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7

아시아의 제트전투기
개발/도입년도중국인도이스라엘일본대한민국터키이란대만
1940년대J9Y 깃카
Ki-201
1950년대J-2,J-5
1960년대J-6
J-7
HF-24
1970년대J-12네샤
크피르
미쓰비시 F-1
1980년대J-8 / J-9
J-7E/G / J-13
라비
1990년대JH-7
J-11
나메르아자라크쉬F-CK-1 경국
2000년대J-10
FC-1
F-2 바이퍼 제로사에케
M-ATF
2010년대J-15/J-16
J-20/FC-31
테자스FA-50 골든이글카헤르 313
보르한
샤파크
도르나
2020년대AMCA
FGFA
F-3KFXTFX
항공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연합군
독일 제국
전간기
프랑스
2차 세계대전
미국
영국
나치 독일
일본 제국
이탈리아 왕국
소련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스위스
태국
프랑스
제트전투기
미국
러시아
프랑스
유럽
아시아

파일:Attachment/J-7/20090319190803 154068958901.jpg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의 J-7

파키스탄 공군의 F-7P

MiG-21을 역설계하여 제작한 중국의 제트 전투기. 제작사는 청두 항공기 공업 그룹(成都飛機工業集団 Chengdu Aircraft Industries (Group) Corporation) J-7은 섬격(殲擊)-7형이라는 뜻이다.

1 개발 배경

중국은 MiG-19를 J-6으로 생산한 것에 이어 MiG-21F-13을 J-7이라는 명칭으로 라이센스 생산하기로 하고 1961년에 합의하였다. 그러나 도착한 샘플용 미조립 기체와 녹다운 생산 키트를 가지고 라이센스 생산을 준비하던 상황에서 중-소결렬로 소련 기술자들이 본국으로 철수하자 이전에 J-6 생산 경험을 가지고 소련의 기술진이 남기고 간 도면과 부품을 가지고 연구해가면서 독자적인 생산을 추진하게 된다.

그러니까 J-6은 MiG-19와 완전 동일한 카피형으로 볼 수 있지만, J-7은 어느 정도 중국의 기술이 들어간 기종이다. 자체적인 개발을 통하여 완성하다보니 하나 하나 기술을 습득하면서 개발하였기에 시간이 오래 걸렸고 문화대혁명의 여파로 한동안 기술개발이 중단되기도 하였다. 첫 비행은 1966년 1월17일에 성공하였고 1년 반간의 시험 비행을 거쳐 1967년 6월에 대량생산이 결정되었다. 소련과의 관계 악화로 여전히 MiG-19가 주력인 중국 공군은 마하 2급의 전투기가 절실히 필요하였기에 생산은 서둘러 추진되어 1967년 3월부터 일선부대에 배치되었고 미국의 U-2 정찰기 요격에 사용하기도 하였고 1967년 6월에 U-2를 격추하기도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시기에 등장한 J-7은 MiG-21F-13의 복사본으로 주로 중국 공군이 사용하였고 수출형 일부가 알바니아, 이집트, 탄자니아에 판매되었다.

개발을 통해 축척된 기술을 기반으로 1975년부터 J-7의 독자적인 개량형 개발을 실시하게 된다. 개량 부분은 엔진의 추력 향상, 사출좌석 개량, 신형 캐노피 채용, 연료 탱크 추가장착 등이 실시되었고 1978년 12월에 첫비행을 실시하였다. 1980년부터 생산한 이 기체는 J-7Ⅱ로 불리고 수출형은 F-7B이다.

중국은 지속적으로 개량을 실시하여 주익을 이중 델타익으로 개량한 J-7E, 서방제 장비 탑재한 F-7M(1979년 5월 개발 시작, 1984년 11월 개발 종료 후 1985년부터 수출시작), J-7의 주요 고객인 파키스탄군의 요구로 AIM-9 사이드 와이더 장착과 미제 사출좌석을 장비한 F-7P, F-9MP형이 있다.

중국 공군의 내부 수요를 위해 F-7M에 적용된 기술을 활용하고 신형 대형 레이더를 장착하여 MiG-21MF급으로 성능을 끌어올린 전천후 요격기인 J-7Ⅲ을 개발하였다. 1984년에 첫 비행에 성공후 1985년부터 배치되었으며 현재 배치되어 있는 J-7은 전부 이 사양이다.

중국은 1980년대부터 해외 판매가 부진해지자 J-7의 후속기 개발로 슈퍼 F-7을 계획하게 되는데 그것이 FC-1으로 이어진다.

2 현황

1990년대 후반까지 주력기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2000년대부터 퇴역하기 시작했고, 2010년에 현역으로 남아있는 댓수는 연습형까지 합해서 300여 대 정도이다. 현재 중국 공군의 주력은 J-7이 아니라 Su-27의 중국 버전인 J-11J-10이며, J-8은 J-7과 J-10을 이어주는 역할을 2000년대 잠깐 했다.

수출형은 F-7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는데 중국의 외교 전략에 이용되어 제3세계의 나라들에 여러 대 수출되거나 원조되었다. 수출 대수는 약 1,700~1,800기.

F-7을 도입한 나라 중에 재미있는 곳이 이집트인데, 현재는 F-16M1 에이브람스, AH-64 아파치 같은 최신형 미제 무기를 운용하는 나라이지만 이스라엘과 수교하기 전에는 소련과 중국으로부터 막대한 군사원조를 받아 MiG-21과 F-7을 모두 운용했었다. 이집트는 F-7 이외에도 Il-28의 중국 버전인 H-5도 도입했었다.

파키스탄MiG-19의 중국 버전인 F-6을 도입해 운용해본 결과 꽤 만족하고 F-7도 도입했다. 파키스탄이 도입한 F-7P/PG의 경우에는 윈드실드 프레임을 없애 시야가 좋아지고 미제 사이드와인더 운용능력을 갖추고 있다. 파키스탄의 F-7은 2015년까지 운용하고 JF-17로 대체될 예정에 있다.

북한도 40여 대 보유하고 있지만 북한이 도입한 F-7은 파키스탄의 것처럼 현대적인 개량을 거친 것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북한의 MiG-21이 대부분 J-7이라고 생각하나 사실은 북한이 보유한 MiG-21 피쉬베드 계열 전투기 중 1/3에 불과하다. 한국과 중국이 수교한 후에는 중국이 전투기를 안 팔아서 1990년대 카자흐스탄에서 중고 MiG-21 30여 대를 대당 100만 달러의 헐값으로 구매했다.

중국 내에서는 수가 많다보니 여러 가지 실험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J-8, J-10 등을 개발할 때 J-7을 이용해서 에어 인테이크나 항공전자장비를 달아서 실험해봤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