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문체
신조어 문체의 종류 | ||||||
일반 | 나스체 | 도깨비말 | 사물존칭 | 야민정음 | 오타체 | 외계어 |
지큐체 | 통신체 | 한본어 | 휴먼구연체 | 이응체 | - | |
특정 집단이 쓰는 문체 | 급식체 | 노땅체 | 다나까체 | 여자어 | 연서복체 | 박근혜 화법 |
오덕체 | 줌마체 | 광고체 | 참피체 | - | - | |
끝말체 | 근성체 | 근영체 | 긔체 | 나영체 | 냥체 | - |
삼체 | ~스무니다체 | ~슴다체 | 양양체 | ~아체 | 음슴체 | |
이기야 | ~해체 | 해오체 | ~지 말입니다 | - | - | |
기타, 외국어 관련 | 번역체 문장 | 보그체 | 왈도체 | 인살어 | - | - |
문체: 일반 문체 / 신조어 문체 |
목차
1 개요
이 개요는 나무위키 암묵의 룰에 의해 음슴체로 작성되어 있음. |
말 끝이 종성 ㅁ으로 끝나는 말투임. 원래는 동사를 명사화시킬 때 쓰는 종성 '~ㅁ'이 유래임. 실제로 쓰일 땐 '~음'이나 '~슴'으로 끝나는 형식임. 하지만 반드시 저 두 글자로만 끝나는 것은 아님. 동사의 종류에 따라 베리에이션이 좀 많음.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종성이 ㅁ으로 끝나는 공통점이 있음. 사실 '~슴'으로 끝나면 안 되고, '~슴'을 쓸 경우에도 '~음'을 쓰는 게 맞춤법에 맞음. (예: 있슴(X)→있음(O), 잇슴) 그래서 맞춤법에 따르면 사실은 '음임체'라고 불러야 할 것임.
1.1 해석
이 개요는 나무위키 암묵의 룰에 의해 음슴체로 작성되어 있다. |
내 남친 얘긴데편하게 음슴체로 쓸게
남친이
없다
말 끝이 종성 ㅁ으로 끝나는 말투. 원래는 동사를 명사화시킬 때 쓰는 종성 '~ㅁ'이 유래며 실제로 쓰일 땐 '~음'이나 '~슴'으로 끝나는 형식이다. 하지만 반드시 저 두 글자로만 끝나는 것은 아님. 동사의 종류에 따라 베리에이션이 좀 많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종성이 ㅁ으로 끝나는 공통점이 있다. 사실 '~슴'으로 끝나면 안 되고, '~슴'을 쓸 경우에도 '~음'을 쓰는 게 맞춤법에 맞다. (예: 있슴(X)→있음(O), 잇슴) 그래서 맞춤법에 따르면 사실은 '음임체'라고 불러야 할 것.
2 상세
대개 글을 시작할 때 "나는 애인이 음슴으로 음슴체를 쓰겠음"이나 "편의상 음슴체로 쓰겠음"을 붙여준다. 그런데 요즘은 안 그럴 때가 많다.
말 끝에 마침표를 안 찍는 것도 음슴체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음슴체와 세트로 '~듯'으로 끝나는 말투도 자주 쓰인다. 이건 뭔가 자기 의견이나 추측을 강력하게 표명하긴 좀 그렇지만 뭔가 한마디는 하고 싶을 때, 남들하고 의견 충돌을 피해서 넌지시 말해보려는 소극적 태도에서 나오는 말투다. 하지만 "그건 좀 아닌 듯"처럼 비꼬는 말투에도 쓰이며 위키에서도 종종 보인다.
그리고 이렇게 문장을 명사로 끝내는 표기체도 음슴체와 세트로 사용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 두 표기체가 음슴체에 가까운지 문어체에 가까운 지는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존댓말을 쓰기도 어색하고 반말을 쓰기도 어색한, 익명성이 강한 인터넷 공간에서 자주 쓰는 말투다. 그러나 예의없어 보이기도 하는데, 명사형 종결어미 -(으)ㅁ 이 확정성, 결정성을 띄기 때문에 권위적인 성격이 생기기 때문이다. 일상 대화에서 쓸 경우 상당히 무례하게 들릴수도 있다. 한편, 표준어와 사투리에 관계없이 끝이 ~음, ~슴 으로 끝나므로, 객관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은근히 나무위키에서도 드문드문 보인다. 위키글에 간간히 괄호나 주석치고 이의있음 하면서 음슴체로 줄줄이 설명충스런 이의제기 글이나 반박글이 있다. 나무위키의 기나긴 규칙을 보기 힘들어하는 어린 이용자들이 사용하는걸로 추측된다.
음슴체가 위키 이용 특성과 많이 이질적인데다 대부분 음슴체로 시작하는 내용은 자기주장이 강한 경우가 많아 인식이 좋지 않다. 다른 문서에 음슴체는 자제하고 이의제기나 주장은 위키 게시판에 게재하는 것이 좋다.
나무위키에서 문서를 편집할 때도 쓰는 사람들이 몇몇 있다.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이 문서의 개요를 제외한 나무위키의 문서들 중에서 음슴체가 보인다면 문어체로 고쳐 주길 바란다.
3 예시
3.1 현실
- 문체 규제가 비교적 덜한 몇몇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된다.
-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진에어 스텔스 - 온게임넷 Off the Record에서 이 문체를 사용한 것을 확인 가능하다.
- 2017 수능특강 화법-작문-문법 교재의 개념을 설명하는 페이지의 상당수가 음슴체로 써져있다.[1] 문제는 이 교재가 엄연히 국가의 교육방송사에서 출판한, 그것도 "국어" 교재인데 이러한 신조어 문체를 분별 없이 사용해도 되는지 참 궁금하다.[2]
-
초딩
3.2 창작물
- 갓 오브 하이스쿨 -백승철
- 나와 호랑이님 - 폐이
- 마비노기 - 임프 : 단 우등생 임프는 그렇지 않다.
- 말에서 내리지 않는 무사 - 제베 : 매서운 외모와의 갭이 실로 어마어마하다.
- 메이플스토리 - 아랫마을의 소
- 변신 자동차 또봇 - 또봇 X : 이건 묘하게 기계음이 섞여있어서 살짝 눈치채기 힘들다.
- 영화 "로봇 앤 프랭크" - 주인공 로봇[3]
- 삼국전투기 - 방덕,유도. 유도의 경우는 조금 애매하지만 방덕은 확실함.
-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아바투르[4]
- 지상 최악의 소년 - 신
- 치즈인더트랩 - 권은택
4 용례
- ○○이/가 음슴[5]
- 괜찮음.
- 남친이
음슴없음. - 뭐함?
- 언제옴?
- 그거 뭐임? 먹는 거임?
우걱우걱 - 추가바람, 수정바람
- 리포그램 - 누구의 발상이었는지는 몰라도 모음 "ㅏ"를 사용하지 않고 작성했기 때문에 "~다" 어미를 쓸 수 없어서 저절로 음슴체로 작성되었다.
- 알 수 없음.
-
신선함! - 이의 있음!
- 응답없음
- 으앙 죽음
5 군대에서 무전을 주고 받을 때 사용하는 문체
군대에서 무전기를 통해 대화를 하게 된다면 평서문으로 이루어진 문장에는 이 말투를 사용한다. 이는 군용 무전의 특징인 간결성을 위한 규정임. 바로 이 때가 일개 사병이 대대장님과도 말을 놓을 수 있는 유일한 기회다. 단, 경찰이나 항만청 등 군 외부와 교신할 때 이러한 문체를 사용하면 "얻다 대고 반말임?"이라는 대답을 들을 수도 있다.
6 개조식 문체와의 관련성
정부부처, 공공기관에서 유통되는 공문서나 일반적인 보고서 등에서 사용되는 개조식 문체는 근본적으로 음슴체와 차이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단, 개조식은 기본적으로 문장의 간결함을 꾀하며, 서술자의 주관적인 의견이나 가치판단이 배제된 단순 정보전달의 목적을 보다 경제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서술 방식인 반면, 음슴체는 그러한 목적과의 뚜렷한 연관이 없더라도 어떤 문장이든 명사화 시켜 끝내면 성립하게 된다. 따라서 문단 제목마다 일일이 '~임'을 붙이지 않아도 성립이 가능하다.
개조식은 과도한 조사 생략 등으로 오히려 전달력이 저하되는 부작용이 있는바,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그 사용이 배제되고 있는 추세인데 반해 음슴체는 구사가 용이하여 인터넷 상의 사용이 확산되고 있다. 공문서 등에서 개조식을 지양하고 어느정도 풀어서 서술한 문장이 쓰이고 있다고는 해도, 조직 내에서 쓰이는 보고서는 여전히 개조식이 필수이다보니 음슴체의 사용 계층은 인터넷 사용자층과 별개로 매우 넓게 파악된다. 현실적으로 음슴체는 개조식의 장점인 간결성은 확보했으되 과하지 아니하여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는 선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음슴체는 개조식의 변종으로 볼 수도 있고 하위 개념으로 볼 수도 있다.
7 반말인지에 대한 논란
반말이 아니라는 의견 : 음슴체가 반말이라는 의견은, 존댓말이 아니면 다 반말이라는 생각이며 우리말에서 존댓말로 인한 폐해가 많은데, 그 대안이 음슴체다.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표현이며, 존댓말을 쓸 필요가 없다면 음슴체를 써보길 추천한다. 공문서, 보고서, 군대 무전에서도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음슴체가 쓰인다. 하지만 일상생활에서 음슴체를 사용하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게 함정임 [6]
- ↑ 대표적으로 206쪽부터 212쪽까지가 이에 해당됨.
- ↑ 사실 이건 음슴체라기보단 개조식 문체로 쓰인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다만, 완전한 개조식과 달리 문서화되어 쓰여있지는 않기에 애매하다.
- ↑ 다만 이건 번역가의 오역임. 때문에 많이 까였다.
- ↑ 다른 사람들은 몰라도, 스2덕들은 이 문서를 볼 때 자신도 모르게 머릿속에서 아바투르 음성지원이 되는 사람이 많을 거다(...). 그리고 같은 성우가 담당한 데하카 또한 독특한 문체(~닭으로 끝나는 문체. 하지만 이는 발음이 ~닭으로 끝나는 것 뿐.)로 유명하여 음성지원이 가능하다.
- ↑ 대부분 이렇게 비슷한 레퍼토리로 음슴체를 시작한다.
- ↑ 다만 인터넷 상에서는 여전히 꽤 쓰는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