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중국 인민해방군의 공군은 병력수로는 세계 최대 그 외의 것으로는 아시아에서 가장 거대한 항공전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구식전력을 현대화시키는 중이다. 주력기는 Su-27 계열 200대, J-10 240대, J-11은 205대로 총 600 [1]여 대 이상의 전투기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공군의 3배. 일본 항공자위대의 2배. 나머지 국가들과는 큰 격차를 보인다. 2010년대에 들어서는 5세대 전투기인 J-20과 J-31을 개발하였으며 2017년쯤에는 스텔스기인 J-20이 실전배치될 예정이다. 미국을 제외하면 세계에서 두번째. 공군 조종사들의 숙련도도 꽤 높아서 Su-27 계열과 J-10 탑승 조종사들의 연간 비행시간은 180시간 이상이다. (다만 구형인 J-7, J-8의 조종사들의 경우는 100시간 남짓이라고.. ) 미군이 180~190, 자위대, 한국군이 150시간 정도인 것을 감안하면 비행훈련량은 상당한 편.
성장하고는 있으나 질적인 면에서는 아직까지는 그 능력이 부족한 편으로 알려져 있다.기사, 기사 독자적인 전투기 생산체계와 개발체계를 구축해놓긴 했으나 관련 부품항목이나 엔진 및 전자전 장비는 아직 열세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2010년대 들어 미국만이 할 수 있었던 돈지랄과 쇼미더머니를 시전하고 있기 때문에 그 성장속도가 매우 빠르다.
2 공군 총 전력[2]
2.1 전투기
2.2 폭격기
2.3 조기경보기/공중급유기
2.4 고등훈련기
3 인민해방군 공군의 편제
3.1 북경군구 공군의 편제
- 북경군구 공군(北京軍區空軍)
- 제7항공사단(第7航空師團)=전투기
- 제15항공사단(第15航空師團)=전투기
- 제24항공사단(第24航空師團)=전투기
- 제34항공사단(第34航空師團)=수송기
- 제12항공사단(第12航空師團)=전투기
- 제19항공사단(第19航空師團)=전투기
- 제43공정사단(第43空挺師團)
3.2 심양군구 공군의 편제
- 랴오닝성군구 공군(遼寧軍區空軍)
- 제1항공사단(第 1航空師團) 전투기
- 제4항공사단(第 4航空師團) 전투기
- 제11항공사단(第 11航空師團) 공격기
- 제21항공사단(第 21航空師團) 전투기
- 제30항공사단(第 30航空師團) 전투기
3.3 제남군구 공군의 편제
- 지난군구 공군(済南軍區空軍)
- 제5항공사단(第5航空師團) 전투폭격기
- 제12항공사단(第12航空師團) 전투기
- 제19항공사단(第19航空師團) 전투기
- 제31항공사단(第31航空師團) 전투기
3.4 남경(난징)군구 공군의 편제
- 남경군구 공군(南京軍區空軍) 2개공군배정
- 제3항공사단(第3航空師團) 전투기
- 제10항공사단(第10航空師團) 폭격기
- 제14항공사단(第14航空師團) 전투기
- 제26항공사단(第26航空師團) 전투기
- 제28항공사단(第28航空師團) 전투공격기
- 제29항공사단(第29航空師團) 전투기
3.5 광주(광저우)군구 공군의 편제
- 공군제7군(空軍第7軍)
- 제2항공사단(第2師團) 전투기
- 제9항공사단(第9師團) 전투기
- 제35항공사단(第35師團) 전투기
- 제42항공사단(第42師團) 전투기
- 무한기지(武漢基地)
- 제13항공사단(第13師團) 수송기
- 제18항공사단(第18師團) 전투기
- 제8항공사단(第8師團) 폭격기
- 공군제15군(空軍第15軍)
- 제43공정사단 第43空挺師團)
- 제44공정사단(第44空挺師團)
- 제45공정사단(第45空挺師團)
3.6 성도(청두)군구 공군의 편제
- 성도군구 공군(成都軍区 空軍)
- 제33항공사단(第33航空師團) 전투기
- 제44항공사단(第44航空師團) 전투기
3.7 란저우군구 공군의 편제
- 란조우군구 공군(蘭州軍區空軍)
- 제6항공사단(第6航空師團) 전투기
- 제36항공사단(第36航空師團)폭격기
- 제37항공사단(第37航空師團) 전투기
4 관련 항목
- 이동 ↑ 중국 인민해방군 항목에서는 중까가 작성했는지, J-10A는 4.5세대로 분류했지만, J-10B를 4세대로 분류해 놓았는데, 실제로 J-10B는 A의 업그레이드형이기 떄문에 4.5세대여야 맞다. 고로 아무리 적게잡아도 중국의 4.5세대기는 500대가 넘는다. 뿐만 아니라 지금 수적으로 가장 많은 MiG-21의 카피인 J-7이 퇴역하는 자리를 모두 J-10계열로 대체할 계획이라고 한다.
- 이동 ↑ People's Liberation Army Air Force
- 이동 ↑ A는 정식 라이센스, B는 무단복제. B형이 열화복제(데드카피)라는 이야기가 있으나, 러시아측 이야기로는 직수입한 Su-27한 지적재산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어느정도는 러시아제 기술을 섭취해 만들었다고 봐야할듯.
- 이동 ↑ 전략폭격기로 쓸 뿐 아니라, 방공구축함을 공격하기 위한 공대함 미사일 플랫폼으로도 쓴다.
- 이동 ↑ http://en.wikipedia.org/wiki/Hongdu_L-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