破字
1 개요
글자를 깨뜨린다는 뜻으로, 여러 개의 글자를 합쳐서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일이 많은 한자를 사용하는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등에서 자주 보이는 언어유희의 일종.
창힐수입법도 어떻게 보면 파자의 일종.
2 파자점
'파자점'이라 하여 점술에 파자를 이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성계의 일화에도 나오는 '물을 문(問)을 뽑았더니 문(門) 앞에 입(口)이 있기 때문에 거지 팔자'가 그 예. 하지만 이성계도 물을 문(問)을 뽑았으나 거지가 아니라 왕이 될 팔자[1]라고 해석되었다. 그 밖에도, 한강에서 크고아름다운 이상한 물고기가 올라온 것을(大+魚+行) 윤원형의 형(衡)을 파자한 것과 같다고 해석하여 윤원형의 몰락을 예언했던 일도 있었다.
3 사례
- 요새는 거의 없지만 2000년대 초반엔 한자 학습법 중 하나로 각광받기도 했다.
- ex: 햇(日)빛과 달(月)빛이 합쳐지면 밝으니까 밝을 명(明)[2], 맑은 물(水)은 푸르기(靑) 때문에 맑을 청(淸).
- 물론 회의자나 형성자 등 글자의 조어 원리 자체가 파자의 역순인 글자가 많긴 한데, 아닌 것까지 억지로 파자를 시키는 문제가 있다.
- 각종 기념일들 중 파자를 이용해 제정된 날이 몇몇 있다.
- 파자를 이용해 각종 역사적인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목자득국[3], 십팔자위왕(十八子為王)인용 오류:
<ref></code> 태그를 닫는 <code></ref>
태그가 없습니다, 목자망 전읍흥[4] 등이 대표적. 그 밖에 김삿갓#s-1.5이 파자의 달인으로 유명했다.</ref> - 멋지다! 마사루의 불완전한 완전판인 '오나전판'의 원제는 'ウ元ハ王版'으로서, ウ+元=完, ハ+王=全이다.
- 박정희: 正熙 → 一 (한번만 하고) + 止 (그만뒀으면) + 熙 (이름을 빛낼 수 있었는데), 正 (다섯 번 해먹으려다가) + 己 (자기) + 臣 (신하에게) + 灬 (탕탕탕...) 실제로 김재규가 10.26 사건 당시 쏜 총탄이 네 발(灬)이었다. #] 한국 중장년층 사이에선 꽤 널리 알려진 파자.
-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나기사 카오루의 성인 渚도 파자하면 シ+者가 되는데,이 둘을 붙여 읽으면 シ者,즉 '사자'가 된다.자세한 것은 항목참조
- 아예 제자원리가 파자인 글자도 있는데, 다닐 행(行)을 파자한 자축거릴 척(彳)과 재촉거릴 촉(亍)이 그것으로, 彳亍은
칙촉척촉이라 읽으며 '잠시 가다 멈춤'을 뜻한다. - 아키라(작가)의 필명은 '日日日'로 표기하는데, '晶('아키라'로 읽을 수 있다.)'자를 파자한 것이다.
- 악의 교전의 네코야마 타카시는 '고양이의 저주'라는 별명이 있는데, 이름(猫山崇)의 한자를 재조합(猫(山+崇) → 猫祟)한 것이다.
- 여성 닌자를 뜻하는 쿠노이치는 女를 파자한 것이다(女 = く+ノ+一). 마찬가지로, 남성 닌자를 뜻하는 것으로 男을 파자하여 田力이라고 쓰고, 타지카라(논 힘)라고 읽는다.
- 일본 동인계에서는 특촬(特撮)을 '牛寺才最'라고 파자해서 쓰기도 한다.
- 코메이지 사토리의 별명 '초5로리(小五ロリ)' - 깨달음(悟り) = 초등학교(小)[5] + 5학년(五) + 로리(悟자의 口부분과 동사형 り). 파생형으로 코메이지 코이시의 '초1로(리)(小石의 파자, 小一ノロ=小一のロ(リ))'도 있다.
- 푸른 강철의 아르페지오의 이오나의 이름은 일본군 해군 잠수함의 분류법 가운데 하나인 伊의 파자이다. イ와 ヲ와 ナ로 풀어서 가타카나로 읽으면 이오나.
- 현대 중국어에서도 간혹 통신체로서의 파자가 쓰이기도 한다. 哈哈哈(하하하)라는 웃음소리를
ㅁ슴ㅁ슴ㅁ슴口合口合口合라고 쓴다던지. - 데이트 어 라이브의 이츠카 시도: 土=十+一
- 야민정음의 일부 경우에도 파자 원리가 적용되어 있다.
- 누에의 경우 鵺인데, 夜鳥를 압축해 만든 한자이기 때문에 반대로 이렇게 풀어 써서 누에라고 읽는 경우가 있다.
- ☆진☆의 원문이 ☆イニ☆인데, 仁를 亻+二로 파자한 것이다.
-
蟲 → 虫虫虫 - 万戈イム-一ノ十
- 강(姜)을 파자하면 美女(미녀)가 된다.
- 무협소설로 유명한 김용(金庸)의 이름은 본명인 사량용(查良鏞)의 鏞을 파자해서 만든 필명이다.
- ↑ 다스릴 윤(尹)을 좌우로 뒤집어서 임금 군(君)의 오른쪽에다가 붙여 보자. 물을 문(問)이랑 비슷해진다.
- ↑ 사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글자가 아니다. 囧문서 참고
- ↑ 목자득국 나무 목과 아들 자를 합치면 오얏 이 자가 되는데, 이성계가 왕이 될 것을 암시했다.
- ↑ 목자(木子)는 망(亡)하고 전읍(奠邑)이 흥(興)한다는 의미이다. 木+子=李, 奠+邑(→阝)=鄭이므로, 이씨가 망하고 정씨가 흥한다는 뜻이 된다. 존읍흥(尊邑興)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나, 이는 존(尊)이 전(奠)과 모양이 비슷해서 잘못 알려진 것.
- ↑ 한국에서는 초등학교지만, 일본에서는 소학교란 명칭을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