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서

계절24절기(節氣)
立春
입춘
雨水
우수
驚蟄
경칩
春分
춘분
淸明
청명
穀雨
곡우
여름立夏
입하
小滿
소만
芒種
망종
夏至
하지
小暑
소서
大暑
대서
가을立秋
입추
處暑
처서
白露
백로
秋分
추분
寒露
한로
霜降
상강
겨울立冬
입동
小雪
소설
大雪
대설
冬至
동지
小寒
소한
大寒
대한


한반도 여름대단원

처서(處暑)는 24절기의 하나로 입추백로의 사이에 있다. 양력으로 8월 23일경이며[1] 이 시기부터 여름과 더위가 수그러지기 시작한다고 한다. 실제로 대한민국에서도 입추 때만 하더라도 더위의 절정이었지만 처서에 접어들면 열대야가 사라지고, 푹푹 찌는 더위의 주 원흉인 습도가 서서히 가라앉으며, 매미소리도 자취를 감추기 시작한다.[2] "처서가 지나면 참외맛이 없어진다", "처서가 지나면 모기입도 삐뚤어진다"라는 말이 그래서 나왔다. 하지만 무더위가 물러가자 모기들이 기를 펴기 시작하기도 한다 11월인데 모기가 극성인 헬게이트 지역도 일부 있긴 하지만 실질적인 체감 의미로 받아들인다면 가을 기후로 접어들기 시작하는 처서 시기가 즉 처서임과 동시에 진정한 입추라고 할 만 하겠다.

"처서에 비가 오면 곡식도 준다."는 속담이 있는데 이는 처서에 비가 오면 흉년이 든다는 의미다. 아무래도 시기가 곡식이 여물어갈 무렵인 만큼 비가 오면 그만큼 치명타로 작용하기 때문인듯 하다. 태풍이 불어닥치는 시기이기도 하다.

다만 연도마다 간혹 예외가 있어서 폭염이 심한 해의 경우는 처서 시기에도 입추 못지 않게 매우 무더울 수도 있다. 가령 2016년에는 7월 하순부터 기록적인 장기 폭염이 처서인 8월 23일에도 이어져 최저 기온이 25도 이상, 최고 기온이 35도를 찍는 등 한반도가 뜨겁게 달아오른 바 있다. 그리고 거짓말 같이 3일 후인 8월 26일 서울의 아침 최저기온이 19.5도까지 떨어졌다 흠좀무.. 하루만에 최저기온이 6도나 떨어지는 기적
  1. 이 날은 점성술에서 처녀자리가 시작되는 날이기도 하다.
  2. 다만 이때를 전후로 확 시원해지는 건 아니고, 대낮의 더위는 추분때까지 한동안 남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