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시초소

1 일반적인 정의

북쪽사람이 날라갔다고 주장하는 건물
초병이 안에 들어가 경계 근무를 서는 곳.

재질은 참호와 마찬가지로 부대 상황이나 중요도에 따라 나무에서 벽돌, 콘크리트까지 다양하며 중요 지점이나 사방이 내다보이게끔 설치되었다.
당연하지만몇명만 겨우 들어갈 공간만 있어서 거주성은 거의 없는 편. 비바람이나 막을 수 있으면 다행인 수준인 경우가 많다.

여러가지 이유[1]로 다시 새롭게 만들거나 이미 만들어졌다가 버려진 것들도 많다.

한국군의 감시초소는 GP 참조.

2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시리즈의 방어탑

2.1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

파일:Attachment/감시초소/sentryt.jpg
게임 시작하면 마을 회관 주변에 저절로 주어지는 4개의 타워. 처음엔 공격능력이 없는 단순한 망루지만 시대업을 할수록 방어탑으로서의 능력도 상승한다.

건물 치고는 특이하게 전서구, 봉화 업그레이드로 건물 시야 업글을 할 수 있다.

2.2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공격 능력과 병력 탑재 능력이 있는 망루( → 방어탑 → 성채)와 단순하게 넓은 시야를 가진 감시초소가 모두 존재한다.

감시초소가 시야만 확장시키는 것에 비해 망루는 화살로 원거리 공격을 하며, 주민 또는 궁병계 유닛(기마 궁사류는 아예 탑에 못 들어가므로 제외)의 탑재 수에 따라 화살의 수가 증가한다. 또한 걸어다니는 유닛(주민, 보병, 궁사, 수도사 등)이라면 모두 주둔시킬 수 있으며, 주둔하고 있는 유닛을 조금씩 치료해 준다.

그 이외에도 연금술을 연구하면 지을 수 있는 사석포탑도 있다. 한타가 강하지만 건설 비용이 매우 비싼 건물.

2.3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파일:Attachment/감시초소/outpost.jpg
파일:Attachment/감시초소/Foutpost.jpg

생산 가능시대: 식민지 시대
비용: 나무 250
체력: 2000
방어: 원거리 0%
건설 한도: 7
방어: 원거리 0%
원거리 공격: 사거리 24, 공격력 30(주민에 대해서는 x0.3배, 경보병과 기병에게 x1.5배, 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사석포 공격: 사거리 24, 공격력 60(주민에 대해서는 x0.3배, 경보병과 기병에게 x1.5배, 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범위 3)
대 함선 공격: 사거리 40, 공격력 100(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공속: 3초
인구수 제공: 5


아웃포스트. 미쏠로지 때에도 방어탑을 짓는 개수제한이 있었지만,미쏠로지에서는 제한개수가 30여 개 정도여서 티가 안 난는 데 반해 aoe3에서는 감시초소를 7개[2]밖에 지을 수 없게 되었다. 또한 팀 카드를 통해 30% 싸게 건설할 수도 있다.

고로 타워 러시우주방어 같은 건 커녕 기지 방어하기에도 턱없이 모자라 마을 회관이나 유닛을 동원해야 할 판이다. 또한 선박 공격과 일반 지상유닛 공격 방식도 크게 변화. 다른 건물들도 다 그렇지만.

전선 감시초소로 업그레이드하면 원거리 공격력이 50% 증가하고, 대형 감시초소로 최종 업그레이드를 하게 되면 대포를 사용해서 공성 공격으로 바뀐다.

2.3.1 감시초소 외의 방어건물

2.3.1.1 토치카

Buildingblockhouse.jpg

생산 가능시대: 식민지 시대
비용: 나무 250
체력: 2000
방어: 원거리 0%
건설 한도: 7
방어: 원거리 0%
원거리 공격: 사거리 24, 공격력 30(주민에 대해서는 x0.3배, 경보병과 기병에게 x1.5배, 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사석포 공격: 사거리 24, 공격력 60(주민에 대해서는 x0.3배, 경보병과 기병에게 x1.5배, 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범위 3)
대 함선 공격: 사거리 40, 공격력 100(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공속: 3초
인구수 제공: 5

감시초소를 대체하는 러시아의 고유 건물. 보병양성소와 감시초소를 합처놓았다 할 수 있는 건물이다.

생산 가능 유닛은 장창병과 스트렐치, 미늘 창병, 머스킷 보병이고,[3] 감시초소처럼 적을 공격하거나 주민이 대피할 수도 있으며, 인구수까지 5를 제공한다.

지극히 평범한 유닛생산시설인 보병양성소와는 달리 토치카는 러시아의 전술에서 상당히 유용한 가치를 지니는데, 이유는 매우 간단하다. 러시아의 유닛들이 다들 체력이 종잇장이기 때문. 즉, 토치카를 벙커링하듯 전진건설하여 고정 탱커로 삼아가면서 전진하는게 러시아의 기본 전술이 된다. 결국 용도는 벙커와 비슷하다. 덤으로 인구수도 제공해주니 이 아니 좋을쏘냐. 업그레이드를 통해 강화가 가능하며 마차 수송 카드에도 체력 향상 효과가 붙어있다. 팀 카드에서는 감시초소 관련 카드 혹은 보병양성소 계열에서 일부 혜택을 얻을 수도 있다.

2.3.1.2 전사양성소

WarHut.jpg

생산 가능시대: 식민지 시대
비용: 나무 250
체력: 2000
방어: 원거리 0%
건설 한도: 7
원거리 공격: 사거리 24, 공격력 30(주민에 대해서는 x0.3배, 경보병과 기병에게 x1.5배, 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대 함선 공격: 사거리 40, 공격력 100
공속: 3초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3: 대전사에서 새로운 국가로 등장한 이로쿼이, 아즈텍, 수족의 유닛 생산 건물. 비용이나 성능을 보면 알겠지만 러시아의 토치카와 대동소이하다. 보병양성소+감시초소의 성능. 덕분에 감시초소와 비슷하게 업을 할 수도 있고 카드로 받거나 강화할 수도 있지만 생산 한도도 정해져 있다. 또한 업그레이드를 해도 사석포 공격은 없다.

방어 관련 카드와 마을의 춤을 추면 실로 막강한 능력치로 방어의 중추가 된다.
체력 20%, 25% 상승 카드가 있을 정도. 모든 카드를 바르고 마을의 춤을 추기 시작하면 이게 감시초소 대용인지 요새인지 구별이 안간다. 팀 카드에서는 감시초소 관련 카드 혹은 보병양성소 계열에서 일부 혜택을 얻을 수도 있다. 아즈텍의 경우는 시대업 지도자가 전사양성소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2.3.1.3 고급 전사양성소

NoblesHut.jpg

생산 가능시대: 식민지 시대
비용: 나무 250
체력: 2000
방어: 원거리 0%
건설 한도: 7
원거리 공격: 사거리 24, 공격력 45(주민에 대해서는 x0.3배, 경보병과 기병에게 x1.5배, 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대 함선 공격: 사거리 40, 공격력 100
공속: 3초

아즈텍의 기병 양성소 및 공성무기 제조소를 대체하는 보강된 전사 양성소로 아즈텍만 건설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아즈텍은 건설 한도 증가 카드가 따로 있으며 고유 카드를 통해 위의 전사양성소와 함께 원거리 공격의 사거리를 30으로 만들 수도 있다. 에이지 2편의 아즈텍이 방어탑에서 성채로 업그레이드하지 못한 것을 생각하면 미묘하다.

2.3.1.4 집/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파일:Attachment/감시초소/longh.jpg
이러쿼이 연맹을 선택하면 고유 집인 롱하우스(공동 주택)를 방어탑으로 업글할 수 있는 카드를 받을 수 있다. 공격도 담당하는 하우스 쉴드

2.3.1.5 아시아

생산 가능시대: 식민지 시대
비용: 나무 250 금화 100
체력: 3000
건설 한도: 5
방어: 원거리 0%
원거리 공격: 사거리 24, 공격력 30(주민에 대해서는 x0.3배, 경보병과 기병에게 x1.5배, 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사석포 공격: 사거리 24, 공격력 60(주민에 대해서는 x0.3배, 경보병과 기병에게 x1.5배, 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범위 3)
대 함선 공격: 사거리 40, 공격력 100(대포류가 아닌 공성무기에 대해 x0.5배)
공속: 3초

원주민의 전사 양성소처럼 병력을 양성하지만 포병을 양성하는 공성 무기 제조소의 역할도 겸한다.

아시아의 성도 처럼 건설 한도를 향상시키는 국가별 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평저성, 산성 등의 수송 카드로도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일본의 경우는 산성국이라는 카드를 통해 성의 사거리를 6이나 증가시키는 카드도 존재.
  1. 직접 지킬 필요가 없을 정도로 중요도가 떨어졌던가(기술 발전으로 육안 확인 없이도 파악 가능) 위치가 너무 발각되기 쉽다거나 등
  2. 홈 시티에서 카드를 사용하여 최대 한도를 13개까지 증가시킬 수 있지만, 일부 국가는 이런 카드도 없다. 이 카드는 토치카, 전사 양성소도 적용된다. 성의 경우는 9개가 한계.
  3. 홈시티 카드 업을 통해 소형포구포도 생산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