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닉네임을 사용하는 철도 갤러리 회원 관련 내용을 넣지 마세요. 고소 방지를 위해서입니다. |
- 상위 항목 : 버스 회사
파일:Attachment/newpark-1.jpg
파일:Attachment/경남고속/gyeongnamexpress 1.jpg
1 개요
경상남도의 시외버스 회사로 면허는 양산시, 본사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남산동 118-8에 위치해 있다. 경남지방에서 그 힘이 대단한 대표적인 업체.[1] 다만 경남 서부에서는 부산교통 등에 밀리는 편이며 경남 동부지역을 거점으로 삼고 있다.
1966년도에 '경남뻐스'라는 이름으로 설립했으나[2] 1986년에 '경남버스'로 개칭하고, 2007년에 '경남고속'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경북엔 경북고속, 경남엔 경남고속이라 해서 둘의 세력이 비슷하다고 생각되겠지만 현실은 시궁창. 과거에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하는 90% 이상이 이 업체 소속이었고, 고속터미널과 시외터미널이 분리되었던 시절에는 세원백화점과 복합건물이었던 부산동부시외버스터미널(동래터미널로 더 잘통한다)[3] 시절에는 세원백화점이 이회사 소유였다(!!!) 리즈시절에는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도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하였다.[4] 그러나 비수익성 단거리 노선을 정리해버리고 중, 장거리 노선[5]만 운행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단거리 노선은 울산-양산-김해, 부산동부-동래-진주 노선 정도만 있다. 같은 지역을 기반으로 하면서 장거리 노선은 전무하고, 남해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단거리 노선만을 운행하는 거제현대고속, 신흥여객과 상당히 대조된다.
그렇기에 지금 대구 북부정류장에서 출발하는 버스의 대부분인 경북고속 계열[6]과 비교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으며 사세는 포항 지역의 아성고속보다는 조금 크다.
리즈시절에는 신일여객[7]을 계열사로 두었으나 폐업하고 말았다. 또한 계열사로 두던 (주)세원은 독립하여 별개의 회사가 되었고, 속리산고속은 2008년 5월에 금호고속에 인수되었다.[8] . 그 외에 사립중고등학교인 양산 보광중, 고등학교도 산하에 있는데, 이쪽은 계열 분리가 되지 않고 지금도 경남고속 산하 학교로써 경남고속의 장학금 기탁 등등으로 계속 유대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학교는 수학여행때 경남고속을 타고 갈듯[9]
대표적인 노선은 동서울 - 울산,[10] 동서울 - 해운대 노선이 있다.[11][12] 특히 동서울 - 해운대 노선의 경우 여름 휴가철이나 연말에 밤 11시 55분부터 익일 0시 정각까지 1분 배차라는 위엄을 보여준다.(!!!)[13] 요금도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노선의 고속버스 보다 더 저렴하며 청소년의 경우 학생할인을 받을수 있어 고속버스를 타는것 보다 만원 이상 저렴하다!!! 또한 동일 서비스에 더 빨리 해운대에 도착한다는 메리트를 강조한다.[14] 또한 서부산권에서 수도권으로 갈때 마산에서 환승하게 될 경우 이 회사의 버스를 타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15] 마산에서 환승을 해야하므로 환승대기시간을 감안하면 직통으로 갈때보다는 40 ~ 50분 정도는 더 걸리지만(반면 수도권발 마산경유 부산행은 10 ~ 20분 정도 더 걸린다) 우등할증을 받는 인천공항 노선을 제외하면 요금이 상당히 저렴해지기 때문에 시간적 여유만 있다면 환승편이 더 유리하다. 특히 학생할인 대상자라면 더 그렇다.[16]
특이한점은 동두천/하남/경기광주-부산/해운대 노선을 제외한 거의 모든 수도권행 노선들이 심야노선을 운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해운대발 동서울행의 막차는 00시 20분까지 있으며, 그외에도 해운대발 부천/고양, 오산/수원/안산행 노선들 또한 23시 넘어서 출발하는 심야노선이 있다. 마산발 수도권행 노선들도 심야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양방향 모두 KTX보다 더 늦게까지 다니는 괴랄함을 발휘한다. 다만 대부분의 노선들이 KTX의 영향을 받는지라 각각의 배차간격은 좋지 못한 편이다.[17]
현재는 골수 기아빠지만 2000년대 초반부터이고 원래는 1980~1990년대 즉 이회사의 리즈시절에는 쌍용차를 많이 굴렸다.[18](DA33, DA66, SB33,[19] 트랜스타) 하지만 단종된 이후 여러 차량을 뽑아 다녔다가 현재 그랜버드로 굳어진 상태. 보유했던 차량들은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대우 BH115H(극소수,신일여객에 다수 존재), BH116 등이 있었으나 폐차 혹은 타 업체에 매각해서 지금은 모든 차량이 그랜버드 파크웨이이며 대부분 우등 모델만 사용한다. 과거에는 늘어나는 수요 때문에 28인승 차량을 31인승으로 개조하여 짭우등으로 운행하던 회사였으나, 2016년 들어 하반기부터 우등 할증을 하기 위해[20] 다시 28인승으로 개조되어 운행하고 있다.[21]
원래 경상도 시외버스 회사들이 다른 지역 회사들보다 난폭운전을 하는 걸로 악명높지만[22] 이 회사는 금아버스그룹처럼 이례적으로 정속운행을 한다. 그렇다고 금아처럼 저속 운행을 하진 않고 당연히 이곳보단 빠르다...라고 한다만 이 회사도 지금와서 얌전해진 것뿐이지 리즈시절에는 자회사인 신일여객과 함께 남해고속도로의 패왕이었다. #
(오죽하면 향토없체 버스가 이 회사를 보면 존경의 의미로 아직도 인사를 한다는 우스갯소리가 있을까)
그래서 부산 경남쪽 어르신들 중엔 경남버스(경남고속)하면 잘 밟는 회사라고 생각하시는 어르신들도 꽤 있으시다.]]
그리고 경남의 시외버스 회사들이 전부 센스패스 교통카드 단말기를 설치한것과는 다르게 이 업체만 이비카드의 교통카드 단말기를 달고 운행한다. 그리고 센스패스는(...) 경남고속의 선견지명[23]
경기도 용인시의 버스회사인 경남여객과 헷갈리지 않도록.(...) 경남여객의 "경남"은 경상남도가 아니고 서울과 경기도(京)의 남쪽(南)에 있다는 뜻이므로 완전히 다르다.[24] 간혹 오너 집안의 성씨와 엮어서 경기도의 남씨 회사라는 의미로 지었다는 설도 있으나 진실은 저 너머에(...) 경남여객의 이름을 헷갈리지 않게 기남여객 , 필훈여객이나 다른 이름으로 바꾸는게 시급한것 같다.
2 운행 노선
- 동서울발 - 울산, 방어진, 좌천, 기장, 해운대, 양산, 언양
- 서울남부발 - 양산, 언양, 해운대
- 수원, 오산, 안산발 - 부산(노포동), 해운대,[25] 마산, 창원, 장유, 김해, 양산
- 동두천, 경기광주발 - 해운대[26]
- 이천, 여주발 - 부산(노포동)
- 고양, 부천발 - 부산(노포동), 해운대, 마산, 창원
- 인천발 - 마산, 창원
- 인천공항발 - 부산, 울산, 마산, 창원, 서부산[27]
- 원주발 - 마산, 창원
- 천안발 - 부산(노포동)
- 울산발 - 양산, 김해, 진주, 순천, 고현, 통영,[28] 남마산, 진동, 배둔, 고성, 통영, 고현, 장승포[29]
- 부산(노포동)발 - 고현, 통영,[30] 진주
- 광주발[31] - 통영, 고현, 장승포
- ↑ 다행인 것은 진주에 있는 그 향토없체랑은 다르다.(...)
- ↑ 1960년대 당시에 버스는 어디에서나 '뻐스'로 표기되던 시절이니 넘어가자. 연세 좀 있으신 분들이
그리고 거의 모든 사람들이버스를 '뻐'스로 발음하시는게 이런 이유다. 뻐스 표기를 마지막으로 쓴곳은 서울 공항버스(개편전 노선 125, 128)로 1980년대 후반까지 썼다. - ↑ 현 롯데백화점 동래점, 당시에는 반지하 비슷한곳에 터미널이 있었다.
- ↑ 당시에는 경북코치서비스가 별볼일 없던 시절이라 오히려 경남고속이 더 규모가 컸다고 말할 수 있다.
- ↑ 동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및 인천국제공항 노선(공항선은 경북코치서비스 등과 공동배차로 운행 중) 및 호남선 일부.
- ↑ 경북코치서비스, 대성고속, 진안고속 등.
- ↑ 현재 파주시 시내버스 업체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업체랑은 다른 업체.
- ↑ 속리산고속이 2005년에 금호고속에 매각했다고 전 편집자가 작성했으나 실제 속리산고속은 2008년에 금호고속에 매각했다.
- ↑ 그런데 실제로는 지역 관광버스 업체를 이용하는 것 같다. # 경남고속 차량을 차출해서 보광중, 고등학교에 지원하기에는 차량 수가 부족하기 때문. 과거 전세부인 경남고속 고속관광이 있었을 때에는 가능했었지만 지금은 그런거 없다.
- ↑ 일부 시간대에 방어진까지 연장운행.
- ↑ 기장, 좌천 경유. 해운대 방향은 기장, 좌천 승객이 없으면 바로 해운대로 질러 버린다.
- ↑ 한때는 동서울 - 울산 - 해운대도 있었지만 울산행과 해운대행으로 분리되었다.
- ↑ 그렇다고 1분 단위로 딱딱 맟춰 출발하는건 아니고 자리 다채우는대로 다음차가 들어오는 방식이다.
- ↑ 해운대로 바로 갈 경우가 있다면 고속버스보다 이 쪽이 더 유리하다.
해운대에서 여자 헌팅하러 갈때라든지...노포동에서 해운대까지 족히 1시간은 걸리니... 2호선 타고 바로 해운대로 갈 수 있는 사상에서도 그렇고. - ↑ 수원, 오산, 안산, 고양, 부천, 인천, 인천공항.
- ↑ 인천 - 부산사상노선은 고속노선인데 반해, 인천 - 마산, 창원 노선은 시외노선이다.
- ↑ 보통 1~2시간 배차이며,이때문에 특히 서울-부산은 이런점 때문에 고속버스를 이용하게 된다. 동서울-양산-언양 노선은 KTX 개통으로 감회되어 하루 5회만 운행중.
- ↑ 1980년대 중반 쌍용자동차가 동아자동차였던 시절에 출시된 HA60 코스믹에어로 시절부터 쌍용차로 도배했었다!!! 심지어는 일부 HA60 후기형들은 자동문 개조까지 했다!
- ↑ 일부 차량은 부산/경남 좌석버스 구도색이었다.
- ↑ 29석 이하에 한정되며 최대 30%까지 할증할 수 있다.
- ↑ 수도권-부산 노선부터 31인승으로 개조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양산, 김해, 마산/창원 노선까지 31인승으로 개조되어 인천공항행이 아닌 이상 모두 짭우등이었던 역사가 있었다. 이 시기에도 인천공항행은 우등할증을 받기 위해 28인승으로 운행했었다.
- ↑ 당장 부산교통, 경원여객, 신흥여객 등만 봐도 알수 있다.(...) 리즈시절 경북코치서비스와 아성고속도 포함.
- ↑ 현재 부산, 경남지역에 출고된 신차에는 교통카드 단말기를 설치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센스패스도 농어촌지역 교통카드 사업권을 모두 티머니로 넘겼다.
- ↑ 경남여객은 남경필 현 경기도지사의 아버지가 세운 회사다. 현재는 남경필 지사의 동생이 운영 중이다.
- ↑ 1편은 노포동 착발이다.
- ↑ 대원고속과 공동배차.
- ↑ 2016년 9월 8일 개통.
- ↑ 고현 경유 거가대교, 경원고속과 공동배차.
- ↑ 국도운행.
- ↑ 동래, 고현 경유 거가대교, 경원여객과 공동배차.
- ↑ 통영까지는 금호고속과 공동배차, 이후로는 단독구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