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래어 표기법/중국어

1 개요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에서 정한 외래어 표기법 중 중국어(정확히는 표준중국어)를 표기하는 방법으로, 문교부 고시 제85-11호로 공포되었다.

2016년 현재 사용되는 표기법은 1986년에 제정·고시된 것으로, 대부분의 외국어의 표기법과 마찬가지로 중국어의 표기법도 이때 기본이 확립되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다.

국내 각종 매체 및 기관에서 한글로 중국어 표기를 하기 위해 쓴다. 세계적으로 중국이 본격적으로 부상하기 시작한 건 2000년대 이후이며 국내에서 현대 중국 문화는 현대 일본 문화에 비해 영향력이 적은 편이라 일본어 표기법만큼의 논란은 아직은 크게는 없는 듯하다. 그러나 표기법에 관해서는 오덕계보다는 중국어학계에서 고유 명사 표기 방식을 비롯해서 현행 중국어 표기 방식에 많은 문제점을 느끼고 있는 듯하다(참고). 문제는 중국어학계 내부에서도 문제점은 느끼고 있지만 의견 통일이 쉽지 않다는 것.

실질적으로 대조표를 구성하고 있는 주음부호는 우리가 흔히 접하는 대륙 중국어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한어병음과의 대조표로 새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1] 위키러가 만들었다. 병음 대조표 그러나 주음부호와 한어병음으로 표기한 중국어 음절은 1대 1로 대응되고 표기법에 한어병음도 같이 나와 있기 때문에, 그게 큰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2]

2 규정

2.1 중국어의 주음부호와 한글 대조표

성모(聲母)
한어 병음Wade-Giles주음부호IPA한글
bp[p]
p[pʰ]
mm[m]
ff[f]
dt[t]
t[tʰ]
nn[n]
ll[l]
gk[k]
k[kʰ]
hh[x]
jch[t͡ɕ]
qchʻ[t͡ɕʰ]
xhs[ɕ]
zh {zhi}ch {chih}[ʈ͡ʂ]ㅈ {즈}
ch {chi}chʻ {chʻih}[ʈ͡ʂʰ]ㅊ {츠}
sh {shi}sh {shih}[ʂ]ㅅ {스}
r {ri}j {jih}[ʐ]~[ɻ]ㄹ {르}
z {zi}ts {tzŭ}[t͡s]ㅉ {쯔}
c {ci}tsʻ {tzʻŭ}[t͡sʰ]ㅊ {츠}
s {si}s {ssŭ}[s]ㅆ {쓰}
운모(韻母)
한어 병음Wade-Giles주음부호IPA한글
aa[ɑ]
oo[ɔ]
eê[ɯ̯ʌ], [ə]
êe[ɛ]
yi (i)i[i]
wu (u)wu (u)[u]
yu (u)yü (ü)[y]
aiai[aɪ̯]아이
eiei[eɪ̯]에이
aoao[ɑʊ̯]아오[3]
ouou[ɤʊ̯]어우[4]
anan[an]
enên[ən]
angang[ɑŋ]
engêng[əŋ]
er (r)êrh[ɑɻ][5]
ya (ia)ya (ia)ㄧㄚ[i̯ɑ]
yoyoㄧㄛ[i̯ɔ]
ye (ie)yeh (ieh)ㄧㄝ[i̯ɛ]
yaiyaiㄧㄞ[i̯aɪ̯]야이[6]
yao (iao)yao (iao)ㄧㄠ[i̯ɑʊ̯]야오[7]
you (ou, iu)yu (iu)ㄧㄡ[i̯ɤʊ̯][8]
yan (ian)yen (ien)ㄧㄢ[i̯ɛn]
yin (in)yin (ien)ㄧㄣ[in]
yang (iang)yang (iang)ㄧㄤ[i̯ɑŋ]
ying (ing)ying (ing)ㄧㄥ[iŋ]
wa (ua)wa (ua)ㄨㄚ[u̯ɑ]
wo (uo)wo (uo)ㄨㄛ[u̯ɔ]
wai (uai)wai (uai)ㄨㄞ[u̯aɪ̯]와이
wei (ui)wei (uei, ui)ㄨㄟ[u̯eɪ̯]웨이 (우이)
wan (uan)wan (uan)ㄨㄢ[u̯an]
wen (un)wên (un)ㄨㄣ[u̯ən]원 (운)
wang (uang)wang (uang)ㄨㄤ[u̯ɑŋ]
weng (ong)wêng (ung)ㄨㄥ[ʊŋ], [u̯əŋ]웡 (웅)
yue (ue)yüeh (üeh)ㄩㄝ[y̯œ][9]
yuan (uan)yüan (üan)ㄩㄢ[y̯ɛn]위안[10]
yun (un)yün (ün)ㄩㄣ[yn]
yong (iong)yung (iung)ㄩㄥ[i̯ʊŋ]

※ { }는 단독 발음될 경우의 표기임.[11]
※ ( )는 자음이 선행할 경우의 표기임.

2.2 중국어의 병음과 한글 대조표

병음 대조표 문서 참고.

2.3 표기 세칙

제1항 성조는 구별하여 적지 아니한다.
제2항 'ㅈ, ㅉ, ㅊ'으로 표기되는 자음(주음부호 ㄐ, ㄓ, ㄗ, ㄑ, ㄔ, ㄘ) 뒤의 'ㅑ, ㅖ, ㅛ, ㅠ' 음은 'ㅏ, ㅔ, ㅗ, ㅜ'로 적는다.

주음부호는 20세기 초 중국에서 한자를 대신할 문자로 공표되었지만, 이후 한자의 발음 기호로 축소되어 한자의 발음을 나타내는데 널리 쓰였고, 이후 로마자를 사용하는 한어 병음 방안이 등장한 이후로는 현재 중국에선 쓰이지 않으며 대만에서만 초등 교육 초기에 가르친다.

3 문제점

二, 而, 儿/兒, 耳 등의 글자는 er로 표기하여 '얼'이라고 발음한다지만, 전문 용어로 권설운(捲舌韻)이라고 하고, 정확히는 [ʐ]~[ɻ]로 표기하는, 혀를 완전히 말아서 내는 영어 R 발음([ɹ])에 가깝다. er을 기계적으로 '얼'로 표기할 경우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 참조.

한어 병음 표기인 -ia, -ian, -ie는 이중 모음이 들어가면 일부 표기와 모순된 부분을 보이기도 한다(예: bian은 볜으로 표기하지만 jian은 젠으로 표기하는 것 등). 그러나 이것은 외래어 표기법 전체에 ㅈ, ㅉ, ㅊ 다음에 /j/ 발음이 포함된 이중 모음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공통된 정책(ㅈ, ㅉ, ㅊ 다음의 이중 모음)으로 인해 생기는 어쩔 수 없는 현상이다. 외래어 표기법 전체를 뜯어고치지 않는 이상 '졘'과 같은 표기는 표준화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yuan(ㄩㄢ)을 '위안'에 가깝게 발음하는 사람들은 '위엔'에 가깝게 발음하는 사람들에 비해서 중국 북부에서 얼마 되지 않는다.

이상의 문제는 단순히 발음상의 미묘한 문제지만 결정적인 오타가 난 부분도 있다. ㄩ, ㄩㄝ, ㄩㄢ, ㄩㄣ에 해당하는 (자음이 선행할 때의) 한어 병음 표기를 각각 u, ue, uan, un으로 표기한 것. ü, üe, üan, ün이 옳다. 표에서는 ü의 움라우트(점 두 개)가 빠졌다. 자음이 없거나 선행할 시 움라우트가 생략되는 경우는 ㄐj, ㄑq, ㄒx의 뒤에 올 때에만 국한되며, 그 외의 자음이 올 경우에는 모두 점을 찍어 주어야 한다(예: 女 nǚ, 虐 nüè, 绿 lǜ, 略 lüè). 그렇지 않고 ㄩu, ㄩㄝue, ㄩㄢuan, ㄩㄣun으로 적는다면, (ㄩㄝue는 그렇다 쳐도) ㄨu, ㄨㄢuan, ㄨㄣun과 어떻게 구별하겠는가(…). 아마도 ㄩü 앞에는 주로 ㄐj, ㄑq, ㄒx 자음이 오기 때문에 움라우트가 생략된 표기가 기본형이라고 오해한 듯.[12]

3.1 중국어 한글 표기 논쟁: 보통화음 대 한국 한자음

사실 꽤나 최근까지는 보통화 발음이 아닌 한국 한자음으로 표기했으나 현행 외래어 표기법은 원음 표기 주의로 통일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이에 따른 불만도 많고 국어 한자음 표기를 고수하는 사람들도 있다.

현재의 방침은 '1911년 신해혁명' 이전의 인명과 지명은 한국 한자음으로 적되 그 이후는 보통화 음으로 적는다는 것. 즉 공자도 중국 사람이지만 쿵쯔라 표기하지 않는다. 이 기준이 꽤나 논란이 되는 것이 신해혁명을 당시 살았던 사람들(예: 쑨원 ↔ 손문, 위안스카이 ↔ 원세개)의 경우엔 굉장히 애매해지며, 특히 지명의 경우에도 그러한데 아직까지 남아 있는 베이징이나 상하이 등은 보통화 발음으로 적지만 이제는 더 이상 없는 지명은 한국 한자음으로 적어야 된다는 아스트랄한 이중 잣대가 되어 버린다.

한편 성룡의 경우 명백히 신해혁명보다 훨씬 후의 인물이기 때문에 보통화 음으로 표기하는 게 맞으나 개인적으로 한국 한자음이나 영어식 이름으로 불러 달라고 요청을 해서 예외에 해당한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고.

3.2 성조 미표시에 따른 지명 및 인명 구분

그 외에도 성조를 따로 표기하지 않기 때문에, 한자와 성조는 다르지만 한글 표기는 같은 지역이 생긴다. 산시(陝西/陕西, Shǎnxī, 섬서) 성과 산시(山西, Shānxī, 산서) 성은 한자도 다르고 성조도 다르지만, 한국어에서 쓰이는 한글로는 이를 구분해 표기할 수가 없다. 저 지역들은 중국 역사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13]하기 때문에 무시하고 넘어가기엔 꽤나 큰 문제이다. 병음 항목을 봐도 알 수 있겠지만, 이건 성조를 뺀 병음 표기에서도 문제가 되는지라 영어(로마자 아님)에서는 陝西/陕西는 예외적으로 병음 표기를 따르지 않고 Shaanxi로 적는다(山西는 Shanxi 그대로 적음). 둘을 반드시 구별해야 한다면 한국 한자음으로 쓰거나, 원음을 좀 희생해서 어느 한쪽의 표기를 다르게 할 수는 있겠지만(다만 이건 외래어 표기법에는 어긋난다), 소리를 기준으로 하는 현 규정에서는 원어에서 다르게 쓰고 똑같이(일정 오차 수준 내에서) 읽는 것을 한글로 다르게 옮기지는 않는다.[14] 미국의 Oakland나 뉴질랜드의 Auckland는 모두 '오클랜드'로 적으며, 金閣寺와 銀閣寺는 외래어 표기법/일본어에 따르면 모두 '긴카쿠지'이다.

중국에서는 한국어 지명과 인명을 중국어 발음으로 읽는다(일본 지명도). 최근 서울의 한명인 '한성'을 서우얼로 바꾸긴 했지만 이것은 한성이라는 이름이 좀 정치적인 논란이 될 소재가 있었기 때문이고 무엇보다 서울은 한자 이름이 아니니(…) 한자 지명인 경우 무조건 중국어 발음으로 읽는다.

4 오덕계에서의 취급

4.1 병음 표기의 일어식 음차 사례

처음에 이야기 했지만 중국은 비교적 최근에 개혁개방 정책을 시작했기 때문에 중국제 서브컬처는 다양성이나 접근성에서 일본제 서브컬처보다 떨어진다. 그러한 이유로 오덕계에선 일본제 서브컬처에서 나오는 중국 관련 요소들을 많이 접하게 되는데, 여기서 문제가 많이 생긴다. 우리말의 중국어 표기는 어느정도 정리가 된 편인데, 일본의 애니메이션, 라이트 노벨, 게임 등을 보면 제대로 된 표기법이 없는 탓인지(일본어는 표준어를 규정하지 않고 있다), 일부에 해당하는 사항이긴 해도 제작진, 작가의 중국어 지식부족 및 혼동으로 인한 오류나 통일되지 않은 부분이 종종 있다. 일본어 발음의 한계를 고려하더라도 이상한 점이다. hua를 ホワ(호와), ホァ(호ㅏ), ファ(fㅏ)로 작품마다 다르게 표기한다든가[15], jiang을 チェン(첸)으로 표기하는 사례도 있다.[16]

위의 것은 애초에 일본에서 중국어 발음을 잘못 적은 경우고, 또 다른 문제로는 청(橙, cheng)을 일본에서 チェン라고 음차한 것까지는 좋았는데 이게 또 한국으로 건너오는 과정에서 그대로 이라고 표기해 버리는 사태가 있는 것처럼 중국어 표기가 일본-한국을 거치는 과정에서 일어 가타카나 표기를 그대로 받아들여버리는 일도 꽤 많다. 대표적으로 중국어의 ng 발음을 일본에서는 ン이라고 하는데, 이걸 한국어로 중복 음차해 버리는 바람에 ㅇ 받침이 아닌 ㄴ 받침이 되어 버리는 것. 이러한 사례들의 최대 피해자(?)는 국내에 알려진 마작 용어들. 한국의 마작은 일본 마작의 영항을 매우 강하게 받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용어들도 중국어의 일본식 발음이나 표기에 의존하게 되었다.[17]

4.2 병음 표기의 영어식 음차 사례

병음 표기를 영어식으로 읽어 버리는 것도 문제. 위키러의 무지에 의한 것이지만 나무위키 곳곳에서 이런 표기를 발견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타이양선(太陽神:태양신)을 타이양"셴"으로 읽은 마션(영화). 그 희생자가 , 등이 있다. 그리고 리그베다 위키에 있는 중화민국의 철도역 이름에서도 흔히 보인다. 쑹산역이 송샨역으로 둔갑하지 않나, tian이 '톈'이 아니라 '티안'이라고 표기되는 것은 차라리 애교 수준. 그나마 나무위키에서는 원음에 가깝게 많이 수정된 편이다. 대만 관련 블로그에서는 영어식으로 읽어버린 병음 표기가 너무 흔해서 사람들이 지명을 죄다 영어식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올림픽이나, 특히 아시안 게임 같은 국제 경기를 하게 되면 많은 중국 선수들이 등장하고 자막에 이들 이름이 표시되는데, 중계하는 아나운서들이 한결같이 영어식으로 읽는 사태가 벌어진다. 고민정 아나운서(전공이 중어중문학)가 출동하면 어떨까

심지어 Huazi라는 이름을 한국 호적에 '후아지'로 잘못 기록한 사례도 존재한다(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화쯔').

한국의 동양증권을 인수한 대만의 위안다(元大) 증권이 한국 내 법인명을 유안타(Yuanta, 성조와 특수 기호를 생략한 웨이드식 표기를 영어식으로 읽은 것)로 한 것도 비슷한 예라고도 할 수 있겠다. 타이베이도 부호를 생략한 Wade-Giles 표기 Taipei의 영향인지 '타이페이'로 적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중국어의 가타카나/병음 표기 → 한국어 음차를 하면서 생기는 이런 문제는 국내의 올바른 중국어 표기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에 혼란을 줄 수 있다. 그렇다고 옳게 음차를 하자니 근본 의미를 알아내서 본래의 중국어 발음을 사전 찾아보면서까지 하기가 귀찮고, 애니메이션, 라이트 노벨쪽 일본어/영어 번역가[18]들이 자기 전문 분야도 아닌데다가, 중국어의 체감 중요도가 아직은 꽤나 미묘해서 '모국어인 한국어, 필수인 영어일본어까지 3개 국어만 해도 머리 아픈데 중국어까지 알아 볼 여유 따위 없다.', '중국어 단어 따위 좀 틀리면 어때.'하는 생각들이 밑바닥에 깔려 있기 때문에[19] 아직까지도 오류가 곳곳에서 생기고 있다.[20] 그러나 정발판의 한글 표기가 꽤 큰 영향을 미치는 이상, '좀 틀리면 어때'와 같은 무책임한 태도 자체는 결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다는 의견도 있다.

Wade-Giles 표기법으로 표기된 Hsieh를 그냥 철자대로 옮겨서 '흐시에흐'라는 표기가 나오기도 한다(네이버 전문 정보의 '흐시에흐', 흐시에흐 옌추엔 대만 국립양민대 교수, 니키 흐시에흐(Nikki Hsieh)[21]). Wade-Giles의 Hsieh는 한어병음의 Xie에 해당되므로,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면 '셰'로 옮기는 것이 옳다. 중국어를 아는 기자들도 많으나 그들은 대체로 한어병음만 알 뿐, 웨이드식 표기는 '이게 뭥미'인가 싶어서 그럴 수도 있다. 아마도 Chou Tzu-yu를 보면 '초우 트주유'로 옮길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다만 나무위키 내에서는 중국 본토나 대만처럼 표준중국어 권역이 아닌 홍콩이나 마카오광동어 사용권의 경우 과거 영국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관계로 본 표기법이 아닌 영어식 명칭이나 구글 검색 결과를 통해 따오는 원칙을 취하고 있다.

5 비공인 표기 체계

5.1 최영애-김용옥 중국어 표기법(CK 중국어 표기법)

중국어 음운학을 연구하는 최영애 교수와 도올 김용옥이 제정한 최영애-김용옥 중국어 표기법이 있다. 기본적으로 웨이드-자일스 표기법과 한어병음의 장점만을 골라 취하여 현실 음에 가장 가깝도록 보완한 것이며, 만 4년의 광음을 소요하여 꾸준한 개선 작업을 거쳐 완성되었다고 한다.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 중국어의 모든 발음이 어떤 경우에도 우리말 표기에 있어서 중복되지 않게 한다. 다시 말해서 한글 표기만 가지고 모든 중국어의 발음이 정확하게 중복 없이 재구(再構)될 수 있다[22].
  • 현대 한국어에서 현재 통용되고 있는 한글의 자소 이외의 어떠한 기호도 사용하지 않는다(어퍼스트로피나 그 외의 음성학적 기호 등).
  • 모든 표기에 있어서 한글 세 글자를 초과하지 않으며 될 수 있는 대로 음절을 간략화하여 경제성의 원칙을 지킨다.
  • 음소적 일관성을 지키면서 현실음에 가장 가까운 방식으로 조절한다.

자세한 것은 최영애-김용옥 중국어 표기법 한국어 위키백과

한편, 백괴사전에서도 듕귁어(중국어)의 한글 표기라는 항목을 만들었는데, 다른 표기법과 달리 광둥어도 반영하였다.

5.2 엄익상식 중국어 표기법 (엄익상식 표기법)

한양대학교 중문과 엄익상 교수의 표기안. CK 중국어 표기법이 음소적 일관성을 철저하게 지키는 장점을 갖는 대신에 중국어의 음절 하나가 한국어에서 세 음절에까지 대응되는 문제, 음성적 유사성이 떨어지고 음소 표기라는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용자들에게는 어색해 보이는 문제가 있다. 엄익상식 표기법은 중국어 음소와의 1대1 대응 원칙을 희생한 대신에 중국어 음절 하나를 한국어 2음절 이상 대응하지 않는 방식을 택했다. 표준 외래어 표기법과 최영애-김용옥 표기법을 양극단으로 놓았을 때 그 중간적 위치에 해당한다.

6 같이 보기

  1. 외래어 표기법이 제정된 1986년 당시에 대한민국대만이 수교를 맺은 상태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2. 의미가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올림픽이나 아시안 게임을 하면 한어병음으로 표기된 수많은 중국 선수 인명이 등장하는데, 한글 자막도 엉터리고 아나운서도 한어병음을 멋대로 영어식으로 읽는 일이 흔한다. 중국어 비전공자도 고민하지 않고 일대일로 쉽게 한글로 바꿀 수 있는 대조표가 있다면 개선될 수 있는 현상이다.
  3. 현지에서는 '아우'에 가깝게 발음한다.
  4. 현지에서는 '으우'에 가깝게 발음한다.
  5. 현지에서는 '알'에 가깝게 발음한다.
  6. 중화민국의 국어에는 있지만 보통화에는 없는 발음이다.
  7. 현지에서는 '야우'에 가깝게 발음한다.
  8. 현지에서는 '여우'에 가깝게 발음한다. 사실 가장 가까운 현대 국어 표기로나 이렇지, 실제로는 '이오우'를 두 음절로 발음하는 것에 더 가깝긴 하지만.
  9. 현지에서는 '위에'에 가깝게 발음한다.
  10. 현지에서는 '위앤' 또는 '위엔'에 가깝게 발음한다.
  11. 이 규정이 있는 것은 zh, ch, sh, r, z, c, s 뒤의 i를 주음부호로는 표기하지 않기 때문이다. ㄓ 하나만 쓴 것이 zhi를 의미하는 경우도 될 수 있으므로. 그래서 병음은 알지만 주음부호는 모르는(또는 잊은) 사람들이 '운모의 i를 왜 꼭 ㅣ로만 표기하냐, ㅡ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어야 하지 않냐'고 질문을 하기도 하는데 주음부호의 구조를 안다면 그런 질문이 나올 리가 없었을 것이다.
  12. 일본어 외래어 표기법에도 빼도박도 못할 오류가 있었다. ニャ, ニュ, ニョ에 대한 표기가 아예 없었던 것. 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14-43호를 통해 추가되었다.
  13. 섬서성에는 진, 전한, 당의 수도인 장안이 있고, 산서성 또한 북방 유목 민족에 대응하거나 유목 민족 침투의 중심 거점이 되는 등 역사의 주요 무대이다.
  14. 영어에서 Shanxi, Shaanxi로 구분해 적는 건 영어가 세계 공용어이다 보니 국제 우편 등에서 구별이 필요해서 그런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국어는 그 정도의 위상을 가지고 있지 않고, 한국에서 중국에다 국제 우편을 보내도 영어나 중국어(한자)로 적어서 보내기 때문에 두 산시 성을 구분할 필요성이 영어에 비해서는 낮다.
  15. 이 경우엔 ホァ라는 표기가 적당한지 곳곳에서 쓰인다.
  16. 사실 중국어의 Jiang은 유성음이 아니라 무성음이다.
  17. 게다가 모 일본 미소녀 마작 만화의 영향으로 국내 오덕계에선 이게 더 심해졌다.
  18. 독학으로 많이 체득한 덕에 전공 언어의 오류도 저지르는 부류의 번역가가 많다.
  19. 애초에 한국어의 중국어 표기법에 대한 밑바닥 생각조차 없이 번역하는 경우도 많고, 그냥 어감이 마음에 안 든다는 취향 문제도 포함하는 경우가 있는 듯하다.
  20. 조금 변호를 하자면 이건 영어 원서도 마찬가지. 영어만 아는 번역가들이 중국어나 프랑스어독일어에스파냐어나 기타 다른 언어로 된 원어명을 영어식으로 표기해서 일어나는 오류가 꽤 많다. 사실 전세계 모든 언어를 알고 있는 번역가란 있을 수 없고, 외래어는 이미 해당 언어 체계 내에 들어갔다고 볼 수 있으므로 어원을 찾아서 맞춰줄 필요는 없다. 다만 실존 인물과 같은 고유명사는 완전히 외래어가 되었다고 보기에 애매한 면이 있으므로 '기왕이면' 고려해주는 게 좋다.
  21. 덤으로 이 글에는 Chiang Kai-shek도 장제스가 아니라 '치앙 카이-셰크'로 표기돼 있다.
  22. 이 표기법을 완전히 익히면 이 표기법에 의한 한글 표기만 보고 주음부호나 한어병음으로 100% 복원할 수 있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