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현배

120697_16772_23_33.jpg[1]
崔鉉培 1894.10.19~1970.03.23

대한민국한글학자이자 문학인. 호는 외솔이며 울산 출신이다. 본관은 경주 최씨.

1894년 경상남도 울산[2]에서 태어났으며 후에 경성[3]으로 상경하여 경성보통고등학교에 입학하였다. 학생시절 한힌샘 주시경을 처음으로 만나게 되어서 조선어학강습원에서 국어학 및 문법 등을 이수하였다.

3.1 운동이 일어났던 1919년에 일본 도쿄로 건너가서 히로시마(廣島)에 있는 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에 한국인 학생으로 입학하여 졸업하였고 중학교 교사 자격증을 받았으나 이후 조선으로 귀국하여 고향인 울산으로 귀향한 후 조선인 상권확보의 목적으로 공동상회를 설립하였다.

1920년에는 경상남도 부산(현재의 부산광역시)으로 내려가 부산에 있는 동래고등보통학교에서 교사로 재임하였으며 1922년에 다시 일본 히로시마로 건너가 히로시마 고등사범학교 연구과에 입학하였고 이후 교토(京都)로 건너가 교토제국대학 문학부 철학과에서 교육학을 이수하였고 1925년까지 동 대학원에서 수업을 받아왔다. 1926년 고국으로 귀국한 후 연희전문학교 교수직을 맡았다가 1938년 흥업구락부 사건이 터지면서 책임을 지고 사임하였다.

1933년에 한글맞춤법통일안 사업에 참여하여 한글보급에 힘써왔다가 1942년 조선어학회 사건조선총독부로부터 주범으로 낙인되어 수감되었다가 1945년 8.15 광복이 되면서 석방되었다.

해방 이후는 미군정청 편수국장이 되어서 국어 교과서 행정을 담당하였고 후에 한글학회 상무이사와 이사장을 겸임하였다. 1951년에는 피난지 부산에서 대통령 이승만의 승인으로 문교부 편수국장을 맡았다. 휴전 후인 1954년 서울특별시로 돌아오게 되면서 연희대학교(현재의 연세대학교)로 복직하여 국문학과 교수가 되었고 이후 문과대학장, 부총장을 맡았으며 1958년에 학술원 부원장이 되었다. 연세대학교는 2001년 문과대학 건물(구 인문관)을 그의 호를 딴 "외솔관"으로 명명하었다. [4]

1962년 생존인물로서 대한민국 건국훈장을 받았으며 1970년 노환으로 인해 향년 7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울산 중구에 외솔기념관이 건립되어 있다. 기념관 누리집, 운영 시간 안내 한 때 912번 지선 버스가 여기를 종점으로 삼기도 했지만, 2013년 현재는 한블럭 아래 병영초 정류장을 거쳐 더 북쪽으로 연장되었다.

순우리말에 대하여 큰 관심을 가져서 국가정책으로 순우리말 쓰기 운동을 주도해야 한다는 주장도 했으며[5] '도시락'이라는 말도 이 사람이 만든 것이다. 또한 이승만 정권 시절 1955년 조선일보에 서울이란 이름은 수도 이름으로 맞지 않으므로[6] 바꿔야 한다는 논문을 쓰기도 했다. 이승만도 이것에 관심을 보여서 바꾸려고 논의는 했는데 부하들이 우남으로 바꿔 쓰자고(알다시피 이승만의 호) 하는 통에 독재자인 이승만도 좋아라했다가 미친놈 최현배 선생이 지금 장난치냐고 분노했으며 야당의 결사반대로 그냥 서울이란 이름은 그대로 남게되었다. 자세한 건 서울특별시/역사#s-2.2 참고.

1968년 1.21사태 때 순직한 최규식종로경찰서장이 그의 손자뻘 친척이다.
  1. 사진을 보면 엄청나게 꼬장꼬장하고 엄격한 양반일 것 같은데 실제로는 더했다.
  2. 현재의 울산광역시
  3. 현재의 서울특별시
  4. 신관인 제2인문관은 정인보의 호를 딴 "위당관"으로 명명
  5. 그녀라는 단어 사용에 대해 강하게 비판한 사람 중 하나이다. 그녀 항목 참조.
  6. 서울이란 말 자체가 수도를 가리키는 순우리말이다. '근데 수도이름이 '수도'라니...?'라는 것이 이 주장의 근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