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추의 여지가 없다"라는 말의 입추立錐와는 관계가 없다. 이건 송곳 꽂을 땅도 없다는 이야기다.
계절 | 24절기(節氣) | |||||
봄 | 立春 입춘 | 雨水 우수 | 驚蟄 경칩 | 春分 춘분 | 淸明 청명 | 穀雨 곡우 |
여름 | 立夏 입하 | 小滿 소만 | 芒種 망종 | 夏至 하지 | 小暑 소서 | 大暑 대서 |
가을 | 立秋 입추 | 處暑 처서 | 白露 백로 | 秋分 추분 | 寒露 한로 | 霜降 상강 |
겨울 | 立冬 입동 | 小雪 소설 | 大雪 대설 | 冬至 동지 | 小寒 소한 | 大寒 대한 |
입추(立秋)는 24절기의 13번째로 대서와 처서의 사이에 있다. 태양 황경이 135도가 될 때이다. 음력에서는 가을이 시작하는 날이다. 양력으로는 8월 7일내지 8월 8일에 든다.
사실 입추라는 말이 무색하게 대한민국에선 입추 다음에 곧장 말복이 기다리고 있다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더위의 최고 절정일 때이다. 이는 중국 화북지방의 날씨에 맞추었기 때문. 즉 대한민국에서 실질적으로 가을 날씨에 접어드는 기점은 입추가 아닌 처서 시기이다. 처서가 오면 본격적으로 가을이 찾아오기에 일찌감치 기분전환한다고 생각하면 좀 나을 것이다.[1] 농촌에서는 입추만 되어도 김매기가 끝나 농한기에 접어드는 타이밍이기도 하다.
라디오에서는 이 시기를 전후해서 이문세의 '가을이 오면' 이라는 노래를 정말 많이 틀어준다.. 모든 방송사 주파수 합치면 수백번은 거뜬히 채울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