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귀

(나귀에서 넘어옴)

네트워크 시스템 및 P2P 프로토콜에 대해서는 eDonkey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당나귀
Donkey이명 :
Equus africanus asinus Linnaeus, 1758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말목 (Perissodactyla)
말과(Equidae)
말속(Equus)
아프리카야생당나귀(Equus africanus)
  • 아프리카야생당나귀종(Equus africanus)
    • 당나귀아종(Equus africanus asinus)

목차

동물


학명: Equus asianus 혹은 Equus africanus asianus

보다 긴 귀, 하얀 주둥이와 배를 주목. 그럼 당신도 말과 당나귀를 구분할 수 있다.
원래는 '나귀'로, 나귀중에서도 특히 당나라에서 나는 나귀들이 몸집이 좋고 힘이 세 수요가 컸고, 이 당나라 산 나귀를 구분해 당나귀(唐+나귀)라고 부르던 것이 굳어져 일반화 된 경우. 마치 '진돗개'라는 단어가 '개'라는 단어를 밀어내고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것과도 같은 특이한 경우다.[1] 영어로는 동키(donkey)라 부르며, 수컷은 잭(jack), 암컷은 제니(jenny)라 칭한다. 말보다는 살짝 작지만 상당히 덩치가 큰 동물로, 키는 어깨높이가 약 150~160센티미터, 체중은 300~480킬로그램 정도다. 수명은 말보다 긴 편으로 대개 40~50살 정도 산다고 한다. 옛날 농부들은 청년 시절에 당나귀를 하나 사면 그놈과 거의 평생 같이 살았던 셈이다. 참고로 말의 수명은 20~30년 정도.

인류의 역사에서 가장 많은 일을 담당했으며 신화나 옛 이야기에서도 자주 나오는 동물이다. 역사학자들의 이야기에 따르면 예수가 마굿간에서 태어났을 때, 말보다는 당나귀가 더 많던 시절이므로 예수의 산 증인은 당나귀라고 할정도. 똑똑하고 부지런하며 보기에 비해 힘이 강한게 특징인 동물. 그리고 생각하는것보다 성질이 더럽다.

현대 당나귀의 선조는, 지금의 수단 북부인 옛 누비아와 소말리아 지역에서 자생하던 아프리카 야생 당나귀종에서 시작한다. 야생종이 아닌, 인간이 당나귀를 사육하기 시작한것은 bc 4000년경 하 이집트 지역에서 부터였으며, 대략 6천년이 넘는 시간 동안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온 동물이다.

에 비해 몸집도 작고 팔다리도 짤뚱해서 간지가 없어서인지 천대를 받는다. 돈키호테의 종자인 산초는 말 대신 당나귀를 타고 돈키호테를 따른다. 서양권에서는 바보같은 인간을 부를 때 "당나귀(Donkey, Ass)같은 놈"이라고 부른다. 프랑스의 경우 고집불통에 말이 안 먹히는 사람을 보고 âne이라고 부른다. quel âne! 이라는 표현은 "야 이 벽창호야"라는 뜻.중국어의 경우도 비슷한 의미로 당나귀성미(驴脾气)라는 표현을 쓴다.

슈렉이나 곰돌이 푸에 등장하는 당나귀들도 하나같이 볼품없다. 그 때문인지 동키콩(DonkeyKong)도 멍청한 듯. 그리고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서브 캐릭터인 덜렁이도 당나귀 캐릭터로, 매사에 침착하지 못하고 가볍게 행동하며 산업 현장에서 실수를 연발하여 사고를 일으키는 캐릭터로 표현되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말보다도 똑똑하며 상황판단력이 뛰어나다. 예를 들어 말은 절벽에서 뛰어내리라고 타고있는 주인이 명령하면 말은 아무 생각없이 뛰어내리지만 당나귀는 위험을 알아채고 명령을 거부한다. 그 밖에도 지구력이나 자생력에 있어서도 말보다 월등하다. 역시 외모가 전부는 아니다.근데 나름 귀엽지않나?

사실 당나귀가 멍청이의 상징이 된 이유는, 서구권에서는 성기가 크면 멍청하다는 속설이 있었는데 당나귀가 덩치에 비해 검열삭제가 매우 크기 때문이라고 한다.

좋은 의미로는 순박하고 우직하게 노력하는 사람에 비유해서 쓰이기도 한다.
그래서 프리드리히 니체의 저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는 인내심과 자기 희생을 상징하며 세상 사람들에게 숭배되는 동물로 나왔다. 천대받는 동물에서 숭배받는 동물로 일약 신분상승한 셈이다. 하지만 이 인내심이라는 것은 세상의 부조리함에 저항하지 않고 참는다는 뜻도 되기 때문에 정작 주인공인 차라투스트라에게는 까이는 역할이다.

과거에는 선비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그래서 조선양반들은 말보다는 당나귀를 이동수단으로 선호했는데, 당나귀는 사실 인간을 태우고 다니기에는 작아서 적합하지 않고 군사용으로도 쓸 수 없다. 문제는 무관들이 선비 따라한다고 나귀를 타고 다니는게 유행이 되어버렸다는 것. 이 경우 승마를 하기 위한 근육이 퇴화해버리기 때문에 전시에는 말을 타고 다닐 수 없게 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조정에서는 꾸준히 무관의 당나귀 소유를 금지했지만 잘 지켜지지는 않았다.

스페인 당나귀로 대표되는 유럽 쪽 당나귀는 현재 수가 많이 줄어 멸종위기에 몰려있는데, 이유는 성질을 온순하게 만들기 위해 암컷 말과 수컷 당나귀의 이종교배로 노새[2]를 만들어내기 때문. 버새와 노새는 생식능력이 없으므로 나이가 들면 죽고, 당나귀의 새끼가 없으면 당연히 수가 줄게 되어 있다. 또 다른 원인은, 내연기관의 발달로 당나귀의 노동력이 필요없게 된 데다가 말과는 달리 승마용으로도 폼이 안 나기 때문에 인기가 없어서 기르는 의미가 크게 줄었기 때문.

하지만 반대로 아직도 많은 지역에선 엄청나게 흔하다. 주로 아프리카 및 아랍 지역이나 중남미 가난한 나라들이나 경제적으로 좀 여유있어도 시골 지역은 많이 기르며 많이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서민층에겐 차값과 연료비가 비싼 반면, 당나귀는 잘 먹이면 그만인지라 노동력으로 많이 쓰이며, 당나귀는 엄청 흔하고 노새는 푸대접받는다.[3] 다만 여기서 당나귀들은 엄청 고생한다. 엄청나게 무거운 짐을 들고 주인의 채찍에 시달려야 한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을 키우는 목장주들이 들개들에 의해 양들이 잡아먹히자 이를 막기 위해 당나귀를 키운다고 한다. 당나귀는 보호본능이 강하기 때문에 선천적으로 개를 싫어한다고. 관련 뉴스

우리나라에선 종종 애완동물로 기르는 이들도 보이는데 주인에게 정을 붙이면 엄청 애교를 부리지만 기분에 따라 까부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지금은 방송이 끝난 주주클럽같은 프로그램에서 독신으로 살면서 당나귀를 기르는 사람이 나온 바 있는데 고양이는 10~15년이면 죽기에 가족으로 정을 붙인 이들 동물이 죽으면 너무나도 가슴이 아펐는데 당나귀는 길게 살면 40~60년까지 산다는 걸 알고 당나귀를 기르고 있다고 했다. 이 사람이 말하길 당나귀가 성깔이 있어서 우습게 보거나 멍청하다고 편견으로 보면 안된다면서 처럼 감수성이 예민하다고 끝맺었다.

한국에서는 60년대 말까지 시골에서 사육했는데, 대개 장터에서 뭔가 사서 옮겨 올때 썼다고 한다. 근데 당나귀가 약삭 빨라서 안장을 얹을 기미만 취하면 가출해 버리는 일이 잦았다고. 그래서 시골에서 당나귀 대신 자전거나 커브 오토바이를 많이 쓰게 되었다고 한다.

최초 은행 대출의 담보가 당나귀였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첫 근대은행으로 조흥은행의 전신인 한성은행의 첫 대출이 당나귀를 담보로 가져온 상인에게 이루어졌다는것.

고기는 식용으로도 쓰이고, 동의보감에는 가죽부터 뼈까지 버릴 것 없는 약용동물로 취급받기도 하였다. 하지만 한국내에서는 사육되는 두수가 전국에서 수백마리 수준이라서 전문식당은 전국에서 손꼽을 수준, 인터넷 거래 같은 것은 당연히 전무하다. 중탕 등의 약용으로 수요가 있는데, 이는 대부분 중국 수입. 중국에선 당연히 우리나라보다 수요가 있는 편인데, 사신을 접대할 때 당나귀 고기 요리를 올렸다 하며, 손님을 접대할 때 최고로 치는 재료라고 한다. 한편 육회로 먹게 되면 입에 들어가자 마자 녹는 수준이라고 하며 육회의 왕으로 불린다.

중국 삼국지에서는 제갈량의 형 제갈근과 관련이 있다. 자세히 한것은 제갈각 항목 참고.

여담이지만 북한에서는 당나귀를 하늘소라고 한다.

관련 역설로 '뷔리당의 당나귀'라는 것이 있다. 굶주려 죽을 지경인 당나귀에게 완전히 똑같은 2덩이의 건초를 갖다 준다. 하나는 왼쪽, 하나는 오른쪽, 당나귀로부터 완벽히 같은 거리에. 당나귀가 완벽히 논리적이고 객관적이라면 당나귀는 둘 중 특정한 한 덩이의 건초를 선택할 이유를 찾지 못하며, 따라서 굶어죽어버린다는 역설이다. 당연히 현실의 당나귀는 이런 바보같은 짓으로 굶어죽지 않으며 둘 중 하나를 - 혹은, 정말 배가 고프다면 둘 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둘 중 어느 한 쪽인가를 먼저 취할 것이다 - 골라서 먹어치운다. 하지만 이때도 왜 그 덩이를 택했는가, 혹은 왜 그쪽을 먼저 택했는가 하는 것을 설명할 만한 이유는 여전히 전혀 없다는 점이 포인트. 행동을 예측할 만한 원인이 없지만 당나귀는 어쨌거나 뭔가 하나를 고른다는 점에서 결정론과 자유의지의 논쟁에서 자유의지의 손을 들어 주는 이들이 들 만한 예시다.

여담이지만, 앞에서도 잠깐 언급했던 것 처럼 당나귀는 수명이 대략 40~50년에 이르며 가축 중에서도 상당히 장수하는 편이다. 때문에 조지 오웰동물농장에 등장하는 늙은 당나귀 벤자민은 시작 시점에서 이미 늙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동물들이 늙어 죽거나 늙는 과정을 끝까지 지켜볼 수 있게 되었다.

미국의 민주당은 당나귀가 상징이다.

  1. 국립국어원에선 일단 '나귀'와 '당나귀'를 동일한 뜻을 지닌 같은 지위의 단어로 인정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되어 접수된 문의에 대하여서는 "국내의 국어사전이나 어원사전에서는 '나귀'를 '당나귀'의 준말로 보는 견해도 있으니 문제될것이 없다."고 했다가도 또 다른 문의에서는" '나귀'는 단일어이며, '당나귀'는 '당'과 '나귀'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합성어로 판단된다."고 하는등 오락가락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2. 반대로 숫말과 암나귀의 교잡으로 생긴 잡종은 '버새'라고 한다. 이쪽은 보통 나귀보다 체격이 작아 운송력도 떨어지고 지구력도 약해 일부러 만드는 경우는 거의 없다.
  3. 나귀는 새끼를 낳을수 있지만 노새의 경우 생식능력이 없기 때문. 대형 가축의 경우 가축을 번식시켜 얻은 새끼도 중요한 수입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