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병기 둘러보기 | ||||||||||||
1차 세계대전 | 연합군 | 독일 제국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이탈리아 왕국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
제트전투기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
유럽 | 아시아 |
선양 항공기 제작공사(沈阳飞机工业 Shenyang Aircraft Corporation) J-11 (歼-11)
중국의 Su-27 카피형. NATO 코드명은 Flanker B+
90년대까지 MiG-21을 베이스로 한 J-7, J-8을 주력기로 삼은 중국 공군의 안습한 사정을 타개하기 위해서, 급전이 필요한 러시아[1]와 계약을 맺고 25억 달러에 중국에서 Su-27을 200대 라이센스 생산하기로 하는 계약을 맺었다. 물론 중국이 제대로 생산할 수 없는 엔진, 레이더, 그리고 항공전자장비(Avionics : 애비오닉스)는 러시아가 제공하기로 약속했다.
아무리 당시 경제적으로 막장이었던 러시아지만, 잠재적 적국인 중국에게 자국의 최신예 전투기를 라이센스 생산하게 한다는 것은 꺼림칙한 일이었다. 그래서 처음에는 Su-27보다 체급과 성능이 한단계 낮은 MiG-29를 제시했으나, 중국이 그럼 계약 안할래! 라고 해서 기어이 Su-27 생산 라이센스를 받아냈다.
그런데 러시아는 95대분의 부품까지 인도하였으나 2006년 이후 공급을 중단했다. 중단 이유는 중국이 계약을 어기고 역공학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부품들을 뜯어보았다는 것이었다.[2] 중국측은 오히려 러시아가 인도한 부품이 불량품이어서 자기네들이 도입을 중단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다운그레이드를 할 때는 아예 부품을 바꿔넣고 말지 불량품을 건네주지는 않기 때문에 중국측이 부품을 불법복제해서 생산한 것이 맞다. 불량품을 건네준다는 것 자체가 신용을 깎고 장사하기 싫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3]
러시아측 주장으로는 중국은 이렇게 계약위반으로 습득한 기술로 자체 생산한 J-10을 만들었다고 한다.
러시아에서 도입한 부품으로 만든 정식 라이센스 생산 전투기는 J-11A라고 한다. 이는 Su-27SK와 동급이다. 그리고 여러 문제가 속출 중이라고 한다. 그 중에서 특히 마하 0.85~1.25 사이의 속도 구간에서 기체 구조의 강도 부족 문제가 지적되고 훈련 비행중 주익의 부착 부분이 (식별될 정도로) 확연히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가 확인되고 있으며, 저공 비행 중 공중 분해되는 사고도 발생했다고 하며. 조종사들은 "러시아에서 생산된 Su-27과 같은 성능이 나오지 않는다" 고 악평한 적도 있다.
중국 내부에서 지적재산권을 어기고 Su-27계열의 전투기를 상당히 역공학적으로 분석하여 습득한 기술로 만든 전투기를 J-11B라고 한다.[4] J-11은 러시아제, J-11B는 반은 중국제이며 J-11B는 수직미익과 주익을 재설계하고 국산 개발의 디지털 플라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채용 등 중국이 독자적으로 개량을 실시했고 Su-27UB와 역할이 같은 복좌형 J-11BS도 있고 J-11의 대지, 대함능력을 향상시킨 J-16이 있다. J-16은 Q-5를 대체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문제는 중국이 국산화한 WS-10A 엔진의 문제가 심각해 충분한 양의 J-11B 전투기를 생산할 수 없으며, 중국 공군 및 해군항공대는 AL-31F 엔진의 도입을 주장하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그냥 있는 것 쓰라는 입장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그나마 AL-31F 엔진의 보유량도 충분치 않아 J-15/16은 생산을 중단해야할 판이며, 중국군의 WS-10A 엔진에 대한 인내심은 이미 한계에 도달한 상황이라고 한다. # 다만 2013년부터는 러시아로부터 AL-31F와 AL-31FN 엔진 등을 도입해가고 있다. 아무래도 엔진 기술은 상당한 노하우가 있어야 하며, 제대로 만드는 나라가 미국, 영국, 러시아, 프랑스 정도임을 감안하면, 중국이 제대로 된 엔진을 만드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려야 하고 그 전까지는 러시아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을 듯 하다.
2000년대 초반만 해도 중국 공군은 MiG-21을 베이스로 한 J-7과 J-8를 주된 제공전투기로 썼고, MiG-19를 베이스로 한 Q-5를 주력 지상공격기를 쓰는 안습한 상태였으나, 이제는 Su-27를 베이스로 한 J-11과 J-16을 주력으로 사용하면서 로우 엔드로 F-16급으로 평가받는 J-10, 그리고 더 나아가 스텔스기인 J-20, FC-31을 라인업에 추가하려고 하고 있으니 역시 세계 2위까지 오른 중국 경제를 기반으로 한 쇼미더머니의 위력은 놀랍다.
그리고 한발 더 나아가 항공모함 탑재형인 J-15까지 카피 생산했다. 원래 러시아로부터 Su-33을 도입하려고 했으나, 그 전에 라이센스 위반 문제가 불거져나와 수출은 무산되었다. 기어코 우크라이나에 있던 Su-33의 시험기인 T-10K-3를 구매하여 J-15 개발에 성공하기는 했지만 핵심인 항공전자장비, 레이더, 엔진 등 내부장비는 중국이 독자개발한 것들이라 전체적인 전투력은 Su-33과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아마 상당히 질이 떨어질 수도 있다.- ↑ 당시 러시아군은 경제난 때문에 소련 시절 200만 대군을 수십만으로 감축했을 정도로 막장이었다
- ↑ 대한민국 공군도 마찬가지의 계약으로 어떤 미제 부품, 가령 AIM-120이나 AIM-9같은 미사일은 뜯어보지 못한다. 그런데 가끔 미국 외교전문지 등에서 한국군이 몰래 부품을 뜯어보고 기술을 훔쳐간다며 비난하는 일이 종종 있다.
- ↑ 적국이었던 미국에까지 자국의 무기를 제시했다. 미군이 채용하지는 않았지만.
- ↑ 라이센스 없이 생산한 100여대의 비라이센스 Su-27인 J-11B가 형편없는 성능의 데드카피 기체라고 평가하는 밀덕들이 있지만 이는 전후관계를 살펴보면 중국측이 러시아의 기술을 상당히 흡수했다고 보여지기 때문에, 근거가 희박하다. 중국측은 러시아의 Su-27계열의 전투기를 리버스 엔지니어링 하여 상당히 역공학적으로 분석을 하였기에 J-11B는 Su-27의 기술을 자기 기술로 습득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원판에는 못미칠지 모르지만, 어느정도는 성능을 낸다고 봐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