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주시

황해남도의 시, 군
해주시
강령군과일군룡연군배천군
벽성군봉천군삼천군송화군
신원군신천군안악군연안군
옹진군은률군은천군장연군
재령군청단군태탄군연백군

주의. 이곳은 여행금지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여권법에 의한 여행금지 또는 기타 법률에 의해 출입이 금지된 지역입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海州市 / Haeju City

해주시
海州市 / Haeju City
국가북한
면적206.93㎢
광역시도황해남도
행정구역26동 5리
시간대UTC+8:30

1 개관

북한 황해남도의 도청 소재지. 황해도의 '해'가 바로 해주이다. 면적은 206.93㎢이다.

북쪽에는 899m의 수양산(首陽山)이 있으며, 시내에는 광석천(廣石川)이 흐른다. 남쪽은 용당반도가 돌출해 있어 해주항을 이루며, 옹진반도와 바다로 수백m 떨어져 있다.

해주는 남쪽으로 황해에 맞닿은 항구도시로, 주위는 벽성군(碧城郡)으로 둘러싸여 있다. 1945년~1950년 사이에는 38선 바로 북쪽에 위치한 도시여서, 옹진반도 등 지역에 대한 대남(對南)공작의 기지 역할을 하기도 했다.

파일:Attachment/Haeju-YDH-00001.jpg
해주시 용당포(龍塘浦).

정확히 말하면 해주 전체가 모두 38선 이북에 위치한 것도 아니다. 용당포가 속한 해주항역 일부는(정도역 부근) 38선 남쪽으로 들어갔다. 이런 이유 때문에 38선 분계당시 미군정과 소련군정이 예외조항을 둬서 해주시는 북한이 모두 관할하는 것으로 합의하였다. 하지만 남쪽으로 내려가기 딱 좋은 위치라 용당반도의 남단인 용당포에서 바다를 건너 한국의 옹진반도로 탈출하는 사람이 많았다. 당장 바다는 38선 이남이어서 북측 군인들이 감시만 하고 사격하지는 못했다. 그리고 이런 이유로 인해 6.25 전쟁이 발발할 때까지 해주는 항구기능을 상실했다.

특산물로는 벼루이 있었으며, 철도는 황해청년선, 옹진선(해옹선), 50번 국도가 지나간다.

출신 인물을 살펴보자면 애국자의 땅이라고 할 수 있다. 안중근 의사가 이곳에서 태어났고, 김구 선생께서도 해주부 백운방[1]에서 태어났으며, 여기서 황해도 동학군으로 활약했다. 둘의 나이는 겨우 3살 터울. 김구가 수배를 피해 안중근의 집에 묵은 적도 있다고 한다.

전국노래자랑의 송해 선생은 재령평야로 유명한 재령군 출신이지만, 해주에서 음악공부를 했다.

2 역사

고조선 이후 대방군(帶方郡)에 속하였고, 고구려 때는 내미홀군(內未忽郡), 지성(池城), 장지(長池)라고 불렸고, 신라 경덕왕(景德王) 21년(762)에 폭지(瀑池)라고 개칭하였다. 고려 태조에 이르러 바다에 임한 까닭에 해주(海州)라 명하였다. 고종 32년(1895년) 23부 실시로 해주부가 되어 16군을 관하에 두었다가 1896년 13도(道制) 실시로 황해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1954년, 북한이 점유하게 되면서 황해도를 황해남도, 황해북도로 나누게 되어 해주는 황해남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만약 미래에 통일이 된다면 황해남도의 도청소재지로서 황해남도의 행정적 중심지가 될 수 있겠지만 그 이상의 발전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주변에 큰 도시가 없기 때문에 남포, 인천처럼 외항 역할을 할 수 없고, 한반도 주요 교통축들 가운데 하나인 경부선 교통축에서 빗겨나 있기 때문에 크게 발전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통일 뒤 경의선이나 경의고속철도를 서울, 개성, 해주를 거쳐 사리원, 평양, 신의주를 거치도록 건설하자고 하는 의견도 있는데 굳이 해주를 거쳐 돌아가는 노선을 만들면서 시간이 더 걸리게 할 필요성은 없기에 그렇게 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한편 2012년 대규모 봉기가 터졌다고 한다. http://news.donga.com/Main/3/all/20130305/53460685/1

3 경제

시장화의 첨병이자 기형적 시장화의 피해자

북한의 시장경제에서 해주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다. 북한에서 금보다도 귀한 의 집산지이기 때문이다. 북한 최대의 곡창지대인 연백평야가 이웃해 있으며, 장연과 옹진, 강령 등지에서는 수산물들이 해주시장으로 올라온다. 이 때문에 무수한 권력기관들이 가을이 되면 쌀을 사기 위해 해주로 내려오고 외화벌이 기관들도 해주에 여럿 사업소를 두고 있다. 또한 옹진의 금광을 기반으로 해주제련소가 설립되어 금 생산도 이뤄진다. 이런 상황 덕에 해주는 이른바 고난의 행군 시기에도 심각한 기아 사태는 면할 수 있었다. 비록 국영기업소들이 제 구실을 못하고 배급이 중단되어 노동자들의 생활이 어렵긴 했지만, 사방이 농경지에 바다이기 때문에 암시장에 식료품은 그럭저럭 공급되었기 때문이다.[2] 평야지대라는 특성상 주변 지역에서 사람과 물자가 해주로 들어오는 것도 수월했던 점이 이런 시장 형성을 촉진시켰고, 그에 수반해 자생적인 운송업이나 서비스업도 나타났다.

그런데 여기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해주는 제련소와 항구, 약간의 지방공업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1차산업과 행정기능을 기반으로 한 도시였고, 그 해주가 가진 것이라고는 쌀밖에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쌀을 다른 지방에 팔아 돈을 손에 쥔 것 까지는 좋은데, 그 돈으로 뭔가를 사 올 수가 없는 것이다. 우선 국내 제조업이 전면 붕괴된 상황에서 각종 공산품들은 모두 머나먼 국경을 통해 수입해와야 하는 형편인데, 북한 교통의 핵인 철도가 파탄 상태에 이르고 도로교통은 제대로 정비가 안 된 상황에서 국토 최남단인 해주까지 물자 운반은 많은 비용과 노력을 필요로 했다. 또 탄이나 화목 등은 주 생산지 중 하나인 강원도 지역이 시장경제의 발달이 미약한데다가, 석탄은 특히 정부에서 강력하게 통제하기 때문에[3] 이 역시 돈이 있다고 해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런 상황은 다행히 2000년대 후반 들어 북한의 도로교통이 자생적으로 발전을 이루면서 일정부분 해소되었다. 그러나 쌀이라는 상품을 매개로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시장경제적 행동양태가 나타난 것에 비해 그 양적·질적 발전의 속도가 여타 지역보다 늦었던 것은 수입에 의존해야 하는 북한 시장경제의 기형적 특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4 문화재

  • 부용당(芙蓉堂)

500px-Haeju_Buyong_Pavilion.jpg

부용당은 1500년 해주성의 누각으로 세웠다. 임진왜란 때 조선 인조가 태어난 곳으로, 6.25전쟁 때 파괴되어 터만 남아 있었으나 2003년에 복원되었다.

  • 해주석빙고

얼음을 보관하기 위한 시설이며, 고려 초에 세워 1735년 개축했다. 높이 3~4.3m, 내부길이 30m.

  • 해주다라니석당

높이 464cm인 육각형 구조물로 고려시대에 세워졌다. '다라니석당'은 다라니경을 새겨 기둥처럼 세운 돌구조물을 말한다. 한반도의 다라니석당은 이 곳과 용천다라니석당, 두 곳이 있다.

  • 백세청풍비

1728년 세웠으며 높이 434cm이다. 백세청풍이란 백이와 숙제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며 마침 해주 북쪽에도 수양산이 있고 해서 세웠다고 한다. 글씨는 황해도관찰사 이언경이 주자의 것을 모사해 새긴 것이다.

  • 신광사

신라 문무왕 때 원효의상에 의해 창건된 절이며, 광복 당시에는 벽성군 서석면 신광리였다. 경내에 신광사 5층탑과 무자비(無字碑)가 있다.

5 광복 당시의 행정구역

황해도의 하위행정구역 (이북5도위원회)
해주시사리원시송림시
벽성군연백군금천군평산군신계군
장연군송화군은율군안악군신천군
재령군황주군봉산군서흥군수안군
곡산군옹진군

광복 당시 21개 동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취소선은 일본어 추정 독음.[4]

  • 중동(中洞) 나카
  • 상동(上洞) 우에
  • 북본동(北本洞) 키타모토
  • 남본동(南本洞) 미나미모토
  • 북욱동(北旭洞) 키타아사히
  • 남욱동(南旭洞) 미나미아사히
  • 동영동(東榮洞) 히가시사카에
  • 서영동(西榮洞) 니시사카에
  • 북행동(北幸洞) 키타사이와이
  • 남행동(南幸洞) 미나미사이와이
  • 광석동(廣石洞)
  • 청풍동(淸風洞)
  • 연하동(烟霞洞)
  • 왕신동(王神洞)
  • 석계동(石溪洞)
  • 동애동(東艾洞)
  • 용당동(龍塘洞)
  • 선산동(仙山洞)
  • 파청동(把淸洞)
  • 동양동(東陽洞)
  • 율동동(栗洞洞)

일본식 지명[5]들의 광복 후 변화를 살펴보면, 북본동은 부용동(芙蓉洞), 남본동은 태봉동(泰峯洞)[6], 북욱동은 사미동(四美洞), 남욱동은 해운동(海雲洞), 서영동은 장춘동(효자 장춘의 묘각이 있었던 데서 비롯했다고 함), 북행동은 구제동(九濟洞), 남행동을 양사동(養士洞)으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물론 지금 북한에서 쓰고 있는 행정체계는 이것보다도 더 많이 달라졌지만.

6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아래 행정동과 법정동은 《이북5도 명예읍·면·동장 위촉에 관한 규정》 제8조 별표2에 규정되어 있다.

행정동법정동·리
광옥동광석동(廣石洞)·옥계동(玉溪洞)
남양동남천동(南川洞)·양사동(養士洞)
동양동동양리(東陽里)
사연동사미동(四美洞)·연하동(烟霞洞)
석계동석계리(石溪里)
선파동선산리(仙山里)·파청리(把淸里)
용동동동애리(東艾里)·용당리(龍塘里)
율왕동왕신리(王神里)·율동리(栗洞里)
장구동구제동(九濟洞)·장춘동(長春洞)
청풍동청풍동(淸風洞)
태부동부용동(芙蓉洞)·태봉동(泰峯洞)
해백동백림동(白林洞)·해운동(海雲洞)

7 북한 기준 행정구역

황해남도의 시, 군
해주시
강령군과일군룡연군배천군
벽성군봉천군삼천군송화군
신원군신천군안악군연안군
옹진군은률군은천군장연군
재령군청단군태탄군연백군
  1. 백운방은 1914년 청산방(靑山坊)과 합쳐져 운산면(雲山面)이 되었고, 1938년 해주군 해주읍이 부(府)로 승격됨에 따라 벽성군이 되었다. 광복 당시 행정구역으로는 벽성군 운산면인 셈인데, 운산면은 해주 시내에서 서북쪽으로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다.
  2.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의 식량난은 주로 식량 생산지인 농촌에서 피해가 덜하고 식량 공급지인 도시에서 피해가 심각했다. 이는 고난의 행군의 직접적인 원인이 이미 만성화되어 있던 식량생산량의 부족 그 자체라기보다는 식량을 비롯한 각종 자원을 공급할 국가 시스템의 전면적인 마비 및 붕괴라는 점을 보여준다. 반면 대약진 운동 당시의 대기근은 생산지인 농촌이 피해를 옴팡 뒤집어썼다. 이 쪽은 어쨌거나 식량을 수탈할 행정체계는 작동되는 상황이었기 때문.
  3. 쌀도 마찬가지긴 한데, 이 쪽은 그나마 운반이 용이하기라도 하고, 시장에서 빠르게 돈으로 전환하거나 바로 사용할 수 있으니 검문하는 군부대 등에 뇌물로 바쳐서 빠져나오기도 쉽다. 설상가상으로 2010년대 들어 북한은 외화를 마련하기 위해 상당량의 석탄을 중국으로 수출중이다.나가 죽어라
  4. 일제강점기 때 일본식 독음으로 불린 건 맞지만 한자만으로 정확한 발음을 맞추는 것은 일본어의 특성상 불가하므로 취소선을 쳤다.
  5. 대한민국의 행정 체계에서는 북한지역의 지명에 대해 광복 당시의 것을 따르고 있으며, 이것은 일본식 지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그 이유는 이북 5도 항목을 참고
  6. 뒤에 김일성의 동상을 세웠다고 영광동(…)으로 개칭당했다. 이뭐병도 아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