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Attachment/타슈켄트/Example.jpg
도시 중심가에 있는 티무르의 동상
1 개요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이자 우즈베키스탄은 물론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큰 대도시. 인구는 약 220만명.
2 역사
도시 이름의 의미는 튀르크어로 돌의 도시라는 뜻으로 일찌기 11세기부터 쓰이던 지명이었다. 도시 자체는 호라즘 왕조 나 몽골 제국, 티무르 제국이 우즈벡을 지배하던 시절부터 계속 있었다. 그러나 사마르칸트 같은 쟁쟁한 실크로드의 고도들을 제치고 중심도시의 지위에 오른 건 그리 오래 된 일이 아니다. 타슈켄트가 수도가 된 건 1930년에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가 사마르칸트로부터 천도해 온 뒤부터. 1966년 대지진을 거쳐 지금의 도시의 형태가 만들어졌다.
3 상세
비율상 우즈벡인이 다수이고 일부 러시아인과 고려인도 거주하고 있다. 소련 시절에는 확고부동한 중앙아시아의 중심지였고 나름대로 자부심을 갖고 있었으나[1] 변방 촌놈 취급했던 카자흐스탄이 1991년 독립 이후 잘 나가고 우즈벡은 경제적으로 정체되면서 빛이 바랜 감이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인구빨로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 우즈베키스탄에서는 러시아어가 널리 사용되는 지역이기도 한다.[2]
사마르칸트, 부하라 같은 실크로드의 우즈벡 중부의 역사도시에 비하면 관광객이 볼만한 곳은 좀 적은 편이지만, 그래도 구시가가 잘 보존되어있고 수많은 박물관이 있다. 이 타슈켄트 구시가지는 사실 1966년 대지진으로 한번 완전히 갈려 나간걸 송두리째 소련이 사람과 돈을 퍼부어 복구한 건데, 60년대 후반이면 소련도 2차대전의 참화에서 벗어 나 국력도 절정에 달했고, 소련 국민들도 문화 생활을 신경 쓸 만큼 생활 수준이 올라갔을 때여서 나름 예술적, 고고학적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근대 도시 계획의 합리성, 조직성을 도입하려고 했기 때문에 도시 전체가 한번 갈려 나갔던 것 치고는 상당히 잘 재건했다고 평가 받는다. 애초에 이 시점에서는 타슈켄트 자체도 소련 굴지의 4위 도시였던 지라 어떤 식으로든 도시 현대화와 확장은 불가피했다.[3].
세계적으로도 작지 않은 면적의 우즈베키스탄이란 나라 국토 전체에서도 동쪽 끝에 치우쳐 있고 카자흐스탄 국경에서 상당히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다.[4] 사실 우즈벡 인접국인 투르크메니스탄 북부, 카자흐스탄 남부, 키르기스스탄 서부도 우즈벡인들이 많이 살고 있지만 실제 민족분포보다는 소련 시절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국경을 나누다보니 타슈켄트가 나라 구석 끝에 박힌 것처럼 보이게 된 것.
2012년 기준으로 총 3개 노선의 타슈켄트 지하철이 운행 중이다.- ↑ 중앙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지하철이 있다고 자랑하고 주요 역을 일일이 소개하는 시가 당당히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려있었다. 알마티에 지하철이 개통된 2010년대부터는 교과서에서 빠졌을지 추가바람
- ↑ 지방쪽에서는 러시아어사용자가 줄어들고 있어서 타슈켄트지역이 러시아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 ↑ 모스크바, 레닌그라드, 키예프 다음 순서로, 지정학적 위치가 그렇다 보니 시베리아와 극동 개발의 관문 역할을 하며 큰 성장을 했다
- ↑ 카자흐스탄도 옛 수도 알마티가 키르기스스탄 국경 근처에 있었는데 독립 후 국토 중앙의 아스타나로 천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