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그리스어 : Ελληνικό αλφάβητο(Ellinikó Alfávito)
그리스어를 표기하는 문자체계.
과거에는 그리스어, 알바니아어, 터키어[1], 콥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그리스어 표기에만 사용[2]되는 문자.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에 영향을 주었다.
서양에 처음으로 '모음자'라는 개념을 소개한 문자 체계이다. 실제로 지금 히브리 문자나 아랍 문자 등을 보면 모음자가 없다. 정확히 말하자면 독립된 별도의 모음자가 없고 자음자에 모음을 부호를 붙여 표기하기는 하는데, 초등학교용 교재나 종교 경전 급의 대단히 중요한 문서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일상적인 용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아랍어나 히브리어가 속한 아프로아시아 어족(=셈-햄 어족) 언어들의 독특한 구조 때문인데, 자세한 설명은 해당 언어 문서 참고.
아랍 문자나 히브리 문자처럼 자음만 표기하는 문자를 아브자드, 그리스 문자나 로마자처럼 자음과 모음을 모두 독립된 문자로 표기하는 문자를 알파벳이라고 부른다. 그러니까 한글도 알파벳인 것.
수학, 과학 기호로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공돌이들에게도 꽤 친숙할 것이다.건담 덕후도 친숙하다 카더라 특정 상수 또는 물리량을 나타내는 기호로써 친숙할 뿐, 음운을 나타내는 문자로서 친숙한 것은 아니다. 그래도 음운을 알아 두면 상수나 물리량의 뜻을 외우는 데 도움이 될 때가 있으므로 손해 볼 것은 없다. [3] 사실 어차피 수식 읽으려면 글자 읽는 법은 알게 되어 있고, 그 첫글자랑 음운이 맞으니 음운을 익히는게 어려운 것도 아니고.
아래는 그리스 문자 읽는 법.
대/소문자 | 그리스 이름 | 영어 이름 | 한국어 이름(그리스 통용 발음)[4] | 발음(현대어) | 발음(고대어)[5] |
Α/α | άλφα | alpha | 알파 | a | 짧은 a[6] |
Β/β | βήτα | beta | 베타(비따) | v[7] | b |
Г/γ | γάμμα | gamma | 감마 | γ[8] | g[9] |
Δ/δ | δέλτα | delta | 델타 | ð[10] | d |
Ε/ε | εψῑλόν | epsilon | 엡실론 | e | 짧은 e |
Ζ/ζ | ζήτα | zeta | 제타(지따) | z | z[11] |
Η/η | ήτα | eta | 에타(이따) | i | 긴 e |
Θ/θ | θήτα | theta | 세타(씨따) | θ | tʰ[12] |
Ι/ι | ίωτα | iota | 이오타(요따) | i[13] | 짧은 i[14] |
Κ/κ | κάππα | kappa | 캅파 | k | k[15] |
Λ/λ | λάμδα | lambda | 람다 | l | l |
Μ/μ | μύ | mu | 뮤(미) | m | m |
Ν/ν | νύ | nu | 뉴(니) | n | n |
Ξ/ξ | ξί | xi/ksi | 크사이(크씨) | ks[16] | ks |
Ο/ο | ομικρόν | omicron | 오미크론 | o | 짧은 o |
Π/π | πί | pi | 파이(삐) | p | p[17] |
Ρ/ρ | ῥώ | rho | 로 | r | r[18] |
Σ/σ/ς[19] | σίγμα | sigma | 시그마 | s[20] | s[21] |
Τ/τ | ταύ | tau | 타우(따프)[22] | t | t[23] |
Υ/υ | υψῑλόν | upsilon | 입실론(웁실론)[24] | i[25] | y[26] |
Φ/φ | φί | phi | 파이(피) | f | pʰ[27] |
Χ/χ | χί | chi | 카이(히) | χ[28] | kʰ[29] |
Ψ/ψ | ψί | psi | 프사이(프씨) | ps[30] | ps |
Ω/ω | ωμέγα | omega | 오메가 | o | 긴 o |
발음법은 여기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ㅂ시그마 부분에도 언급된 스티그마나 디시그마(Ϡ,ϡ) 같이 이름이 실전된 문자도 존재한다. 특히 디시그마(삼피)의 경우 원래 명칭조차 불명이라[31] 저런 임시 명칭이 붙여진 케이스.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두 문자를 읽을 때 일일히 한 글자를 읽는게 귀찮은지 한 단어처럼 읽는 듯하다. 예를 들어 ERT는 엡실론 로 타브가 아닌 에르트로 읽는 식. 그래선지는 몰라도 약어를 정할 때 한 단어처럼 읽히도록 정하는 곳이 있다. PASOK(파속)이라던가 시리자라던가. ND는 어떻게 읽어? DT와 DR이라는 방송[32]이 나왔을 때 어떻게 읽을 지 난감해하는 사람들이 속출했을 듯
아래는 그리스 문자 쓰는 법. 사람마다 필체가 조금씩 다르기는 하다.
그리스 문자를 쓸 때는 모음 글자 위에 여러 가지 점 모양의 기호가 붙는다. 이는 강세를 표시해 주기 위한 부호로, 그리스어에서 강세는 의미를 구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세 시대부터 붙이기 시작했다. 예를 들자면 ψύλλος, ψηλός는 둘 다 발음은 psilos지만 강세 위치에 따라 '벼룩'과 '키가 큰(남성)'이란 의미로 구분된다. 이전에는 굉장히 다양한 강세 부호가 존재했지만, 1976년 카사레부사 그리스어에서 구어체 그리스어(=디모티키)로 공용어를 전환하고 1982년 발음 구별 부호를 단순화한 이후 ΄, ¨만 남았다.
2 그리스 숫자
동명의 군주를 구별하는 '~세'를 나타낼 때 서양에서는 보통 로마 숫자를 사용하는데, 특이하게 그리스어에서는 이 경우 국산품 애용 그리스 문자를 쓴다.[33]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발달되어온 체계여서 지금은 쓰이지 않는 옛 그리스 문자도 등장하여 모두 27자가 사용된다. 지금은 쓰이지 않는 옛 문자인 디감마(Ϝ)/스티그마 (Ϛ, 6), 코파 (Ϙ, 90), 삼피 (Ϡ, 900)가 사용되었다.
다섯째까지는 Αʹ, Βʹ, Γʹ, Δʹ, Εʹ까지 가다가 여섯째에서 옛 문자인 스티그마(Ϛʹ)[34]가 등장한다. 그래서 그리스 문자의 6번째 문자인 Ζʹ는 그리스 숫자로는 7번째를 나타낸다. 그래서 콘스탄티노스 11세의 경우 Κωνσταντίνος ΙΑ΄로 표기하는데, 그리스 문자의 아홉번째인 Ι와 첫번째인 A의 조합이다.
20을 나타낼 때는 열번째 문자인 Κʹ를 쓰고, 그 후 30, 40, ... 80까지는 Λʹ , Μʹ, ... Πʹ까지 순서대로 가다가 90에서 또 코파 (Ϟʹ)라는 옛 문자가 등장한다. 100은 Ρʹ., 200은 Σʹ, ... 이렇게 나가고 그리스 문자의 마지막인 Ωʹ는 800에 대응하는데, 900에서 삼피(Ϡʹ)라는 옛 문자가 다시 등장한다.
1000, 2000, ... 부터는 ʹ의 방향을 바꿔서 ͵Α, ͵Β, ... 이렇게 나간다.
3 기타
여담이지만 미국에서는 베타(beta), 쎄타(theta) 등을 '베이다(beida)', '쎄이다(theida)' 등과 같이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미국식 영어 발음에서 e음절에 악센트가 붙는 경우 ei발음과 유사하게 길게 발음하는 성향이 있고 모음 뒤에 t가 오는 경우 /ɾ/로 발음되는 성향이 있기 때문이다.
한중일 문자 코드에도 그리스 문자는 포함되어 있기는 한데, 기본 그리스 문자(대문자, 소문자 모두)만 존재하고 ς와 diacritic이 붙은 그리스 문자(Άά Έέ Ήή Ίί Όό Ύύ Ώώ Ϊϊ Ϋϋ ΐ ΰ 등)는 없다. 이는 한중일 문자 코드의 그리스 문자는 그리스어를 표기하기 위해 존재한다기보다는 일종의 '기호'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4 대중매체에서
가면라이더 555의 라이더의 이름은 모두 다 그리스 문자다.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에서 모빌슈트의 코드명으로 사용된다. 감마 건담의 릭 디아스부터 시작.
영화 나비효과에서 애쉬튼 커처가 대학 새내기들을 골려 줄 때 5초 만에 알파부터 오메가까지 순식간에 말하는 장면이 있다.
로보텍스에서 등장하는 카이 일행의 이름은 그리스 문자이다.
메이플스토리의 오르비스는 그리스 문자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르비스 정거장 입구를 잘 살펴 보자. 참고로 빅토리아 아일랜드에서 사용하는 문자는 키릴 문자.
오버로드의 전투메이드 플레이아데스의 멤버 이름은 그리스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터닝메카드의 점보 메카니멀 요타의 이름은 그리스 문자 요타에서 유래.
아더왕과 각탁의 기사에서 중합체들의 이름은 모두 그리스 문자다.- ↑ '카라만르자(karamanlıca)'라고 아나톨리아에 살며 터키어를 모국어로 쓰던 그리스인들이 터키어를 자신들의 문자로 표기하기 위해 시도했던 체계가 있었는데, 19세기 말까지 쓰였다.
- ↑ 현재 알바니아어와 터키어는 라틴 문자로 표기하고 콥트어는 실생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 ↑ 전자기학에서 유전상수 ε는 electric, 투자율 μ는 magnetic의 앞글자를 나타낸다. 수열의 합을 나타내는 Σ는 sum, 수열의 곱을 나타내는 Π는 product, 파장의 길이나 반감기 등을 나타내는 λ는 length, 표준편차 σ는 standard deviation.... 등. 사실 물리학 심화과정까지 올라가게 되면 소문자의 경우 오미크론만 빼고(이거야 0, O하고 똑같이 생겼으니 쓸 이유가 없어서 안쓴다.) 모두 다 물리학 기호로 다 쓰고 있다. 대문자의 경우에도 알파벳과 다르게 생긴 글자는 어딘가 한두분야에선 다 쓴다. 유럽 학자들 입장에서도 그리스 문자 생소하기는 마찬가지고, 사람 생각이라는 것은 어딜 가나 비슷하기 마련이다.(사실은 그것보다는 현대 영어가 인도유럽어족이고 그러다보니 그 중요한 어원 중 하나가 고대 그리스어이기 때문에 해당 단어가 두 언어에서 비슷한 발음이어서 쓰는 경우가 많다.)
- ↑ 한국어 이름은 영어 이름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알 수 있다.
- ↑ 고대어의 발음은 분명하지 않고 책마다 조금씩 다르다. 예를 들어 어떤 책에서는 θ를 th(번데기 발음)처럼 발음하라 하고, 다른 책에서는 그냥 t 비슷하게 발음하라고 가르친다. 그리스인들은 고대어 발음도 현대식으로 한다. 사실 근거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닌 것이, 그리스어 모음 구조는 미케네 시대부터 차츰차츰 단순화되고 있었고, 기원전·후에서 4세기에 걸쳐 대강 현대식 모음 구조가 완성되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기 때문.
- ↑ 현대어에서는 안 붙이지만, ᾱ라고 위에 작대기(macron)를 붙이면 장음으로 발음한다. macron은 문법서 등에서 장단음을 가르쳐 주기 위해 제한적으로 사용될 뿐, 일상적으로 쓰이지는 않는다.
- ↑ 현대어에서는 v로만 발음된다. b 발음을 표기하고 싶다면 μπ로 표기한다. μπίρα(bira, 맥주)처럼
- ↑ 영어 get의 g 발음보다 더 세지만 독일어의 ch보다는 약한 발음. 그냥 g 발음은 γκ로 표기한다. ε, ι 앞에서는 덜 약해져 영어 yes의 y처럼 발음한다. νγκ, γγ에서는 ng 발음이 난다. Οι Αγγέλοι(i angeli)처럼
- ↑ γ, κ, ξ, ϰ 앞에서는 ng처럼 발음. 예를 들면, ἄγγελος(앙겔로스), ἀνάγκη(아낭케) 등등.
- ↑ 영어 this의 th 발음을 생각하면 된다. d 발음은 ντ로 표기한다.
- ↑ dz 또는 zd
감아차기피파충라고 하는 책도 있다. - ↑ 거센소리(aspirated). 한국어의 ㅌ처럼 발음.
- ↑ ει, οι, υι라고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엔 그냥 i처럼 읽는다.
- ↑ ῑ라고 쓰면 긴 i가 된다.
- ↑ 거센소리 아님(without aspiration). 한국어의 ㄲ처럼 발음.
- ↑ 그리스어로 '노란색'을 뜻하는 ξανθός처럼 어두에 ξ가 올 경우 k, s 발음이 동시에 난다. 따라서 올바른 발음은 '크산토스' 정도.
- ↑ 거센소리 아님. 한국어의 ㅃ처럼 발음.
- ↑ 떨림을 넣어(trill) 발음한다. 러시아어의 r(р) 발음과 비슷하다.
- ↑ 본래 '스티그마'라는 별도의 글자였으나 σ와 발음이 같아지면서 용도를 상실했다. 스티그마를 사용하던 시절의 유산으로 단어 끝에서 s 발음이 나는 것은 ς, 그렇지 않으면 σ로 쓴다.
- ↑ 단어 중간에 위치한 모음 앞에서는 z로 발음된다. 예: Κόσμος (꼬즈모스), Σαντούρι (싼두리)
- ↑ β, γ, δ, μ 앞에서는 z로 발음.
- ↑ 그리스 문자 ταυ에서 αυ가 af로 발음되기 때문.
- ↑ 거센소리 아님. 한국어의 ㄸ처럼 발음.
- ↑ 현대 그리스어에서는 ι, η, ει, οι, οιοι와 같은 발음이다.
- ↑ ου라고 썼을 때는 u라 읽으며, ωυ의 경우 그냥 oi라고 읽는다. 다만 ηυ, ευ, αυ처럼 올 땐 if(iv), ef(ev), af(av)처럼 f(모음과 유성음 앞에서는 v) 발음이 난다.
- ↑ 프랑스어의 u처럼 '위'에 가깝게 발음한다. e.g. Ὀδύσσεια → '오뒷세이아'(코이네 그리스어에서는 그냥 i가 된다). 그리고 ῡ라고 쓰면 긴 u가 된다.
- ↑ 거센소리. 한국어의 ㅍ처럼 발음.
- ↑ 무성 연구개 마찰음. 한글로는 ㅎ로 옮긴다.
- ↑ 거센소리. 한국어의 ㅋ처럼 발음.
- ↑ ξ와 마찬가지로 어두에서는 p, s 발음이 동시에 난다. 예: ψιλός(프실로스 - 키가 큰)
- ↑ 삼피는 'π와 비슷하다'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고, 디시그마는 이 글자가 σ(나 τ)가 2번 쓰이는 곳을 대체하는 글자이기 때문에 붙은 말. 이 글자의 원래 이름은 모른다.
- ↑ 신민당 정부가 ERT를 폐쇄하고 NERIT이란 곳을 정식으로 출범시킬 때까지 임시로 운영한 방송.
- ↑ 물론 일반적인 상황에선 당연히 아라비아 숫자를 쓴다.
- ↑ 디감마(Ϝʹ) 또는 ΣΤʹ를 쓰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