딕시

(Dixie에서 넘어옴)

Dixie

주의. 이 문서는 비하적 표현에 관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비속어, 욕설, 멸칭에 관해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따라서 읽는 이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으니 열람하실 때 주의하시고, 읽고 싶지 않으시면 문서를 닫아주세요.
미국 남부의 들을 지칭하는 용어이자 1859년에 발표된 I Wish I Was in Dixie's Land라는 노래의 약칭이기도 하다.

1 범위

300px-Map_of_the_Southern_United_States_modern_definition.png
해당되는 주는 웨스트 버지니아(West Virginia), 버지니아(Virginia), 메릴랜드(Maryland), 노스 캐롤라이나(North Carolina), 사우스 캐롤라이나(South Carolina), 조지아(Georgia), 플로리다(Florida), 앨라배마(Alabama), 테네시(Tennessee), 미시시피(Mississippi), 아칸소(Arkansas), 텍사스(Texas), 오클라호마(Oklahoma), 루이지애나(Louisiana), 켄터키(Kentucky)의 15주이다. 보면 알겠지만 대부분이 과거에 노예제를 허용했던 주들이다.

2 어원

290px-DixBankNote.jpg
어원은 명확하지 않으나 대체로 루이지애나 주 내의 은행들이 발행했던 지폐가 지목되고 있다. 루이지애나는 프랑스의 식민지였다가 미국이 구입하여 편입한 지역이라 프랑스인의 후예인 케이준들이 다수 거주하고 있었고 프랑스어도 여전히 많이 쓰이고 있었다. 그래서 10달러 지폐에는 한쪽 면에는 영어로 Ten, 다른 면에는 프랑스어로 10을 의미하는 Dix가 표기되어 있었으며, 이를 본 영어 사용자들이 그 지폐를 Dixies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결국 이 용어는 루이지애나를 비롯한 여러 남부 주를 가리키는 용어로 확대되어 쓰였다.

다른 어원으로는 맨해튼의 관대한 노예주로 명망이 높았던 Mr. Dixy라는 인물이 거론되지만 근거는 다소 약하다. 그 이외에도 영국의 천문학자 제레미아 딕슨(Jeremiah Dixon)이 설정한 메릴랜드펜실베니아주의 경계인 메이슨-딕슨 라인(Mason-Dixon)이 실질적인 자유주와 노예제 운용주의 경계였던 데에서 어원을 찾는 분석도 있다.

3 용례

위에 열거된 남부 주 지역이나 출신자들을 Dixie로 부르는 예가 많다(예:dixiecrat). 여기서 '보수적이고 꽉 막힌 남부 촌놈'이라는 뜻으로 더 나아가면 레드넥이라고도 불린다.

기업, 지명 등 여러 분야에도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 플로리다를 거점으로 하는 나스닥 상장 슈퍼마켓 체인 윈 딕시 스토어즈(Winn-Dixie Stores)같은 회사도 있다.
  • 시카고-마이애미간의 총연장 9,312km의 도로로 현재 미국 25번 국도의 전신인 도로의 이름이 딕시 하이웨이(Dixie Highway)이다. 약칭은 DH.
  • 1989년에 텍사스주 달라스에서 결성된 여성 3인조 밴드 Dixie Chicks[1]가 있다. 멤버 중 마티 매과이어(Martie Maguire)만 펜실베이니아 출신으로, 다른 멤버인 내털리 메인스(Natalie Maines)와 에밀리 로비슨(Emily Robison)은 텍사스 출신이다. 주로 부르는 곡도 미국 남부 지역이 근원인 컨트리 뮤직.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정치적으로 진보 성향을 강하게 나타내는 점이 흥미롭다.
  • 미국 굴지의 종이컵, 종이접시, 냅킨 브랜드의 이름이 딕시(Dixie)다. 그런데 미국 남부 기업은 아니고 매사추세츠(...)에서 시작한 기업이다. 이뭐병 사실 원래 브랜드명은 건강 컵이었으나, 스페인 독감으로 일회용 컵 시장에 무수히 많은 경쟁자가 생겨남에 따라 차별화를 위해 당시 뉴욕의 유명 인형 브랜드인 딕시 인형 회사의 이름을 따서 딕시로 갈아된 것이다. 최종적으로 딕시 컵은 조지아-퍼시픽사에 인수되었다.

4 음악작품 I Wish I Was in Dixie's Land

I Wish I Was in Dixie, Dixie's Land, 혹은 가장 짧게 Dixie라고 하기도 한다.

1859년에 발표된 곡으로 미국의 대니얼 D. 에멧(Daniel Decatur Emmett, 1815-1904)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와 친분이 있는 흑인 밴드였던 스노우덴 패밀리 밴드(Snowden Family Band) 측은 공동저작이라고 주장한 바도 있어서 논란의 여지는 좀 있다.

이 곡은 흑인 노예가 플랜테이션 농장에서 일하던 때를 그리워하는 내용을 다소 과장된 흑인영어(African American Vernacular English)로 노래하는 것이다. 노래 내용과 관계 없이 후렴구 덕분에 남부에 인기가 있었다. 남북전쟁 당시에는 개사되어 남군 측의 비공식적인 국가(國歌)가 되기도 했고, 제퍼슨 데이비스대통령 취임식 때 연주하기도 했다. 그래서 이 곡을 인종차별이 강한, 과거의 노예제를 운영하던 남부 시절을 그리워하는 노래로 인식하는 경향도 있다.

특기할 것으로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이 곡에 대한 시각이 있다. 그는 이 곡에 정치적인 의도는 없다고 보았으며 개인적으로도 매우 좋아했고, 남군의 수장 로버트 E. 리(Robert E. Lee, 1807-1870) 장군이 항복선언을 할 때에도 연주하게 했다.

이 곡이 작자 미상의 민요라고 전해지기도 했는데, 오하이오 출신인 양키[2]가 남부를 대표하는 음악을 만들었다는 것이 기분 나빠서(...).

그것과 별개로 영국 플리머스 쪽 민요와 관련이 있다는 설도 있다.

엘비스 프레슬리의 노래 'American Trilogy'의 가사에도 'I wish I was in Dixie'하는 부분이 계속해서 나온다.

참고로 현재 미국에서 인종차별적인 곡 취급 받고 있으니 함부로 부르지 말 것. 다만 일부 남부 지역 사람들에게 불러주면 좋아한다. 노래는 참 흥겹다만 아쉽네 북한 애국가??

에멧의 가사. 가장 잘 알려진 것이다.

앨버트 파이크(Albert Pike)에 의해 개사된 버전. 사실상 남부의 국가로 쓰였다. 남부 일부 초등학교에서도 가르친다 카더라.

1절
Southern men the thunders mutter!

속삭이는 천둥과 같은 남부의 남자들아
Northern flags in South winds flutter!
남부에서 북쪽의 깃발이 휫날리고 있다!
To arms! To arms! To arms, in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무장하라! 이곳 남부에서!

Send them back your fierce defiance!
그들에게 맹렬한 반격을 가하라!
Stamp upon the cursed alliance!
저주받은 옛 동맹을 짓밟으라!
To arms! To arms! To arms, in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무장하라! 이곳 남부에서!


Advance the flag of Dixie!
남부의 깃발을 휫날리며 전진하자
Hurrah! Hurrah!
만세! 만세!
For Dixie's land we take our stand,
남부를 위해 우린 궐기한다!
And live or die for Dixie!
남부를 위해 죽음을 각오하라!
To arms! To arms! And conquer peace for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남부의 평화를 쟁취하라!
To arms! To arms! And conquer peace for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남부의 평화를 쟁취하라!

2절
Fear no danger! Shun no labor!

위험을 두려워하지 말라! 노동을 피하려 하지 말라!
Lift up rifle, pike, and sabre!
소총과, 총검과, 군도를 높이 쳐들라!
To arms! To arms! To arms, in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무장하라! 이곳 남부에서!

Shoulder pressing close to shoulder,
어깨와 어깨를 맞닿아
Let the odds make each heart bolder!
서로의 심장에 용기를 불어넣어라!
To arms! To arms! To arms, in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무장하라! 이곳 남부에서!


Advance the flag of Dixie!
남부의 깃발을 휫날리며 전진하자
Hurrah! Hurrah!
만세! 만세!
For Dixie's land we take our stand,
남부를 위해 우린 궐기한다!
And live or die for Dixie!
남부를 위해 죽음을 각오하라!
To arms! To arms! And conquer peace for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남부의 평화를 쟁취하라!
To arms! To arms! And conquer peace for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남부의 평화를 쟁취하라!

3절
Swear upon your country's altar

조국의 혁명에 충성을 맹세하고
Never to submit or falter
결고 항복하거나 흔들리지 말라!
To arms! To arms! To arms, in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무장하라! 이곳 남부에서!

Till the spoilers are defeated,
저 역겨운 북부가 패할 때까지
Till the Lord's work is completed!
신의 과업이 완성될 때까지
To arms! To arms! To arms, in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무장하라! 이곳 남부에서!


Advance the flag of Dixie!
남부의 깃발을 휫날리며 전진하자
Hurrah! Hurrah!
만세! 만세!
For Dixie's land we take our stand,
남부를 위해 우린 궐기한다!
And live or die for Dixie!
남부를 위해 죽음을 각오하라!
To arms! To arms! And conquer peace for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남부의 평화를 쟁취하라!
To arms! To arms! And conquer peace for Dixie!
무장하라! 무장하라! 남부의 평화를 쟁취하라!

이 곡은 집잽(JibJab)의 유명한 패러디 작품 Good to be in D.C.의 원곡이기도 하다.

세가에서 아케이드용으로 제작한 게임 뱅크패닉(한국명 '은행강도')의 BGM으로도 쓰였다.
  1. 굳이 번역을 하자면 '남부 가시나들' 정도가 적당하다.
  2. 대니얼 에멧은 오하이오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