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화 선수

1 개요

스포츠에서 원 국적을 포기하고 다른 나라의 국적을 얻는 귀화를 거친 선수를 말한다.

2 왜 귀화를 하는가?

가장 현실적인 이유는 그 나라에서 활동하면서 살기 위해서이다.

자국에서 운동선수로 활동하기에는 환경이 열악하거나, 거주국가에서 외국인으로 활동을 할 수는 있지만 외국인이라는 한계때문에 커리어를 이어가는데 지장이 있는 경우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 귀화를 시도하기도 한다.[1]

3 귀화선수와 국가대표 선발

대부분의 국가대항전이 활성화된 스포츠에서 이런 귀화선수에 대한 제약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묵인할 경우 자칫 국가대항전이 외국인 귀화선수를 마구잡이로 유입해 용병으로 내세우는 대리전 양상이 될 수 있기 때문. 그래서 대체적으로 각 국가간 국적 획득관련 법령과 관련 스포츠협회에서 귀화선수에 대한 규정을 철저하게 명시하여 관리한다.

3.1 축구와 귀화선수

귀화 선수를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스포츠는 바로 축구. 축구의 경우 브라질 출신이 압도적이다. 브라질은 축구 인재풀이 워낙 크기 때문에 대표팀에서 뛰지 못하는 선수들이 많아 귀화를 하는 선수들이 엄청나게 많다. 대표적으로는 포르투갈로 귀화한 데쿠나 스페인으로 귀화한 마르코스 세나 그리고 일본에서 국가대표로 뛰었던 산투스 알레산드루(알렉스)가 있다.

하지만 카타르 같이 돈은 썩어 넘쳐나는데 축구 실력이 듣보잡이거나 생활 환경이 열악한 국가들이 전력 좀 상승시켜보겠다고 브라질 선수들에게 돈까지 쥐어주면서 귀화시키려고 발버둥을 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돈을 바라고 귀화를 하려는 의식 없는 선수들의 실력은 그야말로 쓰레기다. 어떤 선수는 카타르 정부에 월급을 요구하기도(…). 이런 경우가 빈번해져 전세계의 국가대표 선수들이 전부 브라질 출신 선수들로 채워질 것을 우려한 FIFA에선 타국의 선수들을 돈을 주고 귀화시키는 것은 이적이나 다를 바가 없다며 귀화하려는 국가에서 5년이상 연속 거주/타 국적 대표팀에서 뛴 적이 없는 선수만 귀화한 국가의 대표팀에 선발될 수 있도록 FIFA 규정을 바꿔버렸다. 이게 다 카타르 때문이다(…).

대한민국에서 귀화한 외국인 선수들을 대표팀으로 뽑는다는 건 큰 이슈다. 모따나 라돈치치 같은 선수들이 귀화를 해 대표팀에서 뛰고 싶다는 의견을 피력했지만 아직 정해진 건 없다. 하지만 가까운 일본 같은 경우에는 귀화 선수나 혼혈 선수들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재일교포 4세로 일본에 귀화한 이충성이 국대 주전으로 자리 잡았고, 남아공 월드컵 직전 자살골 행진으로 조롱을 사던 브라질 혼혈 툴리오는 J리그에서는 철벽 수비로 명성이 높으며, J2를 폭격하다 승격후 J리그 첫 시즌에 리그 득점왕 경쟁을 한 네덜란드 혼혈 마이크 하베나르(하프나)[2]가 국대로 들어오는등 점차 비중이 커지고있다.

4 대한민국의 귀화선수 현실

4.1 귀화선수 유입

대한민국에서 가장 귀화선수 유입이 많은 스포츠는 탁구와 아이스하키이다. 탁구의 경우 대다수의 귀화 선수들이 중국 국적의 선수들이다. 중국의 탁구 시스템 때문에 실력이 출중해도 대표팀이 될 수 없는 선수들이 귀화를 택한다. 대한민국에도 중국 선수 탕나가 당예서로 귀화해 대표팀에서 활동했었다.

아이스하키의 경우 평창 동계올림픽을 대비해 정확히는 망신 당하지 않으려고 정책적으로 귀화를 추진하고 있다. 안양 한라와 하이원에서 뛰고 있는 선수들을 적극적으로 특별 귀화시켜 2016년 현재 마이클 스위프트, 브라이언 영(이상 하이원), 마이크 테스트위드, 브락 라던스키, 에릭 리건, 맷 달튼(이상 안양 한라) 이렇게 여섯 명의 선수가 귀화하여 대표팀으로 뛰고 있다. 덕분에 성과도 있어서 2015년에는 세계선수권 디비전 1B에서 우승하여 디비전 1A로 1년만에 다시 복귀하는데 성공했으며 2016년에는 2부리그인 디비전 1A에서 무난히 안착하는데 성공했다.

4.2 귀화선수 유출

대한민국에서는 특정 종목들을 제외하면 다른 비주류 스포츠에 대한 투자가 많이 없어서 자신의 생계를 위해 다른 나라로 귀화하는 선수들이 많다. 공식적으로 귀화는 아니지만 이중 국적자로 미국 국적을 선택한 아이스하키의 리차드 박(박용수)의 경우가 그렇다. 그들을 탓할 수는 없는 문제. 종종 국내에서의 경쟁이 심하거나 국내환경이 지독하게 열악한 경우는 국가대표 출전을 위해 귀화를 시도하기도 한다. 양궁 대표팀이나 쇼트트랙 대표팀이 가끔 있는데 자국 대표의 벽이 너무 높기 때문에 국적을 바꿔서라도 올림픽 메달획득(은메달이든 동메달이든...)을 성취하고 싶은 선수들의 경우 불가피한 선택이기도 하다.

물론 여기서 안좋은 사례도 발생한다. 국내에서 협회와 선수간 분쟁이 생겨 국내활동을 못해서 외국으로 떠버리는 케이스도 있기 때문. 쇼트트랙의 안현수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이경우 병역이 끼게되면 병역 기피 문제도 피할 수 없다.

5 대한민국의 주요 귀화선수

5.1 대한민국으로 귀화한 선수

5.2 다른나라로 귀화한 선수

  1. 차범근이 커리어 후반때 분데스리가 외국인 규정을 피하기 위해 구단에게 귀화요청을 받은 것이 대표적.
  2. 일본에서 나고 자란(요코하마 마리노스 유스 출신) 케이스이긴 하다. 여담으로 하프나의 아버지도 현역 골키퍼 출신이었고, 잠깐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코치를 맡기도 했다.
  3. 후인정과 마찬가지로 재한화교 출신이다.
  4. 조선족 출신이기 때문에 따지기가 애매한편.
  5. 단 대한민국 화교 출신으로, 외국인이라기엔 미묘하다. 어쨌든 우리나라의 최초 귀화 선수
  6. 1982년생 쇼트트랙 선수. 프랑스로 귀화해서 프랑스 국가대표로 뛰다가 은퇴 후 대한민국 국적 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