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문체(文體)란 글에 사용하여 특정한 느낌을 주는 문장같은 형식이다. 글에서 작가의 스타일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공식적으로 나눠진 문체는 아래와 같다. 대개 대응항이 있어서 짝을 이룬다. 설명을 읽기보다도 아래에 주어진 예시들[1]을 보면 이해하기 더 쉽다. 등록되지 않은 문체가 많으니 역링크에 들어가서 수시로 확인하길 바라고 다른 문체는 추가바람.
혹은 글을 쓸 때 사용하는 문장 성분이나 어미의 변형 형태에 따른 구분을 의미한다.
나무위키의 개별 문체 문서는 각 문체의 개성을 살리고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에 해당하는 문체로 작성하는 것이 암묵의 룰처럼 작성되었다(특히 신조어 문체 문서에서는 더욱 더.). 문체를 해당 문체로 작성하는 것은 한국어 백괴사전에서 먼저 했고 초성 올려 쓰기 문서가 그런 방법으로는 최초였다. 그리고 카더라 통신 문서도 2008년까진 이 행렬에 가담하고 있었다. 보그체 같은 문체들도 위키페어리들이 수정했고 최종보스였던 외계어도 2012년 8월에 번역되었다! 사전에서 인정되는 문체 중 난이도가 가장 높은 우유체도 2014년 경에 번역되었다.
문체는 아니지만 문서의 이름과 관련된 표현으로 쓰였던 알 게 뭐야, 지금은 사라진 김대기의 적절버전, 카더라 등이 있으며, 세줄요약도 일단은 해당된다. 심지어 리포그램도 이렇게 작성되었다. 과거 모스 부호와 국제음성기호 문서에도 암묵의 룰이 적용되었지만 그런 문서는 읽기가 너무 어려워서 사라졌다.
기타 예시는 나무위키 암묵의 룰 문서 참조.
2 문체의 종류
2.1 표준어 문체, 기타 문체
한국어 문체의 종류 | |||||||
존댓말 | 하소서체 | 하오체 | 하십시오체 | 해요체 | |||
반말 | 하게체 | 해라체 | 해체#s-2 | ||||
구어체 | 음성적 잉여표현 | 반언어적 표현 | 비언어적 표현 | ||||
문어체 | 간결체 | 강건체 | 건조체 | 만연체 | 우유체 | 화려체 | |
비표준어 | 국한문혼용체 | 국한문병용체 | 한영혼용체 | 개조식 | 발음대로 쓰기 | 읍니다 | |
문법 | 로마자 표기법 | 외래어 표기법 | 국문법 | 맞춤법 | 모아쓰기 | 띄어쓰기 | 가로쓰기 |
문체: 일반 문체 / 신조어 문체 |
2.2 신조어 문체
신조어 문체의 종류 | ||||||
일반 | 나스체 | 도깨비말 | 사물존칭 | 야민정음 | 오타체 | 외계어 |
지큐체 | 통신체 | 한본어 | 휴먼구연체 | 이응체 | - | |
특정 집단이 쓰는 문체 | 급식체 | 노땅체 | 다나까체 | 여자어 | 연서복체 | 박근혜 화법 |
오덕체 | 줌마체 | 광고체 | 참피체 | - | - | |
끝말체 | 근성체 | 근영체 | 긔체 | 나영체 | 냥체 | - |
삼체 | ~스무니다체 | ~슴다체 | 양양체 | ~아체 | 음슴체 | |
이기야 | ~해체 | 해오체 | ~지 말입니다 | - | - | |
기타, 외국어 관련 | 번역체 문장 | 보그체 | 왈도체 | 인살어 | - | - |
문체: 일반 문체 / 신조어 문체 |
- ↑ 아래의 문체는 이태준의 "문장강화"에서 확립된 것이다. 바로 아래의 것에만 해당한다. 그리고 대개 예문까지도 이 책에서 따오는 경우가 반복되고 있었는데, 나무위키에서는 거기에서는 탈피하고 있다. 이태준을 이 문체들의 최초 발언자가 아니라 일본의 어떤 원전에서 수입한 것으로 보인다. 자세한 사항은 연구성과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