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시경

width=50%
건국훈장
대통령장(複章) 수훈자
강기동구춘선권동진권병덕김경천
김동삼김병조김붕준김상옥김성수
김완규김익상김지섭김하락나석주
나용환나인협남상덕남자현노백린
린썬문창범문태수민긍호민종식
박동환박열박승환박용만박은식
박준승백용성신규식신돌석신석구
신채호신홍식쑨커쑹자오런안재홍
양기탁양전백양한묵E. 배설언더우드
여운형여지이연기우오세창오화영
유동열유여대유인석윤기섭위빈
이갑성이동녕이동휘이명룡이범석
이범윤이봉창이상설이상재이승희
이위종이은찬이인영이재명이종일
이종훈이필주임예환장건상장인환
전명운전해산정환직조성환조완구
주자화주시경지청천채상덕천청
최석순최성모탕지야오편강렬홍기조
홍범도홍병기황싱

주시경(周時經)
1876년 12월 22일 ~ 1914년 7월 27일[1]).

1 소개

“오늘날 나라의 바탕을 보존하기에 가장 중요한 자기 나라의 말과 글을 이 지경을 만들고 도외시한다면, 나라의 바탕은 날로 쇠퇴할 것이요 나라의 바탕이 날로 쇠퇴하면, 그 미치는 바 영향은 측량할 수 없이 되어 나라 형세를 회복할 가망이 없을 것이다. 이에 우리 나라의 말과 글을 강구하여 이것을 고치고 바로잡아, 장려하는 것이 오늘의 시급히 해야 할 일이다.” -주시경의 저서 <국어문전음학> 중에서-

한국어의 중세 시대를 끝내고, 근대성을 획득한 언어의 반열에 올려 놓은 한국어의 아버지이자 한글의 아버지
주시경 - 최현배 - 허웅이라는 전설적인 국어학계 계보의 필두

대한민국의 국어학자이며, 언어민족주의자이다. 호는 한힌샘이다.
 
'한글'이라는 말부터 '한(큰, 많은, 넓은)' + '글'이라는 뜻에서 주시경이 만든 명칭이라고 한다.[2] 주시경의 제자들 또한 이후 국어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2 생애

황해도 봉산군 출생, 상주 주씨 17세손이다. 그가 국어를 연구하게 된 계기가 어릴 때 서당에서 한문을 배우다가 한문 강독법에 의문을 품게 된 것. 당시 한문 강독법은 한문 원문을 그대로 음독하여 달달 외우게 한 뒤, 나중에 우리말 를 붙여 무슨 뜻인지를 풀어주는 방식.
이를테면 學而時習之,不亦說乎->학이시습지,불역열호-> 학이시습지 불역열호->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와 같은 것. 주시경은 마지막 우리말 단계에서야 애들이 말귀를 알아먹는 것을 보고 한문과 우리말의 다름을 인식하고, 우리말의 중요성을 깨달아 그 길로 국어를 연구하게 되었다 한다. 이후 서울로 상경하여 1894년 배재학당에 입학한다. 신학문을 접하여 본격적으로 국어 연구에 매진하게 된다.

독립신문이 출간될 때 순한글로 교정 보는 일을 했으며, 독립협회에도 참여했다가 서재필이 떠난 후에는 제국신문에 글을 싣거나, 이화학당의 설립자 메리 스크랜턴의 한국어 강사, 상동청년학원 강사로 취직해서 살았다. 그 와중에 배재학당을 졸업하였으나 높은 학구열로 흥화학교 양지과(量地科), 정리사 수물학(數物學)을 3년동안 공부했다.
그 엄청난 학구열로 여러 학교의 강사를 맡게 되었다. 간호학교, 공옥학교, 명신학교, 숙명여고, 서우학교의 교원이었으며 협성학교, 오성학교, 이화학당, 흥화학교, 기호학교, 융희학교, 중앙학교, 휘문의숙, 보성중학교, 사범강습소, 배재학당의 강사를 맡았다.

국어교사만 했을 것 같지만 양지과, 수물학를 나왔기에 주산, 지리에도 능했다. 책가방을 쓰지 않고 보따리에 책을 넣고 다녔는데, 빡빡한 수업 일정 때문에 항상 바쁘게 뛰어다녔고, 그로 인해서 보따리가 대차게 휘날리는 탓에 별명이 '주보따리'였다.

1907년 창립된 국문 연구소 등에서 활동했다. 호인 한힌샘을 비롯하여 문법용어, 학술용어들을 토박이말로 지으려는 시도를 처음으로 시도하였는데, 이를 두고 한문에 젖어있던 사람들은 '두루때글'이라며 비웃기도 했다. 두루때글은 주시경의 한자를 새김(훈)으로 읽은 것. 그의 이름에 쓰인 한자들인 두루 주(周)/때 시(時)/ 글 경(經)의 훈독 부분을 이어붙이면 두루때글이 된다.

국어 음운 연구와 국어 문법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최초의 인물. 황무지에서 국어학을 개척하였다고 표현해도 된다. 마지막 저술서인 '말의소리' 에서는 서구언어학보다 앞서간 발견을 하였는데, 구조언어학적 이론을 구체적으로 창안한 세계최초의 업적으로 높이 평가된다. 음운론에서 음소에 해당하는 '고나'의 발견, 형태론에서 어소로 해당되는 '늣씨'의 발견이 그 좋은 예이다. 간단히 말해서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신다아버지께서 방에 들어가셨다로 교정했다.

주시경의 집은 대단히 가난했다. 그래서 어느 날 주시경의 부인이 밥을 얻어왔는데 주시경은 이 찬밥을 상추에 싸서 먹다 급체가 들어 차도가 없이 그대로 급사했다. 향년 39세라는 너무나도 안타까운 요절이었다. 이로 인해 한국 국어학계는 정말 아까운 인재를 일찍 보내야 했다. 제자인 열운 장지영(1887~1976)은 '주시경 선생 50주기 추도식'에서 대놓고 통곡하며 스승의 요절을 애석해 했다. 장지영이 쓴 주시경 회고록은 90년대 중학교 교과서에 실리기도 했는데 여기서도 너무나도 가난했던 주시경 이야기를 언급했었다.

1980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되었다. 아직도 이 사람이 얼마나 대단한지 가늠하기 힘들다면, 비주류인 어문학에 손을 댄데다 생애도 짧았던 이 사람이 왜 위인전이 쓰여지고 건국훈장 대통령장에 추서되었는가에 대해 생각하면 된다.

근대화에 대해서 상당히 개방적인 사고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배재학당에 입학할 적 가족과 의절까지 하며 친구들이 보는 앞에서 앞장서서 머리를 깎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사실 이렇게 진취적이였기에 한글을 지금처럼 정리하는 업적을 남긴 것이겠지만.

3 기타

그의 제자들 중 한 사람이 북한의 초대 수령 겸 한글학자인 김두봉이다.

배재학당의 졸업생인 그를 기념하기 위해 배재고등학교에는 주시경관이라는 건물이 세워져있다.

본래는 기독교 신자였지만 물질적인 침략보다는 정신적인 침략이 더 무서우며, 외국 종교인 기독교를 믿는 것은 이미 정신적인 침략을 받은 것이다 는 이유로 대종교로 개종했다고 한다. 다만 이 주제로 주시경과 논쟁을 벌인 전덕기 목사는 평생 독립운동에 헌신한 애국지사였다.

  1. 사족이지만 주시경이 죽은지 하루 뒤에 유럽에서는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다!
  2. 알다시피 지금의 한글을 발명한건 세종대왕이지만 그 때는 '한글'이라고 하지 않았고 '훈민정음(한글의 개발 자료가 담긴 책의 이름이자 동시에 한글 그 자체를 일컫는 말이였다)' 내지 '언문' 같은 한자어로 표현했다. '한글'이란 표기는 주시경이 만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