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잎(영화)

꽃잎 (1996)
A Petal
감독 김홍선
각본 김홍선
출연 문성근, 이정현, 이영란, 추상미, 설경구, 박철민, 박광정
음악 원일
장르 드라마
제작사 미라신 코리아
배급사 대우 시네마
촬영기간 -
개봉일 1996년 4월 5일
상영 시간 101분
총 관객수 서울 관객 30만명
국내등급 청소년 관람 불가

1 개요

1996년에 제작된 대한민국의 영화로 장선우 감독, 제작. 최윤의 소설 저기 소리없이 한 점 꽃잎이 지고가 원작이다. 이정현(소녀), 문성근('장')[1], 이영란(소녀의 어머니)[2] 주연으로 설경구, 추상미, 명계남, 허준호, 오지혜[3] 등이 출연했다. 1996년 청룡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

2 시놉시스

당신에게 자석처럼 다가오는 소녀!
풀벌레가 윙윙거리는 어느날. 강변을 지나가던 인부 장은 뙤약볕 속에서 강 건너편을 그리운듯 바라보던 이상한 소녀와 만난다. 그녀가 무턱대고 인부 장을 오빠라 부르며 따라온다. 그리고는 장이 사는 창고 속으로 미끄러져 들어온다. 이때부터 둘은 함께 생활한다. 그러나 장에게 지극한 무관심과 경계심을 보이는 소녀. 깨어지지 않는 침묵과 초점 잃은 시선, 무언가 무서운 일을 겪었던 것처럼 망가진 소녀의 몸은 장을 분노 속으로 빠트린다. 찌르듯 파고 들어오는 소녀의 악몽에서 도망치고 싶은 장은 강박관념으로 소녀를 학대하지만 자신도 모르게 어느덧 무중력 상태와 같은 열병에 빠진다. 기차 뒷켠에 서있던 우리들은 소녀를 찾아 떠난다.
의문사 당한 친구의 기일을 맞아, 그 가족을 찾아갔지만 소녀의 어머니는 이미 죽고 하나 남은 혈육인 그녀 역시 사라져 버렸다는 것을 발견한다. 우리는 소녀를 찾아 헤매기 시작한다. 마치 순례자처럼 황폐한 들판에서 소녀를 발견했던 용달차 임씨, 시장 한구석에서 조그만 선술집을 운영하는 옥포댁, 죽은 어린 연인의 환영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김상태...소녀를 찾아 나섰지만 발견할 수 있는 것은 소녀가 남긴 흔적뿐이다. 어느날 술에 취한채 소녀를 학대하던 장은 그녀의 비극 속으로 서서히 빨려들어간다. 주변에서 도는 오월광주의 소문은 장이 소녀의 망가진 몸에서 그녀의 과거를 짐작케 하기도 하지만...목욕을 시켜 주기도 하고 양치질을 시켜주기도 하고 장은 그녀와 동화되고자 한다. 어느날 소녀가 홀로 무덤가를 헤맨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녀의 뒤를 추적하던 장은 무덤 앞에서 진실을 고백하는 소녀의 이야기를 듣는다.
죽어가는 엄마를 뿌리친 채 무더웠던 80년 오월! 악몽의 도시를 빠져나왔던 소녀의 슬픔과 한은 그녀의 내면 속에 깊이 응어리진 채 고스란히 남아 있었던 것이다. 그녀를 가족에게 보내야겠다고 결심하는 장. 잠자는 소녀의 머리맡에서 카메라 후레쉬가 터진다. 우리들은 허탈하게 돌아온다. 그리고 올해도 어김없이 다시 돌아온 친구의 기일을 맞이하여 하숙방에 모인다. 이때, 우리들중 하나가 미친듯 달려들어 온다. 신문에 소녀의 가족을 찾는다는 심인 광고가 실린 것이다. 마지막 희망을 품고, 우리들은 장의 숙소로 향하는데...

3 등장 인물

4 평가

5.18 민주화운동을 현장에서 직접 목격하고 모친을 잃은 충격으로 미쳐버린 떠돌이 소녀와 그녀를 우연히 만나서 돌보게 되는 날품팔이 인부 '장'이 주인공이다. 이정현의 신들린 광년이 연기로도 유명하다. 특히 가장 유명한 장면은 지하철 씬인데 유리창 너머로 귀신을 본 소녀가 발작을 일으키며 이마로 유리를 깨고 기절하는 모습이었다. 그런데 이건 진짜로 이정현이 이마로 유리를 깨고 기절한 것이다.

그 외에도 이정현은 영화에서 거지같은 떠돌이 소녀를 묘사해야 했기에 촬영 내내 그 분장을 하고 있었는데 촬영이 진행되던 농촌의 주민들은 이정현이 진짜로 거지인줄 알고(...) 집에 데려가서 밥을 먹여주었다고 한다. 장이 소녀에게 걸핏하면 폭력을 휘두르고 성폭행하는 등 상당히 충격적인 장면도 자주 묘사되는데 문성근이 장 역을 맡았다.(...) 더구나 당시 미성년자(16세/한국나이로는 17세[4])였던 이정현의 노출이 나오는데 이것은 당시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베를린 영화제에 초청되어 평도 괜찮았다. 이 때만 해도 장선우 감독은 유럽에서도 꽤 호평을 받던 시절이었다. 당연히 한국논단에선 발악하면서 비난했는데 사실 모래시계도 비난하면서 당시 SBS 방송국 사상을 문제시한 곳이다.

태국에선 이 영화를 보고 1992년에 일어난 군부의 대학생 시위 탄압 및 학살을 거론하면서 많은 논란이 벌어졌다고 한다.

사족으로, 광주 항쟁이 벌어졌던 그 때 그 현장을 그대로 재현하려면 그 일대의 가게들과 노점상들의 영업에 지장이 생길까봐 촬영 당시 장 감독은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이 소문을 들은 주변의 상인들은 스스로 그 날 이후 한동안 영업도 포기하고 문을 닫았고, 무보수로 엑스트라 출연도 하는 등 많은 협조를 해주었다.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실제로도 활동했던 당시 전남대 의대 출신 의사분은 이 영화에서도 의사역할로 출연해줬다고 한다. 장 감독은 훗날 이를 언급하며 그들에게 큰 감사를 표하기도.

지금은 중견배우인 추상미, 설경구 등의 풋풋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최종흥행스코어는 서울관객 약 30만명. 당시 단관상영이 대세였던점을 감안하면 다소 성공작이지만, 제작비 24억원에 비춰볼 때 손익분기점에 이르지 못했다.

이정현은 이 영화로 대종상 여자신인상을 수상했다. 사실 이정현의 연기 외에도 상을 받을 만한 부분이 많았지만 실제 수상 실적은 이것 뿐인데, 1996년 당시엔 꽃잎 외에도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은행나무 침대' 등 수작들이 여럿 나오기도 했지만 그보다는 이 때 대종상이 희대의 막장 진행으로 악명높은게 컸다. 자세한 이야기는 제34회 대종상 영화제 항목 참조.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꽃잎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성씨가 '장'으로 이름은 언급되지 않는다.
  2. 배우 이영란으로 성우가 아니다.
  3. 배우 오현경윤소정 부부의 딸. 동명이인의 모델과는 구분한다.
  4. 생일이 2월이라서 고등학교 2학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