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체의 종류 | |||||||
존댓말 | 하소서체 | 하오체 | 하십시오체 | 해요체 | |||
반말 | 하게체 | 해라체 | 해체#s-2 | ||||
구어체 | 음성적 잉여표현 | 반언어적 표현 | 비언어적 표현 | ||||
문어체 | 간결체 | 강건체 | 건조체 | 만연체 | 우유체 | 화려체 | |
비표준어 | 국한문혼용체 | 국한문병용체 | 한영혼용체 | 개조식 | 발음대로 쓰기 | 읍니다 | |
문법 | 로마자 표기법 | 외래어 표기법 | 국문법 | 맞춤법 | 모아쓰기 | 띄어쓰기 | 가로쓰기 |
문체: 일반 문체 / 신조어 문체 |
개조식(個條式)
1 개요
이 개요는 나무위키 암묵의 룰에 따라 개조식으로 작성되어 있음. |
- 2003년 국립국어원 신어
- "[명사] 글을 쓸 때에, 앞에 번호를 붙여 가며 짧게 끊어서 중요한 요점이나 단어를 나열하는 방식."
- 단, 단어 자체는 상당히 오랜 기간 사용되어온 것으로 여겨짐(광복 이후).
- 서술법의 일종: 개요 중심의 간결한 서술법
- 완전한 문장구조의 성립을 요하지 않음.
- 키워드나 개요 중심으로 서술함.
- 대개의 경우 글머리표나 번호를 붙임.
- 문어체, 건조체, 간결체, 음슴체와 잘 어울림.
- 강제개행과는 비슷하나 다름.
1.1 해석
이 개요는 나무위키 암묵의 룰에 따라 개조식으로 작성되어 있습니다. |
2003년 국립국어원 신어로, 글을 쓸 때에, 앞에 번호를 붙여 가며 짧게 끊어서 중요한 요점이나 단어를 나열하는 방식이다. 단, 단어 자체는 상당히 오랜 기간 사용되어온 것으로 여겨진다.
개요 중심으로 간결하게 서술하며, 완전한 문장 구조의 성립을 요구하지 않으며, 키워드나 개요 중심으로 서술하며, 대개의 경우 글머리표나 번호를 붙이고, 문어체, 건조체, 간결체, 음슴체와 잘 어울린다. 강제개행과는 비슷하나 다르다.
2 문법
개조식만을 위한 엄격한 문법적 규범은 존재하지 않으며, 문장을 계층화할 때 말머리표 및 번호 붙이는 순서/방법을 규범화하는 경우는 있다.
- 나무위키: 다수의 위키니트 서식
- 나무위키에는 다수의 위키니트가 서식
- 나무위키에는 다수의 위키니트가 서식함.
이런 예가 있을 수 있다.
말머리표 또는 번호로 구분되고, 서술이 길어지는 문장을 지양하고 요점만 기재하며, 문장이 계층화되어 있다는 것이 주요 특징이며, 일반적 문법 주의사항으로는, '개조식의 각 문장이 완성되지 않은 경우 끝에 마침표를 찍지 말 것', '동사의 명사형으로 끝난 경우 마침표를 찍을 것', '문장이 완성된 것으로 간주, 구주점을 찍을 것'등이 있다.
3 사용
3.1 목적
간결한 정보 전달을 주요 사용 목적으로 하며, 그렇게 하여 불필요한 사족의 제거로 분량이 크게 줄어들고 가독성이 향상된다. 또한, 문체가 건조하므로, 격식보다 실용성이 중요한 공적 관계에서 활용된다. 또 부가적인 해설의 개입 없이 사실만을 나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3.2 대한민국에서의 사용처
- 군대 내부 서류
- 공문서
- 보고서
- 보도자료
- 보도자료 발행 관행을 따르다 사과문조차 개조식으로 작성하여 빈축을 사는 사례가 간혹 발생함.
사과함. 유감. 끝
- 보도자료 발행 관행을 따르다 사과문조차 개조식으로 작성하여 빈축을 사는 사례가 간혹 발생함.
- 사법시험, 행정고시 2차 등 주관식 시험에서 시간이 촉박할 경우 (...)
- 학습지
- 프레젠테이션
- 서술식으로 작성된 문서에서도, 목록 등은 개조식으로 작성되는 경우가 많다.
- 관공서에서 제작한 인쇄물 등
- 예 1. 이 지역은 자율방범지도위원회에서 범죄예방을 위하여 순회하는 지역임.
- 예 2. 이 지역은 특수형광물질을 활용한 도난방지구역임.
- 예 3. 위험 어린이 뛰어나옴.
4 기타
문어체로 작성하는 본 위키에서는 '~때문. ~하는 듯. ~중. ~임.' 등의 개조식의 어투를 가급적 쓰지 말 자.[1] 소수의 관용 표현: 수정바람, 추가바람 등
일본어의 箇条書き(かじょうがき)의 변형으로 여겨진다. 국방일보 칼럼 일본어 위키백과 箇条書き 항목
1종종 주객이 전도되어, 개조식 서술을 요하는 각종 서류에서도 분량을 늘이기 위하여, 또는 수식어를 붙여 내용을 강조하거나 미화하기 위하여, 혹은 의도하지는 않았으나 서술자의 역량이 부족한 이유로 인해 개조식 도중에 만연체나 화려체가 난입하여 본 문단과 같이 필요 이상으로 긴 개조식 문장이 빈발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굳이 엄밀히 따질 필요도 없이 개조식의 의미를 되새겨보기만 해도 본래 사용 의도에 부합하지 아니하는 것을 알 수 있다.
5 관련 문서
- 이동 ↑ '~를 참조. ~에 주의(유의). ~할 것.' 등은 많이 쓰이는 표현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