 견관절, 고관절 등등 각 분야 내에 수술도 각 분야에 대해 관절성형술, 관절치환술, 관절경, 골절, 외상들의 다양한 술기를 할 줄 알아야 한다. 수술을 위한 접근법 수도 너무 많고, 각각이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야 한다. 전문의가 되도 아는 내용은 턱없이 부족하고 끝없이 배워야 한다.
레지던트 4년 수료 후 전문의 자격시험을 치르게 되는데 해마다 다르지만 4차까지 친 해도 있었다. 합격률은 가장 낮은 해의 70%~80% 중반대 정도. 비교적 합격률은 타과에 비해 낮은 편. 필기와 서술형 시험에 이어 슬라이드와 x-ray, CT, MRI 사진 등을 걸어놓고 치는 소위 말하는 땡시도 있다. 각 대학의 교수님들을 모시고 하는 구술 시험까지 치다보면 시험 치다가 1달이 그냥 흘러간다. 관련교재
2.2 레지던트 수련 내용
정형외과 레지던트 과정에 들어가면 여러가지 기술을 배우게 된다.[5]
- 인턴 시기 : 기도 삽관 (intubation), 흉관 삽관, 동맥관 삽입, 중심 정맥관 삽입 같은 생명 연장 필수 술기. 정형외과 레지던트도 이런 술기를 시행할 수는 있지만, 실제로 훨씬 더 잘하는 타과 레지던트가 널린 이상 정형외과 1년차가 상기의 술기를 하는 경우는 상당히 드물다.
아래 병원별로 크게 상이하다. 한 마디로 정해진 게 없다.
- 레지던트 1년차가 상급 연차의 지도 하에 가능한 치료 : 부목, 깁스(석고 붕대, Cast), 골절의 비관혈적 정복(Closed Reduction), 탈구의 정복, 봉합술, 세척술. 그 외에 자잘한 업무[6]가 대부분이다. 물론 이것만으로도 밤을 새워도 모자란다. 이전에는 환자 처치 명령 등을 손으로 종이에 기재하니 매일 수 십명 분을 일일이 매일 써야 했다. 이제는 EMR PC에서 루틴 복사가 되어서 편해지긴 했다.
- 레지던트 2년차부터 독립적으로 가능한 치료 : 핀삽입술, 견인장치 기술.
- 레지던트 3년차부터 전문의 지도하에 가능한 수기 : 변연 절제술, 이물질 제거술, 수술 부위 일차 봉합, 내고정물 제거술
- 레지던트 4년차부터 전문의 지도하에 가능한 수기 : 경피적 핀 고정술, 인공관절, 절골술, 골절 금속 내고정술, 추간판 절제술, 척추 기기 고정술
- 레지던트 과정 중 익혀야 할 검사 판독 : CT, MRI, X-ray, bone scan, myelography 등은 단독으로 진단적 해석을 할 수 있어야 한다.[7] 종양 관련 MRI, PET-CT는 영상의학과 판독을 참고하여 해석을 내린다.
3 펠로우 수련
군복무도 마쳤고 전문의도 취득했다면 2010년대에는 1~2년간 전임의 (Fellow) 과정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사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전임의는 의대 교수를 지망하는 사람들에 한해 거쳐가야 하는 과정이었고, 교수 지망이 아닌 실업계 전공의들의 경우 전공의 4년 간 여러가지 수술 및 개업해도 먹고 살 수 있을 정도의 술기를 익혀 나올 수 있었지만 아래 기술되는 세부전공화로 인한 파트제, 응급 수술 시의 책임 문제 등을 포함한 어른의 사정으로 수술 술기를 익히기 위한 별도의 레지던트 5년차 과정이 필요하게 된 것.
해당 분야의 전임의 과정을 수료하면 해당 분야의 분과전문의 수료증을 취득할 수 있다.[8] 이는 해당 분야의 술기를 익히기 위함으로 보통 1년의 전임의 과정을 수행한다. 2년 이상의 전임의 과정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것은 처음부터 1년 계약은 없고 2년 계약하는 경우라던지 아니면 교수직에 관심이 있어서 2~5년 정도 교수직 빈자리 날 때까지 기다리는 것에 해당한다.
많게는 견관절, 고관절, 소아, 수부, 슬관절, 외상, 족부, 척추 분야에서 각각의 분과전문의를 뽑고 있다.
3.1 견주관절 (어깨와 팔꿈치)
- 견주관절 분야 전임의가 독립적으로 가능한 수기 :
- Approach for proximal humerus fracture, Approach for humerus shaft fracture, Approach for distal humerus fracture, Arthroscopic acromioplasty, Arthroscopic debridement of septic arthritis, Arthroscopic debridement of degenerative arthritis / elbow, Arthroscopic ECRB release of lateral epicondylitis,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olecranon fracture
3.2 고관절 (엉덩관절)
- 고관절 분야 전임의가 독립적으로 가능한 수기 :
- Kocher-Langenbeck (후외측 수술적 접근법), Smith-Peterson (전방 수술적 접근법), Ludloff (내측 수술적 접근법), Anterior dislocation with greater trochanter osteotomy (대퇴골 대전자 절골을 통한 전방 탈구 수술적 접근법), Bipolar hemiarthroplasty of hip(고관절 반치환술 [9], Multiple pinning[10]
(최초 항목 작성한 위키러의 의국 커리큘럼인듯 하니 당연히 의국마다 다를 수 있다.)
다른 분과에 비해서 접근법만 4종류가 쓰여 있는 것이 특이하다고 할 수 있겠는데 해당 부분은 대퇴/좌골 신경, 대퇴동맥/정맥 등의 큰 혈관과 신경이 어지럽게 지나가는 곳이기 때문에 접근법을 제압하는 자가 고관절을 제압한다고도 할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하기 때문. 후외측/전방의 경우 고관절의 전/반치환술에, 내측의 경우 주로 소아, 화농성 관절염에서, 대퇴골 대전자 절골의 경우는 주로 변형이나 구축이 심한 경우의 수술적 접근법으로 주로 활용된다.
고관절의 대부분 술기에서 후외측 도달법으로 충분하다. 중요한 신경 혈관이 많이 지나가는 관계로 전방 도달법을 쓰는 경우는 드물다. 내측 접근법의 경우는 소아 고관절을 담당하는 대학병원에서 드물게 쓰인다. 대전자 절골술의 경우는 변형이나 구축이 심한 경우에 쓰는 것으로 일반적인 경우는 아니다. 결국은 대부분 후외측 도달법이며, 이는 다른 정형외과 분야 이를테면(수부, 견관절, 족부) 등에서 다양한 접근법이 쓰이는 것에 비해서 오히려 '사용되는 접근법의 수가 적다'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심지어는 정형외과 고관절 교수조차도 '대부분의 경우 후외측 도달법으로 충분하다'라고 믿는 사람이 많다.
인구의 고령화로 인해서 향후 수요가 크게 늘 분야이다. 고관절 관절경이 개발된 이후로 점차로 많은 병원에서 고관절 관절경을 시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골반골의 골절의 경우 외상 분과가 아닌 고관절 분과에서 다루는 병원도 있으나 수술이 어렵고 환자 사망률이 높아서 일부 병원에서만 시행하고 있다.
3.3 소아정형외과
소아외과와는 조금 다르다.
- 소아정형외과 분야 전임의가 독립적으로 가능한 수기 :
- 사지 단순골절에 대한 비관혈적 또는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 내고정 기기 제거술, 연부조직 양성 종양 절제 생검술, 골 양성 종양 절제 생검술, 내반슬 및 외반슬에 대한 성장판 스테이플링, 뇌성마비에서 원위슬괵근 연장술 / 아킬레스건 연장술 / 외측 종골 연장술, 골수염에서 세척 및 변연절제술
3.4 수부 (팔)
팔, 손, 손목, 손가락 등을 담당하는 분과이다.
수부외과는 별도의 세부전문의 취득 기준이 있다. 정형외과/성형외과 전문의 취득 후 1년 이상 펠로우 수련과정을 수련하고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였으며 연수 평점, 학술대회 평점, 논문 평점 기준을 모두 만족시키고 시험에 통과하면 수부외과 세부전문의가 될 수 있다.
이게 꼭 '정형외과 전문의'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보니, 수부외과 문서 참조.
- 수부 분야 전임의가 독립적으로 가능한 수기 :
- 손 / 손목 / 전완부 부위에 대한 임상수기들이다. 골절에 대한 관혈적/비관혈적 정복 및 고정, 심부 열상에 대한 신경 및 힘줄 수술적 치료, 수근관 터널 증후군 / 척골 증후군 / 방아쇠 수지 등 정형외과적 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 감염에 대한 치료를 할 수 있다.
3.5 슬관절 (무릎)
- 노년층의 무릎 관절염 환자분들도 워낙 많기도 하고 십자인대 손상, 연골 파열 등의 젊은 환자들도 많다보니 일단 대상 환자가 워낙 많다. 그러다보니 항상 전임의 모집에 있어서는 가장 먼저 정원이 차는 파트 중 하나. 하지만 다른 세부전공을 한 경우라도 워낙에 많은 환자로 단련이 되다보면(...) 누구나 가능한 술기처럼 되어버리기 때문에 '굳이 세부전공이 필요없지 않냐'
'엥? 무릎? 그거 아무나 다 하는데 아니냐?'고까지 자학성 네타가 넘치는 분야이기도 하다. 실제로는 인간의 체중의 반씩을 전담하고 있는 관절이고 걸음걸이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관절이다보니 특히 인공관절이나 십자인대 수술 등의 수술은 1mm, 각도 1도 차이로도 수술 이후 삶의 질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이라본의 아니게 본격 방망이 깎던 노인확실한 전문적 지식과 수술술기가 반드시 필요한 분야이기도 하다. - 슬관절 분야 1년차 전임의가 독립적으로 가능한 수기 :
- 골절시 삽입된 내고정물 (철판, 나사 등의 제거) 인공관절 (전치환술, 부분치환술) 및 고위 경골 절골술, 원위 대퇴 절골술 등의 관절염을 위한 수술에 대한 수술적 접근법, 슬개골 골절의 내고정술, 관절경적 내측/외측 반월상 연골 파열 부분절제술, 감염성 관절염에서의 관절경적 활약막 절제술, 무릎 관절내 양성 종양의 관절경적 절제술, 무릎 관절 주변의 피부이식술, 양성 종양의 적출 생검술, 구획증후군 시의 근막절개술[11]...이라고 되어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담당 교수님의 수술 어시스트 및 논문 작업(...)
- 슬관절 분야 2년차 전임의가 독립적으로 가능한 수기
- 관절경적 반월상 연골 봉합술, 근위 경골 골절의 내고정술, 원위 대퇴골의 내고정술, 인공관절 후 감염된 경우의 개방 변연절제술, 인공관절 감염시의 항생제 시멘트 완충/염주 삽입술, 내측 측부인대의 봉합술, 십자인대 파열시의 자가인대 이식을 위한 자가 인대 채취술
- 위의 전임의가 독립적으로 가능한 술기에서도 보면 알겠지만 정작 중요한 인공관절, 십자인대 재건술 등의 흔히 말하는 메인이벤트 본수술은 전혀 없다. 대개의 경우는 충분히 경험이 쌓이고 나서야 교수님의 참관 및 지도 하에 수술을 진행
하다가 '내가 언제 이렇게 하디?' 소리를 들으며 금방 뺏기는 경우가 대부분하며 충분히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그제서야 본 수술이 가능하게 된다. 병원과 계약된 기간이 만료되었음에도 충분히 술기가 익숙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담당교수님과 상의 후에 추가로 1년을 더 하기로 병원과 재계약을 하거나 아니면 6개월 같이 단기로 추가 교육을 받게 되는 경우도 있다. 단 이런 경우에는 무급이다(...)[12]
3.6 외상
- 외상 정형외과 분야 전임의가 독립적으로 가능한 수기
- 부목 고정 및 캐스트 고정, 사지 관절의 비관혈적 정복술, 골 견인술, 변연 절제술, 근막 절개술, 사지 및 골반의 외고정술, 사지 간부 골절에 대한 관혈적 정복 후 금속판 내고정술, 사지 간부 골절에 대한 비관혈적 정복 후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술, 사지 간부 골절에 대한 비관혈적 정복 후 최소 침습적 금속판 내고정술, 사지의 개방성 골절에 대한 외고정술, 슬관절 관절 내 단순 골절에 대한 관혈적 정복술, 족관절 관절 내 단순 골절에 대한 관혈적 정복술, 비구의 후벽골절, 골반의 외고정술
3.7 족부
- 족부 정형외과 분야 전임의가 독립적으로 가능한 수기
- 족관절 족부 단순골절에 대한 비관혈적 또는 관혈적 정복 및 내고정, 내고정 기기 제거술, 연부조직 양성 종양 절제 생검술, 골 양성 종양 절제 생검술, 당뇨 족부 절단술 및 변연 절제술, 하지 절단술, 골수염에서 세척 및 변연 절제술, 개방설 골절에서 외고정 장치
3.8 척추
- 척추 분야 1년차 전임의가 독립적으로 가능한 수기
- Halo skeletal traction, Gardner-Wells tongs application and traction, Spine bone biopsy, Selective nerve root block and discography (cervical and lumbar), Vertebroplasty and kyphoplasty, Anterior cervical / thoracic / lumbar approach, Posterior cervical / thoracic / lumbar approach, Spine instrumentation (pedicle screw, lateral mass screw, anterior plating), Cervical and lumbar laminectomy, Lumbar laminotomy and discectomy, Anterior cervical discectomy and fusion, Posterolateral and transforaminal interbody fusion in the lumbar spine, Posterior cervical laminoplasty
- 척추 분야 2년차 전임의가 독립적으로 가능한 수기
- Cervical laminoforaminotomy and discectomy, Thoracic laminectomy, Anterior cervical corpectomy and fusion, Direct lumbar interbody fusion, Screw fixation in the high cervical area (Occiput or C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