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의 전대 | |||
비행전대 | 항공정비전대 | 기지방호전대 | 작전지원전대 |
1 개요
공군의 부대이다. 정식명칭은 기지방호전대라고 한다. 하는 일은 기지방호를 하는 일이다. 해군이나 공군은 육군처럼 포스트를 옮겨 가며 싸울 수가 없어서 존재하는 조직이다.[1] 과거에는 기지지원전대로 불렸으나 조직 개편을 통해 개칭되었다. 복지 등은 따로 작전지원전대로 독립되었다.
해군은 기지전대라고 한다. 육군도 파병 등으로 임시로 기지를 세울 경우에 기지사령관을 두기도 한다.
2 구성
대한민국 공군의 경우 비행단 소속으로 비행전대(또는 항공작전전대)와 항공정비전대 및 작전지원전대 등과 함께 비행단을 구성한다. 전대장은 보통 조종 특기 대령이 보임된다. 비행단이 아닌 비행전대가 부대단위일 경우에는 기지대대가 되며 부대단위가 대대, 포대 등이 되면 기지중대로 격하된다. 육군의 기행부대와 정의는 좀 다르지만 성격이 비슷하다. 의무대는 기지대 소속이 아니라 독립된 부대이다.
구성은 보통 아래와 같다. 기지대로 격하될 경우엔 OO대대는 OO중대, 기지중대[2]로 격하되면 OO반으로 내려간다.
- 헌병대대: 비행단의 경계 업무를 맡으며 만약에 적이 침범할 경우에 활주로를 지켜야 하기 때문에 공군임에도 각종 기관총[3] 과 수류탄[4], 장갑차까지 운용한다. 원래는 경비중대 소속인 장갑차소대를 기동소대로 개칭 후 경비중대로부터 분리시켜 기동중대를 운용하는 부대도 많다. 헌병대대 특수임무반은 일반 헌병과는 다른 검은색 옷을 입는다. 공군헌병이 공군 내의 육군이란 얘기를 듣는 이유.[5]
- 대공방어대: 단거리 방공 임무를 담당한다. 한마디로 간이포대다. 비행단에 따라 헌병대대 산하에 들어가기도 한다.
- 시설대대: 기지 시설물 관리 및 항공소방 업무 등을 담당한다. 아무래도 군인한테 전문적인 시설물 관리를 맡기기가 어렵기 때문에 군무원의 비중이 높다.
- 화생방지원대:화생방 지원대. 제독이나 화생방물자 관리, 화생방 교육등을 담당한다. 일년에 한~두번씩 인기가 급증하는 부서이다.[6]
3 여담
공군의 경우, 각 대대장들은 해당 병과의 인원이 맡지만 전대장은 조종 특기들이 맡는 경우가 많다. 공군의 조종은 육군의 보병, 해군의 항해와 같은 위치의 전투병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인지 평소엔 기지방호전대에서 근무도 안 하고 비행기만 몰다가 대령 때 넘어와서 잘 알지도 못 한다고 불만을 갖는 기지방호전대원들도 있다.
비행단 내에서 인원이 제일 많은 곳이기도 하다. 비행전대(장교 위주)나 항공정비전대(기술부사관 위주)의 인원이 적고 기지방호전대에 공군병들의 대다수가 있기 때문. 진급이 더딘 기술특기가 아닌 부사관들도 많고 진급 상한선이 대령이 한계인 조종, 정비 특기외의 장교들이 밀집해있다. 즉 규모는 가장 큰데 진급은 안 되는 사람들의 모임.
간혹 항공정비전대가 없는 기행부대들의 경우에는 기지방호전대 및 작전지원전대에 들어가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공군교육사령부.- ↑ 육군에서 매점을 PX(Post Exchanger)라 하는 것과 달리 공군이 매점을 BX(Base Exchanger)라 부르는 것도 이 때문. 해군의 경우 약자는 육군과 동일하지만 P가 Post가 아닌 Port, 즉 항구를 의미한다.(Port Exchanger) 문맥상 의미는 공군과 동일.
- ↑ 포대나 레이더 사이트가 해당된다. 기지 전체 인원이 보통 100명을 조금 넘는 수준.
- ↑ 부대 사정에 따라 7.62mm M60이나 5.56mm K3 중 하나, 12.7mm K6중기관총이 배치된다.
- ↑ 평시에 지급되는 경우는 없다. 썼다간 활주로를 박살낼 위험이 있기 때문에 거의 쓰지 않는다고 보는 쪽이 맞는데 그러면서 희한하게도 40mm 고폭유탄은 소대마다 배치되어 있다.
- ↑ 헌병 장갑차까지 차량 전반에 대한 업무를 담당한다. 그리고 정비 및 주유까지 담당한다. 정확히는 정비 및 주유가 필요한 경우 수송대대에 정비나 주유를 신청하는 수준에서 그친다.
- ↑ 화생방훈련 할 때가 다가오면 사람들이 급친절해진다. 이건 교육사 얘기기는 한데 다들 비슷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