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대한민국 국군
- 관련 문서: 대한민국 국군/장관급 장교
1 문서가 존재하는 인물
1.1 ㄱ
- 강구영 (공군 중장)
- 강기천 (해병 대장)
- 강문봉 (육군 중장)
- 강상욱 (육군 준장)
- 강영훈 (육군 중장)
- 강영훈 (육군 대령)
- 강재구 (육군 소령)
- 강창성 (육군 소장)
- 강창희 (육군 중령)
- 고명승 (육군 대장)
- 고명현 (육군 준장)
- 고재필 (육군 준장)
- 고정훈 (육군 중령)
- 고현수 (육군 중장)
- 공정식 (해병 중장)
- 구자춘 (육군 대령)
- 구홍모 (육사 40기 / 육군 중장)
- 권경석 (육군 소령)
- 권영기 (육군 대장)
- 권영해 (육군 소장)
- 권오성 (육군 대장)
- 권오태 (육군 준장)
- 권익현 (육군 대령)
- 권정달 (육군 준장)
- 권혁순 (육군 대장)
- 길재호 (육군 준장)
- 길전식 (육군 대령)
- 길형보 (육군 대장)
- 김계원 (육군 대장)
- 김관진 (육군 대장)
- 김광석 (육군 소장)
- 김귀옥 (육군 준장)
- 김규섭 (해군 대장)
- 김규하 (육군 소장)
- 김근태 (육군 대장)
- 김남기 (공군 하사)
- 김대식 (해병 중장)
- 김대욱 (공군 대장)
- 김도현 (공사 44기 / 공군 소령) - 블랙이글스 에어쇼 중 사고로 추락하는 전투기에서 어린이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탈출을 포기하고 끝까지 조종간을 컨트롤하다 순직.
- 김동신 (육군 대장)
- 김동진 (육군 대장)
- 김동환 (육군 준장)
- 김두만 (공군 대장)
- 김록권 (육군 중장) - 의무 병과 최초의 중장.
- 김명립 (공군 대장)
- 김명환 (해병 중장)
- 김병관 (육군 대장)
- 김병주 (육사 40기 / 육군 중장)
- 김복동 (육군 중장)
- 김상기 (육군 대장)
- 김상구 (육군 중령)
- 김상년 (육군 대령)
-
김상태(공군 대장) - 김석원 (육군 소장)
- 김석진 (육군 원사)
- 김성룡 (공군 대장)
- 김성은 (해병 중장)
- 김성일 (공군 대장)
- 김성진 (육군 준장)
- 김성찬 (해군 대장)
- 김성회 (육군 대령)
- 김식 (육군 소장)
- 김신 (공군 중장)
- 김영관 (해군 대장)
- 김영선 (육군 중장)
- 김영식 (육군 대장)
- 김영수 (해군 소령)
- 김영환 (공군 준장)
- 김오랑 (육군 중령)
- 김요환 (육군 대장)
- 김용갑 (육군 소령)
- 김용배 (육군 대장)
- 김용순 (육군 중장)
- 김용우 (육군 중장)
- 김용채 (육군 소령)
- 김용현 (육군 중장)
- 김우경 (육군 중령)
- 김윤호 (육군 대장)
- 김은기 (공군 대장)
- 김응조 (육군 준장)
- 김인 (육군 준장)
- 김인기 (공군 대장)
- 김인식 (해병 중장)
- 김일환 (육군 중장)
- 김장수 (육군 대장)
- 김재규 (육군 중장)
- 김재창 (육군 대장)
- 김재춘 (육군 소장)
- 김정렬 (공군 중장) - 초대 공군참모총장이자 공군 군번 제1번 (50001)
- 김정식#s-3 (공군 중장)
- 김정호 (육군 준장)
- 김정호 (해병 중장)
- 김종갑 (육군 중장)
- 김종곤 (해군 대장)
- 김종배 (육군 중장)
- 김종오 (육군 대장)
- 김종원 (육군 대령)
- 김종태 (육군 중장)
- 김종호 (육군 소장)
- 김종호 (해군 대장)
- 김종호 (해군 대장)
- 김종환(1923) (육군 대장)
- 김종환(1946) (육군 대장)
- 김중로 (육군 준장)
- 김진기 (육군 준장)
- 김진선 (육군 대장)
- 김진영 (육군 대장)
- 김진호 (학군 2기 / 육군 대장) - ROTC 두번째 대장 진급자이자 ROTC 출신으로는 최초로 합참의장 자리까지 올라감
- 김진홍 (공군 소장)
- 김창규 (공군 중장)
- 김척 (육사 21기 / 육군 중장) - 김훈 중위의 아버지
- 김천용 (해군 원사)
- 김철우 (해군 대장)
- 김칠섭 (학군 30기 / 육군 중령) - 전선에 감전된 부하를 구하고 순직함
- 김태영 (육사 29기 / 육군 대장)
- 김특중 (육사 50기 / 육군 중위) - 53사단 장교 무장탈영 사건의 주인공
- 김판규 (육군 대장)
- 김판규 (해군 중장)
- 김학철 (해병 중령)
- 김해석 (육사 40기 / 육군 중장)
- 김현옥 (육군 준장)
- 김현집 (육군 대장)
- 김형욱 (육군 준장)
- 김형일 (육군 중장)
- 김홍래 (공군 대장)
- 김홍열 (해군 대장)
- 김홍일 (육군 중장)
- 김황록 (육사 40기 / 육군 중장)
- 김훈 (육사 52기 / 육군 중위) - 김훈 중위 사건의 당사자.
- 김흥석 (육군 준장)
- 김희조 (육군 중령)
1.2 ㄴ ~ ㅁ
- 나상웅 (육군 중장)
- 남재준 (육군 대장)
- 남해일 (해군 대장)
- 노병균 (공군 소장)
- 노재필 (육군 준장)
- 노재현 (육군 대장)
-
노태우(육군 대장) - 도일규 (육군 대장)
- 도진희 (육군 하사)
- 류범수 (육군 중령)
- 류병현 (육군 대장)
- 류승원 (육군 준장)
- 류희인 (공군 소장)
- 리영희 (육군 소령)
- 문광욱 (해병 일병)
- 문정일 (해군 대장)
- 문형태 (육군 대장)
- 민기식 (육군 대장)
- 민병권 (육군 중장)
- 민병돈 (육사 15기 / 육군 중장)
- 민태구 (육군 소장)
1.3 ㅂ
- 박경석 (육군 준장)
- 박경원 (육군 중장)
- 박경일 (해군 중장)
- 박경철 (육군 원사)
-
박노항(육군 원사) - 박대경 (공군 중위)
- 박범집 (공군 중장)
- 박병선 (육군 중령)
- 박상돈 (육군 소령)
- 박선우 (육군 대장)
- 박성규 (3사 10기 / 육군 대장) - 3사 출신으로는 두번째 대장 진급자이자 3사 최초의 제1야전군사령관. [1]
- 박세직 (육군 소장)
- 박세환 (학군 1기 / 육군 대장) - ROTC 최초의 대장 진급자
- 박승규 (육군 소장)
- 박승춘 (육군 중장)
- 박승환 (육군 참령)
- 박영수 (육군 대령)
- 박영하 (3사 1기 / 육군 대장) - 3사관학교 최초의 대장 진급자
- 박옥규 (해군 중장)
- 박원석 (공군 중장)
- 박익주 (육군 준장)
- 박인용 (해군 대장)
- 박재복 (공군 중장)
- 박정이 (육군 대장)
- 박정희 (육군 대장)
- 박종규 (육군 대령)
- 박종규 (육군 소장)
- 박종길 (육군 중령)
- 박종진 (육군 중장)
- 박종헌 (공군 대장)
- 박준병 (육군 대장)
- 박찬주 (육군 대장)
- 박춘택 (공군 대장)
- 박충훈 (공군 소장)
- 박태준 (육군 소장)
- 박흥렬 (육군 대장)
- 박흥주 (육군 대령)
- 박희도 (육군 대장)
- 배명국 (육군 중령)
- 백군기 (육군 대장)
- 백선엽 (육군 대장)
1.4 ㅅ
- 서경석 (육군 중장)
- 서기원 (공군 대위)
- 서동열 (공군 대장)
- 서상린 (육군 준장)
- 서정우 (해병 하사)
- 서정화 (육군 중령)
- 서종철 (육군 대장)
- 서종표 (육군 대장)
- 선우휘 (육군 대령)
- 성일환 (공군 대장)
- 손영길 (육군 준장)
- 손원일 (해군 중장) - 대한민국 해군의 아버지. 해군 군번 제1번 (80001)
- 송광호 (육군 중령)
- 송명순 (육군 준장)
- 송영무 (해군 대장)
- 송요찬 (육군 중장)
- 송응섭 (육군 대장)
- 송호성 (육군 준장)
- 신동관 (육군 대령)
- 신원식 (육군 중장)
-
신일순(육군 대장) - 신직수 (육군 소령)
- 신태영 (육군 중장)
- 신현돈 (육군 대장)
- 신현준 (해병 중장)
- 심흥선 (육군 대장)
1.5 ㅇ
- 안무혁 (육군 준장)
- 안병구 (해군 준장)
- 안병태 (해군 대장)
- 안성기 (육군 중위)
- 안주섭 (육군 소장)
- 안철수 (해군 대위)
- 안춘생 (육군 중장)
- 안현태 (육군 소장)
- 양순직 (해군 중령)
- 양승숙 (육군 준장) - 여군 최초의 장성진급자
- 양종수 (육군 중장)
- 양찬우 (육군 소장)
- 양창식 (육군 준장)
- 엄기학 (육군 대장)
- 엄삼탁 (육군 소장)
- 엄현성 (해군 대장)
- 오경환 (해군 대장)
- 오범수 (해군 대령)
- 오용운 (육군 소장)
- 오원선 (해군 준장)
- 오자복 (육군 대장) - 최초의 갑종장교 출신 합참의장. 사실상 최초의 비육사 출신 합참의장.
- 오정근 (해병 준장)
- 오치성 (육군 준장)
- 오학진 (육군 준장)
- 오한구 (육군 대령)
- 옥만호 (공군 대장)
- 원용덕 (육군 중장)
-
원용수(육군 준위) - 원인철 (공군 중장)
- 원홍규 (육군 소장)
- 유낙준 (해병 중장)
- 유삼남 (해군 대장)
- 유재흥 (육군 중장)
- 유학성 (육군 대장)
- 윤광웅 (해군 중장)
- 윤성민 (육군 대장)
- 윤영하 (해군 소령)
- 윤용남 (육군 대장)
- 윤자중 (공군 대장)
- 윤장호 (육군 하사)
- 윤종필 (육군 준장)
- 윤태일 (육군 중장)
- 윤필용 (육군 소장)
- 위승호 (육군 중장)
- 이건영 (육군 중장)
- 이건완 (공군 중장)
- 이경웅 (해병 원사)
- 이계훈 (공군 대장)
- 이광노 (육군 중장)
- 이광학 (공군 대장)
- 이근석 (공군 준장)
- 이기백 (육군 대장)
- 이기식 (해군 중장)
- 이낙선 (육군 대령)
- 이남신 (육군 대장)
- 이맹기 (해군 중장)
- 이백일 (육군 준장)
- 이범림 (해군 중장)
- 이범준 (육군 중장)
- 이병옥 (육군 중령)
- 이병희 (육군 대령)
- 이상무 (해병 중장)
- 이상연 (육군 대령)
- 이상의 (육군 대장)
- 이상익 (육군 대령)
- 이상재 (육군 준위)
- 이상훈 (육군 대장)
- 이상훈 (해병 중장)
- 이상희 (공군 대위) - 비행훈련 중 사고로 추락하는 전투기에서 민간피해를 막기 위해 탈출을 포기하고 끝까지 조종간을 잡은 채 순직.
- 이상희 (육군 대장)
- 이석제 (육군 준장)
- 이성호#s-2 (육군 중장)
- 이성호 (해군 중장)
- 이세호 (육군 대장)
- 이수용 (해군 대장)
- 이순진 (3사 14기 / 육군 대장) - 역대 39명의 합참의장중 최초의 3사 출신 합동참모의장. 비육사 출신으로는 7번째이다.
- 이양우 (해군 준장)
- 이양호 (공군 대장) - 최초의 공군 출신 합참의장
- 이억수 (공군 대장)
- 이영근 (육군 대령)
- 이영주 (해병 중장)
- 이왕근 (공군 중장)
- 이용운 (해군 중장)
- 이용화 (공군 원사)
- 이우재 (육군 준장)
- 이웅평 (공군 대령)
- 이원장 (육군 소장)
- 이은수 (해군 대장)
- 이은수 (육군 준장) - 법무병과 최초의 여군 장성.
- 이응준 (육군 중장)
- 이재수 (육군 중장)
- 이재순 (육군 준장)
- 이정구 (해병 상사) - 2001년 인간극장에서 해병대 로보캅 교관으로 소개되어서 유명해졌다. 당시엔 하사.
- 이종구 (육군 대장)
- 이종근 (육군 준장)
- 이종명 (육군 소장)
- 이종명 (육군 대령)
- 이종찬 (육군 중장)
- 이종찬 (육군 소령)
- 이준 (육군 대장)
- 이준섭 (해병 대령)
- 이지문 (육군 중위) - 군 부재자투표 부정 폭로 사건의 주인공.
- 이지윤 (육군 중위)
- 이진삼 (육군 대장)
- 이진용 (육군 대령)
- 이철우 (해병 중장)
- 이철휘 (학군 13기 / 육군 대장) - 명지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했으며 37대 제2작전사령관까지 올라서 학군출신 5번째 대장이 되었다.
- 이철희 (육군 소장)
- 이춘구 (육군 준장)
- 이필섭 (육군 대장)
- 이학봉 (육군 준장)
- 이한림 (육군 중장)
- 이한호 (공군 대장)
- 이현부 (육군 중장)
- 이형근 (육군 대장) - 대한민국 육군 군번 제1번 (10001)
- 이호연 (해병 중장)
- 이홍기 (육군 대장)
- 이홍희#s-1 (해군 중장)
- 이홍희#s-2 (해병 중장)
- 이회창 (공군 대위)
- 이후락 (육군 소장)
- 이희근 (공군 대장)
- 이희성 (육군 대장)
- 이희완 (해군 소령)
- 임동원 (육군 소장)
- 임복진 (육군 소장)
- 임부택 (육군 소장) - 대한민국 육군 병 1호 군번 (1100001)
- 임충빈 (육군 대장)
- 임충식 (육군 대장)
- 임호영 (육군 대장)
1.6 ㅈ
- 장경석 (육군 중장)
- 장경순 (육군 중장)
- 장덕창 (공군 중장)
- 장도영 (육군 중장)
- 장성 (육군 대장)
- 장성환 (공군 중장)
- 장세동 (육군 중장)
- 장영순 (육군 준장)
- 장정길 (해군 대장)
- 장지량 (공군 중장)
- 장지수 (해군 대장)
- 장재환 (육군 중장)
- 장철부 (육군 소령) - 한국사 최후의 기병대장
- 장태완 (육군 소장)
-
전도봉(해병 중장) -
전두환(육군 대장) - 전부일 (육군 중장)
- 전인범 (육군 중장)
- 정경두 (공군 대장)
- 정무식 (육군 준장)
- 정일권 (육군 대장)
- 정경조 (육군 중장)
- 정긍모 (해군 중장)
- 정동호 (육군 중장)
- 정래정 (육군 대령)
- 정래혁 (육군 중장)
- 정병주 (육군 소장)
- 정수성 (육군 대장)
- 정순덕 (육군 준장)
- 정승조 (육군 대장)
- 정승화 (육군 대장)
- 정연봉 (육군 중장)
-
정옥근(해군 대장) - 정용후 (공군 대장)
- 정우교 (학사장교 6기 / 육군 준장) - 최초의 학사장교 출신 공병 장성이자 최초의 미혼
모쏠장군. - 정일권 (육군 대장)
- 정진권 (육군 대장)
- 정진섭 (해군 중장)
- 정항래 (육군 중장)
- 정해식 (육군 준장)
- 정현석 (학사장교 3기 / 육군 준장) - 학사장교 출신 중 최초의 준장 진급자
- 정호근 (육군 대장)
- 정호섭 (해군 대장)
- 정호용 (육군 대장)
- 정희섭 (육군 준장)
- 조근해 (공군 대장)
- 조보근 (육군 중장)
- 조성직 (육군 소장)
- 조시형 (육군 소장)
- 조영길 (육군 대장)
- 조재미 (육군 준장)
- 조재봉 (육군 소령)
- 조재토 (학군 9기 / 육군 대장)
- 조정환 (육군 대장)
- 조창대 (육군 준장)
- 조창호 (육군 중위)
- 조철권 (육군 준장)
- 조현천 (육군 중장)
- 조흥만 (육군 준장)
- 주영복 (공군 대장)
- 지종걸 (육군 소령)
- 진종채 (육군 대장)
1.7 ㅊ ~ ㅍ
- 차규헌 (육군 대장)
- 차성도 (육군 중위)
- 차지철 (육군 중령)
- 채명신 (육군 중장)
- 채병덕 (육군 중장)
- 천영성 (공군 소장)
- 천용택 (육군 중장)
- 최경혜 (육군 준장)
- 최갑석 (육군 소장)
- 최경록 (육군 중장)
- 최명헌 (육군 대령)
- 최병로 (육군 중장)
- 최상화 (해군 대장)
- 최세창 (육군 대장)
- 최영희 (육군 중장)
- 최용덕 (공군 중장)
- 최우근 (육군 중장)
- 최윤희 (해사 31기 / 해군 대장) - 최초의 해군 출신 합참의장
- 최익봉 (육군 중장)
- 최차규 (공군 대장)
- 최창규 (육군 소장)
- 최창윤 (육군 준장)
- 최홍희 (육군 소장)
- 편장원 (육군 대장)
- 표명렬 (육군 준장)
- 표영재 (육군 중위)
1.8 ㅎ
- 한기호 (육군 중장)
- 한민구 (육군 대장)
- 한신 (육군 대장)
- 한주석 (공군 대장)
- 한주호 (해군 준위)
- 한철용 (육군 소장)
- 함명수 (해군 중장)
- 함원용 (해군 소장)
- 허삼수 (육군 준장)
- 허화평 (육군 준장)
- 홍병철 (육군 중령)
- 홍순호 (학군 4기 / 육군 대장) - ROTC출신으로는 3번째 대장 진급자이다. 또한 최초의 서울대(철학과) 출신 장성이다.
- 홍종철 (육군 준장)
- 황기철 (해군 대장)
- 황영시 (육군 대장)
- 황의돈 (육군 대장) - 최초의 정보 병과 대장.
- 황인성 (육군 소장)
- 황일웅 (육군 소장)
- 황정연 (해군 대장)
- 황진하 (육군 중장)
2 문서가 존재하지 않는 인물
- 조달진 (육군 소위)
- (1928. 11. 18 ~ 2008. 10. 15) 춘천-홍천 전투의 영웅. 1950년 6월 28일 6사단소속 일등병으로 춘천-홍천 전투에 참전. 11명의 대원들과 함께 아군 희생 없이 북한군 탱크 10여대를 파괴 밎 노획하고 북한군 20여명을 사살한 전공으로 일등병에서 이등중사로 2계급 특진. 동년 7월 24일에는 경북 상주전투에서 7명의 대원들과 함께 4대의 탱크를 파괴한 전공으로 이등중사에서 이등상사로 다시 2계급 특진. 을지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태극무공훈장을 모두 받았으며 한국군 최초로 미국 동성훈장을 받음. 1955년 소위로 전역했으며 2008년 10월 노환으로 별세. 유해는 대전 현충원에 안장됨. 참고링크
- 곽의영 (육군 준장)
- 단기사관 13기. 前 육군본부 정책위원.
- 1976년 6월 이등병으로 입대, 동년 12월 하사, 1977년 12월 단기사관후보생 교육 이수 후 소위#s-2로 임관하였다. 이후 2008년 10월 30일 육군 준장으로 승진, 2013년 6월 예편하였다. 단기사관 출신 장교 중 유일한 장성 진급자이며, 아래 항목의 유경조, 조영길, 최갑석 장군과 같이 병, 부사관, 장교 과정을 모두 거친 입지전적인 인물.
- 유경조 (육군 준장)
- 이원등 (육군 상사#s-3)
- 1956년 7월 입대, 1959년 특수전사령부 제1공수특전여단으로 전입. 당시 계급은 중사. 1966년 2월, 공수 훈련 중 동료가 균형을 잃고 추락하자 접근, 낙하산을 개산해 구해주었다. 하지만 본인은 동료의 낙하산 줄에 오른팔이 부러져 개산하지 못하고, 한강의 얼음판에 추락하여 순직. 사후 1계급 특진, 보국훈장 삼일장 추서. 한강 중지도에 동상을 세웠다.
- 참조 : 육군사관학교/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