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 철로관리국 종관선

臺灣鐵路管理局 縱貫線 / Taiwan Trunk Line

1 개요

중화민국 타이완 철로관리국에서 운영하는 지룽역가오슝역까지 이어지는 주간선 철도노선이다.

핑둥선과 함께 타이완 철로관리국 서부간선을 이루는 2대노선이다. 사실상 서부간선의 거의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며 영어 이름부터 Trunk Line이다.

이 노선의 역사는 의외로 일제가 아니라 청나라 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아편전쟁 이후로 서양 세력에 자기네 해안선을 신나게 털리고 일제가 대만 코앞에 있는 류큐 왕국을 집어삼키자, 대만은 청나라 국방의 요지가 되어 이런저런 국방 인프라를 갖추면서 근대화를 병행했는데, 그 과정에서 대만 서부 해안을 따라 주요 항구도시인 지룽과 신흥도시 타이베이, 그리고 전통적 중심도시 타이난[1] 잇는 1067mm 궤간의 철도계획이 세워졌고, 1880년대 말에 들어서 공사가 시작되어 1891년에는 지룽역에서 시즈역까지, 그리고 1893년에는 시즈역에서 타이베이역, 타이베이역에서 신주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다. 그러나 양무운동으로 재정이 곤궁하여 더 이상의 공사는 진행되지 못했다.

1895년에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대만이 일본 식민지가 되었고, 일제는 대만의 교통망을 정비하기 위해 청나라의 철도 인프라를 물려받아 열악한 부분을 뜯어고치고[2] 가오슝(당시에는 타카우) 쪽에서도 공사를 시작해 1908년에 완공했다.

이후에는 후술할 이유로 1922년에 바이패스 노선인 종관선 해선이 부설되었다. 아울러 대만의 모든 대도시와 인구가 이 종관선을 따라 분포하기 때문에 이용객도 매우 많아 종관선 해선을 제외하고 일찌감치 복선화가 되었고 1970년대에 전철화를 완료했다.

난강역에서 반차오역까지의 타이베이 시내 구간은 건널목으로 인한 도로 정체 문제와 지역 미관 정비를 이유로 지하화되어 있다. 현재에는 가오슝 시내 구간의 지하화 공사가 진행 중이며 타이난 시내 구간도 지하화가 계획된 상태이다.

2 노선 구조

종관선은 4개의 노선으로 나뉜다.

종관선 북단
종관선 해선(海線)
종관선 산선(山線)(타이중선)
종관선 남단

종관선은 지룽역가오슝역을 연결하는데 먀오리 인근의 주난역에서 해선(海線)과 산선(山線)으로 분기되었다가 장화현장화역에서 다시 합쳐져서 가오슝역까지 가서 핑둥선과 직결된다.

종관선 산선(山線)의 경우 타이중을 지나가기 위해 난공사를 무릅쓰고 산속 깊은 곳으로 노선을 뚫었으나 기관차의 능력부족으로 언덕을 넘어갈때 많은 량수의 열차가 통과하지 못했고, 이에 따라 화물이 역에 산적되어서 오도가도 못하는 "체화 사건(滯貨事件)"이라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결국 해안쪽을 따라가는 우회루트인 종관선 해선(海線)을 일제가 1922년에 새로 만들어서 개통했다. 종관선 산선(山線)의 경우 공식적으로는 본선인데도 불구하고 타이중선이라는 별도의 이름이 붙어있으므로 해당 항목 참조. 이렇게 된 이유는 해선이 개통한 이후 열차가 주행하기 편한 해선이 종관선 본선이 되었기 때문이며, 현재는 타이중선이 다시 본선이 되었지만 노선 이름을 바꾸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타이베이역에서 열차를 탈때 TRA소속의 열차는 같은 가오슝을 가는 열차라도 종관선 산선(타이중선)을 경유하면 (山), 종관선 해선을 경유하면 (海)라는 표시가 붙어있다. (山)의 경우 타이중과 먀오리 시내를 경유하고, (海)의 경우 외곽으로 빠진다.

3 역 목록

굵은 글씨는 타이완 고속철도 정차(예정)역이다. 관용적으로 자주 쓰는 표기법 이외에는 외래어 표기법/중국어에 따라 역 이름을 표기했다.

3.1 종관선 북단

역명영업
거리
환승 노선소재지
지 룽
基隆
0.0지룽
싼 컹
三坑
1.3
이란선
바 두
八堵
3.7이란선
치 두
七堵
6.0
바이푸
百福
8.7
우 두
五堵
11.7신베이
시 즈
汐止
13.1
시 커
汐科
14.6
난 강
南港
19.1타이완 고속철도, 타이베이 첩운 반난선타이베이
쑹 산
松山
21.9타이베이 첩운 쑹산신뎬선
타이베이
台北
28.3타이완 고속철도, 타이베이 첩운 반난선,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타오위안 공항 첩운[3]
완 화
萬華
31.1타이베이 첩운 반난선(룽산스역 역외환승)
반차오
板橋
35.5타이완 고속철도, 타이베이 첩운 반난선신베이
푸저우
浮洲
38.0
수 린
樹林
40.9
난수린
南樹林
42.9
산 자
山佳
44.8
잉 거
鶯歌
49.2
린커우선[4]타오위안
타오위안
桃園
57.4린커우선[5]
네이리
內壢
63.3
중 리
中壢
67.3타오위안 첩운 남선[6]
푸 신
埔心
73.1
양메이
楊梅
77.1
푸 강
富岡
83.9
베이후
北湖
87.1신주현
후커우
湖口
89.6
신 펑
新豐
95.8
주베이
竹北
100.6
네이완선신주시
베이신주
北新竹
105.0네이완선
신 주
新竹
106.4네이완선
싼싱차오
三姓橋
111.2
샹 산
香山
114.4
치 딩
崎頂
120.8먀오리
주 난
竹南
125.4
↓ 종관선 해선(海線), 종관선 산선(山線)(타이중선)

3.2 종관선 해선(海線)

종관선은 원래 타이중선이 본선이므로 해선(해안선)의 경우 영업거리를 따로 계산한다.

과거 해선이 본선 역할을 하던 때에는 타이중선의 영업거리를 따로 계산하고 종관선 해선을 본선 영업거리에 넣은 적도 있었다. 그 당시에는 산을 타고 올라가는 타이중선보다 해선의 거리가 더 짧았는데, 지금은 타이중선이 개량되어 타이중선의 거리가 더 짧다.

역명영업
거리
환승 노선소재지
종관선 북단
주 난
竹南
0.0먀오리
↘ 종관선 산선(山線)(타이중선)
탄 웬
談文
4.5
다 산
大山
11.2
허우룽
後龍
15.0
룽 강
龍港
18.6
바이샤툰
白沙屯
26.7
신 푸
新埔
29.8
통샤오
通霄
35.6
위안리
苑裡
41.7
르 난
日南
49.4타이중
다 자
大甲
54.0
타이중 항구선
타이중항구
台中港
59.3타이중 항구선
칭수이
清水
65.3
샤 루
沙鹿
68.5
룽 징
龍井
73.1
다 두
大肚
78.1
주이펀
追分
83.1
청주이선(成追線)
↙ 종관선 산선(山線)(타이중선)
장 화
彰化
90.2장화현
종관선 남단

3.3 종관선 산선(山線)

종관선의 본선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타이중선 참조.

3.4 종관선 남단

영업거리는 타이중선에서 계속 이어진다.

역명영업
거리
환승 노선소재지
↑ 종관선 해선(海線), 종관선 산선(山線)(타이중선)
장 화
彰化
210.9장화현
화 탄
花壇
217.5
다 춘
大村
222.1
위안린
員林
225.6
융 징
永靖
229.1
서 투
社頭
232.8
티안중
田中
237.1
얼수이
二水
242.9지지선
지지선
린네이
林內
251.0윈린
스 류
石榴
255.8
더우류
斗六
260.6
더우난
斗南
268.2
스구이
石龜
272.1
다 린
大林
276.7자이현
민 슝
民雄
282.5
자베이
嘉北
289.2자이시
자 이
嘉義
291.8아리산 삼림철도[7], 자이 첩운[8]
수이상
水上
298.4자이현
난 징
南靖
301.0
허우비
後壁
307.0타이난
신 잉
新營
314.7
류 잉
柳營
318.0
린펑잉
林鳳營
321.9
룽티안
隆田
327.4
바 린
拔林
329.6
산 화
善化
334.2
난 커
南科
337.1
신 스
新市
341.8
융 캉
永康
346.8
다차오
大橋
350.5
타이난
台南
353.2
바오안
保安
360.8
런 더
仁德
362.2
중저우
中洲
364.8샤룬선
샤룬선
다 후
大湖
367.7가오슝
루 주
路竹
370.6
강 산
岡山
378.4가오슝 첩운 홍선[9]
차오터우
橋頭
382.0가오슝 첩운 홍선
난 쯔
楠梓
386.2
신쭤잉
新左營
391.3타이완 고속철도, 가오슝 첩운 홍선
쭤 잉
左營
393.2
네이웨이
內惟
394.8
미술관
美術館
396.0
구 샨
鼓山
397.8
산카이춰
三塊厝
399.3
가오슝
高雄
399.8타이완 고속철도,[10] 가오슝 첩운 홍선
핑둥선
쭤잉역가오슝역 사이의 역들은 2017년 가오슝시내 지하화 겸 첩운화 공사가 끝나면 새로 개업하는 역들이다. 구샨역은 원래는 화물역이나 새로 여객역이 들어서게 된다.
  1. 타이베이가 명실상부한 대만의 중심 도시가 된 것은 일제시대 이후이다. 청나라는 청일전쟁 직전에 대만 성을 만들면서 성도를 타이베이에 둔 것을 제외하면 타이난을 중심으로 대만을 통치했다.
  2. 타이베이~신주 구간은 청나라의 재정 부족으로 이것저것 열악한 부분이 많아 노선 변경이 있는 등 거의 새로 깐 것이나 다름없다고 한다.
  3. 공사중, 역외환승 예정.
  4. 폐선
  5. 폐선
  6. 건설중
  7. 궤간이 다른(762mm) 경편철도라서 직결되지 않고 환승으로 처리한다.
  8. BRT이다.
  9. 계획중
  10. 계획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