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정무호 1기(1998~2000)에 대해서는 허정무 문서를 참조 바랍니다. |
150px | ||||
역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
베어벡호 (2006 ~ 2007) | → | 허정무호 (2기) (2007 ~ 2010) | → | 조광래호 (2010 ~ 2011) |
역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핌 베어벡 (2006 ~ 2007) | → | 허정무 (2007 ~ 2010) | → | 조광래 (2010 ~ 2011) |
1 개요
핌 베어벡 감독은 바레인 쇼크의 책임을 지고 자진사퇴 형식으로 대표팀 감독직을 그만두게 된다. 허정무감독이 핌 베어벡 뒤를 이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 되었으며, 그는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까지 활약했다. 사실 허정무가 차범근 감독 이후 감독직을 수행한 사람들에 비해서 특이한 점은, 이미 국가대표팀 감독을 두 번[1] 역임한 적이 있다는 것. 따라서 2007년의 감독직 취임은 그의 3번째 국가대표 감독직 취임이었다.
2 팀 스타일
전형적인 한국축구 스타일에서 약간의 변화를 꾀했다 라고 평할 수 있다.
취임 이후부터 퇴임하기까지 플랫 포백 수비라인에 왕성한 활동량을 가진 윙어와 수비형 미드필더를 놓아 강한 압박이 가능하게 했고, 볼란치에 좌우로 롱패스 및 전진패스를 배급해 줄 수 있는 미드필더를 기용했으며, 공미는 윙어와 스위칭, 중앙 공격수는 측면으로 빠지며 윙어가 가운데로 침투할 수 있게 해서 한국의 특징인 빠르고 강한 윙어라는 특징을 최대한 살렸다고 볼 수 있다.
아시아 내의 경기에선 442를 사용했는데 그럴 경우에는 활동량이 많고 돌파력이 좋은 공격수와 침투와 공간 창출이 좋은 공격수를 배치 한 후 위에 기술한대로 윙어 및 2선 침투를 노렸다.
수비라인의 경우는 스토퍼형 수비수 한명과 커멘더향 수비수를 한명씩 배치해서 수비시 수비형 미드필더와 윙어가 내려와 수비를 돕고 커멘더형 수비수는 커버링을 한다.
원하는 선수를 찾기 위해 수많은 유망주를 발굴해냈고 성장시켰다.
최종형태는 골키퍼에 정성룡 커멘더형에는 한국 최고의 커멘더 조용형, 스토퍼는 이정수, 양 풀백은 이영표와 차두리 오범석, 활동량 많은 만능 수비형 미드필더는 김남일이 맡았다가 김정우, 배급형은 김두현에서 기성용으로, 윙어 왼쪽은 염기훈, 박지성 공미는 박지성 염기훈, 오른쪽은 이청용, 공격수는 공간창출&침투형 박주영이 맡았고, 442를 쓸적에는 활동량과 돌파력을 갖춘 이근호가 파트너로 나섰다.
이러한 포워드 활용양상은 이동국과 유병수가 소집이 잘 되지 않게되는 원인이 되었다. 유병수는 국대와 인연이 아주 멀어졌고 월드컵 엔트리에 승선한 이동국도 끝까지 중용받진 못했다.
3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공화국
3.1 국가대표 엔트리
2010년 6월 1일 최종 결정된 23명의 엔트리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각 포지션의 인원 수. 가나다순 정렬하였음. 굵은 글씨는 2006 FIFA 월드컵 독일 출전 선수.
- 골키퍼(3) : 김영광 이운재 정성룡
- 수비수(8) : 강민수 김동진 김형일 오범석 이영표 이정수 조용형 차두리
- 미드필더(7) : 기성용 김남일 김보경 김재성 김정우 박지성 이청용
- 공격수(5) : 박주영 안정환 염기훈 이동국 이승렬
3.2 얘깃거리
2010년 3월 기준, 무엇보다 가열찬 논쟁거리는 역시 이동국 떡밥. 4-4-2 포메이션에서 양박쌍용의 자리가 분명한 반면[2] 박주영과 콤비를 이룰 나머지 한 명의 스트라이커의 기량이 불확실한 탓에, 관련 논쟁이 끊이질 않는 상황이다.
허정무호에서 고질적으로 지적되어 온 수비진의 안정성 문제도 큰 떡밥이다. '조강 라인'이라 줄여 부르는 조용형, 강민수의 기량이 팬들에게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 결국 강민수는 대표팀 선발에서 탈락하였으나 곽태휘의 부상으로 어부지리로 대표팀에 다시 뽑혔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일취월장한 기량을 선보여 스페인과 맞설 정도였다.
조별예선 아르헨티나와의 경기에서는 오염콤비가 등장했다. OME의 경기력을 보여준 오범석의 '오'와 염기훈의 '염'을 한 글자씩 따서 만들어진 것. 물론 마녀사냥에 가까운 결과론[3]이지만, 덕분에 네티즌들에게 평생 까임권을 받았다.
하지만 뒤이어 나타난 감독들이 대표팀을 이끌면서 드러낸 대표팀의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보게 된 이후로는 재평가된 모양새. 월드컵이 진행되면 진행될 수록 2010년 당시 자신들의 쓸데없이 높았던 안목을 반성하는 축구팬들이 양산되고 있다
4 총평
대한민국 최초 FIFA 월드컵 원정 16강 진출을 이루었다. 16강전도 쉽게 내주지 않은 만큼 성과가 있었다.
중국에게 처음으로 A매치 패배를 당했지만 비중이 매우 적은 대회였고, 월드컵 예선 내내 워낙 좋은 성적을 내었기 때문에 한 경기 패배로 평이 하락 하지는 않았다. 2014 브라질 월드컵 이후 자동으로 평이 올라갔다.- ↑ 사실 시기상으론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단 한 번뿐이다. 다만 성인 대표팀과 올림픽 대표팀을 모두 맡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론 감독직을 두 번 수행한게 되는 셈.
- ↑ 허정무 감독은 아시아권에선 442를 썼지만, 막상 월드 클래스 팀을 상대로는 변형 451을 썼다. 월드컵 무대에선 제로톱에 가까운 형태였다. 허정무=442는 무식한 언론의 숫자놀음에 불과하다.
- ↑ 차두리 역시 다음 경기에서 오범석 뺨치는 저질 수비를 선보였고, 염기훈은 네티즌의 비난과 달리 오히려 축구 전문가들 사이에선 높은 평가를 받았다. 염기훈이 공간을 만들지 않았으면 골도 없었을 것이고 수비가담을 활발히하지 않았다면 활동량 적은 기성용쪽이 털렸을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