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영(군인)

틀:12.12의 주역들

파일:Attachment/10120703115115.jpg
10.26 사건 후 수도경비사령관에 임명된 장태완 소장(오른쪽 찻잔 든 이)이 부임 나흘만인 79년 11월 20일 청와대를 지키는 근위부대인 수도경비사령부 33경비단을 초도순시, 단장인 김진영 대령으로부터 부대현황을 브리핑받고 있다.

金振永

대한민국 국군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7대 나중배8대 김진영9대 김동진
대한민국 육군참모총장
28대 이진삼29대 김진영30대 김동진

1 개요

대한민국군인. 하나회의 대표 인물 중 한 명.

2 군인 시절

1938년 7월 3일, 경상남도 통영군(현 거제시 지역)에서 출생하였다. 부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1], 1961년 육군사관학교 제17기로 임관하였으며, 육사 17기의 대표화랑이다.

하나회 멤버이자 전두환의 직계 심복[2] [3]으로 12.12 군사반란 때 직속 상관인 수도경비사령관 장태완 소장의 지시를 무시하고 반란에 실병력으로 가담했다. 당시 수경사 소속 33경비단[4] 대대장으로 30경비단장 장세동과 함께 직속 상관 장태완을 배신했다.

12.12 군사반란이 성공한 이후 하나회 동기인 허화평, 허삼수가 예편하고 정계로 진출한 것과 달리 김진영은 군에 계속 남았다. 5공화국을 장악한 하나회의 17기 대표 주자이자 전두환의 직계였으며, 또한 카리스마와 지휘 능력도 인정 받는데다 17기 대표 화랑 출신인 김진영은 자타가 공인하는 미래의 육군참모총장이었다. 하지만 하나회 세상이었던 5공과 6공에서 강직한 그의 성격 때문에 두 번이나 좌천을 당하기도 하는 등 군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첫 번째 좌천은 85년 수도사단장 시절 전두환 정권의 부정 선거에 대한 지시를 거부한 것에서 빚어졌다. 당시 신민당 돌풍이 거세지자 전두환 정권은 총선을 앞두고 총력전을 펼치며 군내 부정 선거를 지시했다. 하지만 김진영은 2기수 선배이자 마찬가지로 하나회 멤버였지만 민따로라고 불릴 만큼 자신의 길을 걸었던 20사단장 민병돈의 제안으로 같이 이 지시를 거부했다. 전두환의 직계로 승승장구하던 둘은 사이 좋게 좌천되었고 김진영은 육군3사관학교 교장이라는 한직으로 쫓겨나게 된다.

하지만, 전두환의 직계 하나회 멤버이자 군내 신망이 두터웠던 김진영은 1년 반 후 87년 12월, 다시 군사정권의 최대 요직 중 하나인 수도방위사령관에 임명되며 부활한다. 이 때 김진영이 수도방위사령관에 임명된 것은 전두환이 노태우에게 정권 이임을 앞두고 자신의 직계들을 군의 실세 자리에 깔아두어 퇴임 후에도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려는 의도였다.

당연히 이에 분통을 터뜨린 노태우는 제6공화국(노태우 정부) 출범 이후 전두환계 군맥들을 차례차례 제거하기 시작했다. 김진영도 결국 수도방위사령관에서 경질되어 한직인 교육사령관으로 좌천당한다. 또한 하나회 동기인 이문석이 노태우의 직계 인맥으로 중용되면서 자타공인 17기의 선두 주자였던 김진영은 하염 없이 밀리기 시작했다. 이문석이 먼저 대장 1차 진급을 하게 되면서 교육사령관을 끝으로 예편하는가 했는데, 2차 진급으로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이 되며 부활한다.

그리고 육군참모총장을 둔 경쟁에서 승리하며 1991년 29대 육군참모총장에 취임한다. 노태우는 비록 이문석이 자신의 직계이긴 했지만 군내와 하나회내에서 신망이 두터워 참모총장감으로 늘 꼽히던 김진영을 숙청하기에는 부담스러웠었던 것 같다. [5] 또한, 전임 참모총장이 노태우 직계인 이진삼이었기 때문에 자신의 인맥이 군을 독점하고 있다는 비판을 신경 쓴 듯하다. [6]

이렇듯 나름 파란만장하게 참모총장에 오른 김진영이지만 그는 하나회 대숙청의 첫 빠따가 된 육군참모총장으로 역사에 남게 된다. 1993년 3월 김영삼 대통령의 전격적인 하나회 대숙청 당시 당연히 첫 번째로 경질당했으며, 후임 육군참모총장에는 육사 동기이자 비하나회 출신인 김동진이 임명되었다. [7] [8]

현재는 목사로, 또한 예비역 장성의 모임인 성우회 현 14대 회장을 맡고 있다.
  1. 전두환의 괴벨스 허문도와 동기 동창으로 12.12 이후 허문도의 부탁으로 그를 신군부에 소개했다.
  2. 전두환의 수경사 30대대장 시절 중대장, 육군참모총장 수석부관 시절 전속 부관, 청와대 작전보 때 작전담당관으로 전두환 밑에서 근무한 인연이 있다.
  3. 월남 파병 시절 전두환과 장세동의 인연을 이어준 것도 김진영이다.
  4. 함께 쿠데타에 가담한 장세동이 지휘했던 30경비단과 함께 현 수방사 제1경비단의 전신, 30대대장과 33대대장은 대통령을 지키는 자리로 미래가 보장된 말 그대로 군사 정권 최고 요직 중 하나다. 하나회는 박정희 정권 시절부터 이 자리를 독식해왔다.
  5. 비공식 루트로 자신에 대한 충성을 확인했다는 설도 있다.
  6. 이문석은 대신 예편한 후 내각으로 입각한다.
  7. 동기가 연속으로 육군총장에 오르는 일은 다신 없는 일이 될 줄 알았으나 육사 31기인 한민구 참모총장이 천안함 사태로 합참의장으로 급박하게 이동하게 되면서 동기인 황의돈 장군이 참모총장에 오르게 된다.
  8. 이후에도 육사 34기인 권오성 장군과 김요환 장군이 다시 한 번 겪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