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 |||||
물리학상 | 화학상 | 생리의학상 | 문학상 | 평화상 | 경제학상 |
수상자 | 수상자 | 수상자 | 수상자 | 수상자 | 수상자 |
목차
1 개요
사실 여기 있는 거의 모든 사람의 발견은 화학 관련 학과에 진학한 사람의 교과서(=전공서적)에 나와있다. 언제 나오느냐가 문제지, 하다못해 노벨상 받은 연구업적이 아니더라도 어디엔가 이름은 나온다.
2 1900년대
년도 | 수상자(국적) | 수상 내역 | 교과서에 등장 |
1901 | 야코뷔스 헨드리퀴스 판트호프(네덜란드) | 화학동역학 법칙 및 삼투압 발견 | 반트 호프의 법칙 |
1902 | 헤르만 에밀 피셔(독일) | 당과 푸린 합성에 관한 연구 | 피셔 투영식[1], 피셔 증명[2] |
1903 | 스반테 아우구스트 아레니우스(스웨덴) | 전기해리 이론 | 산과 염기의 정의 |
1904 | 윌리엄 램지 경(영국) | 비활성 기체 원소 및 주기율표에서의 위치 발견[3] | 비활성 기체 |
1905 | 요한 프리드리히 빌헬름 아돌프 폰 베이어(독일) | 유기염료,히드로방향족화합물에 관한 연구 | |
1906 | 앙리 무아상(프랑스[4]) | 플루오르 화합물 : 무아상로(爐) 도입 | |
1907 | 에두아르트 부흐너(독일) | 비세포적 발효 발견 | |
1908 | 어니스트 러더퍼드(뉴질랜드) | 원소 붕괴 및 방사성 물질의 화학에 관한 연구 | 알파입자 산란실험을 통한 원자핵의 발견과 행성모형 |
1909 | 빌헬름 오스트발트(독일) | 촉매, 화학평형과 반응속도에 대한 선구적 연구 | 오스트발트 희석률(Law of dillution) |
1910 | 오토 발라흐(독일) | 지방족 화합물의 결합에 관한 선구적 연구 |
3 1910년대
년도 | 수상자(국적) | 수상 내역 | 교과서에 등장 |
1911 | 마리 스쿼도프스카 퀴리(프랑스)[5] | 라듐 및 폴로늄 발견 : 라듐 분리 | |
1912 | 빅토르 그리냐르(프랑스) 폴 사바티에(프랑스) | 그리냐르 시약(試藥) 발견 유기화합물의 수소화반응 방법 | 그리냐르 탄소결합 형성반응 |
1913 | 알프레트 베르너(스위스) | 분자 내에서의 원자의 결합 연구 | |
1914 | 시어도어 윌리엄 리처즈(미국) | 많은 원소의 원자량의 정밀 측정 | |
1915 | 리하르트 마르틴 빌슈테터(독일) | 식물 색소, 특히 클로로필에 대한 선구적 연구 | |
1916 | 수상자 없음 | ||
1917 | |||
1918 | 프리츠 하버(독일) | 암모니아 합성 | 하버-보쉬법 |
1919 | 수상자 없음 | ||
1920 | 발터 헤르만 네른스트(독일) | 열화학 분야에 관한 연구 | 열역학 제3법칙, 네른스트 식(Nernst equation) |
4 1920년대
년도 | 수상자(국적) | 수상 내역 | 교과서에 등장 |
1921 | 프레더릭 소디(영국) | 방사성 물질의 화학:동위원소의 산출과 성질 | |
1922 | 프랜시스 윌리엄 애스턴(영국) | 질량분석사진기를 이용한 연구:원자량 정수의 법칙 | |
1923 | 프리츠 프레글(오스트리아) | 유기물질의 미량분석법 | |
1924 | 수상자 없음 | ||
1925 | 리하르트 아돌프 지그몬디(오스트리아) | 콜로이드 용액의 불균일 특성의 설명 | |
1926 | 테 테오도르 스베드베리(스웨덴) | 분산계 연구 | |
1927 | 하인리히 오토 빌란트(독일) | 담즙산의 조성에 관한 연구 | |
1928 | 아돌프 오토 라인홀트 빈다우스(독일) | 스테롤의 구조 및 비타민으로 전환될 수 있는 스테롤에 관한 연구 | |
1929 | 아서 하든(영국) 한스 카를 아우구스트 시몬 폰 오일러켈핀(스웨덴) | 당의 발효와 이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작용에 대한 연구 | |
1930 | 한스 피셔(독일) | 헤민, 클로르필 연구 : 헤민 합성 |
5 1930년대
년도 | 수상자(국적) | 수상 내역 | 교과서에 등장 |
1931 | 카를 보슈(독일) 프리드리히 베르기우스(독일) | 화학적 고압방법의 발명과 개발 | 하버-보쉬법[6] |
1932 | 어빙 랭뮤어(미국)[7] | 표면 화학에서의 발견과 연구 | Langmuir Isotherm |
1933 | 수상자 없음 | ||
1934 | 해럴드 클레이턴 유리(미국) | 중수소 발견 | |
1935 | 장 프레데리크 졸리오 퀴리(프랑스)[8] 이렌 졸리오 퀴리(프랑스)[9] | 새로운 방사성 원소 합성 | |
1936 | 페트뤼스 요세퓌스 빌헬뮈스 데베이에(네덜란드)[10] | 기체속의 X선과 전자의 쌍극자 모멘트 및 회절에 관한 연구 | 쌍극자 모멘트 |
1937 | 월터 노먼 하스(영국) 파울 카러(스위스) | 탄수화물 및 비타민 C 연구 카로티노이드, 플라빈, 비타민 연구 | |
1938 | 리하르트 요한 쿤[11](독일) | 카로티노이드 및 비타민 연구 | |
1939 | 아돌프 프리드리히 요한 부테난트[12](독일) 레오폴트 라보슬라브 슈테펜 루지치카(스위스) | 성 호르몬 연구, 폴리메틸렌 및 고테르펜 연구 | |
1940 | 수상자 없음 |
6 1940년대
년도 | 수상자(국적) | 수상 내역 | 교과서에 등장 |
1941 | 수상자 없음 | ||
1942 | |||
1943 | 죄르지 드 헤베시(헝가리) | 화학 연구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추적자로 이용 | |
1944 | 오토 한(독일) | 중핵분열 발견 | |
1945 | 아르투리 일마르 비르타넨(핀란드) | 사료보존법 개발 | |
1946 | 제임스 배철러 섬너(미국) 존 하워드 노스럽(미국) 웬들 메러디스 스탠리(미국) | 효소의 결정화 발견, 순수 형태의 효소 및 바이러스 단백질 제법 | |
1947 | 로버트 로빈슨 경(영국) | 알칼로이드 및 기타 식물 생성물 연구 | |
1948 | 아르네 빌헬름 카우린 티셀리우스(스웨덴) | 전기이동 및 흡착 분석법 연구 : 혈청 단백질 | |
1949 | 윌리엄 프랜시스 지오크(미국) | 극저온에서의 물질의 운동 | |
1950 | 오토 파울 헤르만 딜스(독일) 쿠르트 알더(독일) | 디엔 합성 발견 및 개발 | 딜스-알더(Diels-Alder) 반응[13] |
7 1950년대
년도 | 수상자(국적) | 수상 내역 | 교과서에 등장 |
1951 | 에드윈 매티슨 맥밀런(미국) 글렌 시어도어 시보그[14](미국) | 초우라늄 요소의 발견과 연구 | |
1952 | 아처 존 포터 마틴(영국) 리처드 로런스 밀링턴 싱(영국) | 분배 크로마토그래피 개발 | 크로마토그래피 |
1953 | 헤르만 슈타우딩거(독일) | 거대분자 연구 | |
1954 | 라이너스 폴링(미국) | 화학적 결합의 특성 연구 | 전기 음성도, 혼성 오비탈 |
1955 | 빈센트 뒤비뇨(미국) | 폴리펩티드 호르몬 합성 | |
1956 | 시릴 노먼 힌셜우드 경(영국) 니콜라이 니콜라예비치 세묘노프(소련) | 화학반응의 동역학 연구 | Lindermann-Hinshelwood 메커니즘 |
1957 | 알렉산더 로버터스 토드 남작(영국) | 뉴클레오티드류와 뉴클레오티드 조효소에 관한 연구 | |
1958 | 프레더릭 생어(영국) | 인슐린 분자의 구조 결정 | |
1959 | 야로슬라프 헤이로프스키(체코슬로바키아) | 폴라로그래피의 발견과 개발 | |
1960 | 윌라드 프랭크 리비(미국) | 방사성 탄소 연대측정법 개발 |
8 1960년대
년도 | 수상자(국적) | 수상 내역 | 교과서에 등장 |
1961 | 멜빈 캘빈(미국) | 광합성 중에 발생하는 화학적 단계 연구 | 캘빈 회로 |
1962 | 존 카우더리 켄드루(영국) 맥스 퍼디낸드 퍼루츠(영국) | 헴단백질(hemoprotein)의 구조 결정 | |
1963 | 줄리오 나타(이탈리아) 카를 치글러(독일) | 플라스틱 분야에서 중합체의 구조와 그 합성 | 치글러-나타(Ziegler-Natta) 중합촉매 |
1964 | 도러시 메리 크로풋 호지킨(영국) | 악성빈혈 퇴치에 꼭 필요한 생화학적 화합물의 구조 결정 | |
1965 | 로버트 번스 우드워드(미국) | 과거 생물에 의해서만 산출된다고 여겼던 스테롤, 클로로필의 합성 | 천연화합물 전합성[15] |
1966 | 로버트 샌더슨 멀리컨(미국)[16] | 분자의 화학결합 및 전기적 구조에 관한 연구 | 멀리컨 전기 음성도 |
1967 | 만프레트 아이겐(독일) 로널드 조지 레이퍼드 노리시(영국) 조지 포터(영국) | 초고속 화학반응에 관한 연구 | |
1968 | 라르스 온사게르(미국) | 비가역과정의 열역학 이론 연구 | |
1969 | 데릭 해럴드 리처드 바턴(영국) 오드 하셀(노르웨이) | 특정 유기화합물의 3차원적 형태결정에 대한 연구 | |
1970 | 루이스 페데리코 를루아르(아르헨티나) | 탄수화물의 생합성(生合成)에서 당(糖) 뉴클레오티드와 그 역할 발견 |
9 1970년대
년도 | 수상자(국적) | 수상 내역 | 교과서에 등장 |
1971 | 게르하르트 헤르츠베르크(캐나다) | 분자 구조에 대한 연구 | |
1972 | 크리스천 베이커 안핀슨(미국) 스탠퍼드 무어(미국) 윌리엄 하워드 스타인(미국) | 효소 화학에 기초 공헌 | |
1973 | 에른스트 오토 피셔(독일) 제프리 윌킨슨(영국) | 유기금속 화학 | 윌킨슨(Wilkinson) 로듐 수소화촉매 |
1974 | 폴 존 플로리(미국) | 긴 사슬을 가진 분자에 관한 연구 | 플로리-허긴스 이론 |
1975 | 존 워컵 콘포스(영국) 블라디미르 프렐로그(스위스) | 입체화학 연구 | Cahn-Ingold-Prelog 시스템(작용기 우선순위 결정법) |
1976 | 윌리엄 넌 립스컴 2세(미국) | 보란의 구조 | |
1977 | 일리야 프리고진(벨기에) | 열역학의 영역 확대 | |
1978 | 피터 데니스 미첼(영국) | 생물계에서 에너지 이동과정 이론을 공식화 | ATP, NAD, FAD |
1979 | 허버트 찰스 브라운(미국) 게오르크 비티히(서독) | 유기물질의 합성에서 붕소(硼素)와 인(燐) 화합물 도입 | 비티히(Wittig) 시약[17] |
1980 | 폴 버그(미국) 월터 길버트(미국) 프레더릭 생어(영국)[18] | 최초로 혼성 DNA 제조, DNA구조의 생물학적, 화학적 분석법 개발 |
10 1980년대
년도 | 수상자(국적) | 수상 내역 | 교과서에 등장 |
1981 | 후쿠이 겐이치(일본) 로알드 호프만(미국) | 화학반응의 궤도함수 대칭 해석 | |
1982 | 에런 클루그(영국) | 생물학적 물질의 구조 결정 | |
1983 | 헨리 타우버(캐나다) | 전자이동 연구 | |
1984 | 로버트 브루스 메리필드(미국) | 폴리펩티드 합성방법 개발 | 메리필드 고체상 폴리펩티드 합성법 |
1985 | 헤르트 에런 하우프트먼(미국) 제롬 칼(미국) | 작은 분자의 화학구조를 추론하는 수학적 방법 개발 | |
1986 | 더들리 로버트 허슈바크(미국) 리위안저(미국)[19] 존 찰스 폴라니(캐나다) | 기초 화학반응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 개발 | |
1987 | 도널드 제임스 크램(영국) 찰스 존 피더슨(미국)[20] 장마리 렌(프랑스) | 다른 분자와 결합할 수 있는 분자 개발 | |
1988 | 요한 다이젠호퍼(서독) 로베르트 후버(서독) 하르트무트 미헬(서독) | 광합성에 필요한 단백질 구조 발견 | |
1989 | 시드니 올트먼(미국) 토머스 로버트 체크(미국) | RNA의 기본적 성질 발견 | |
1990 | 일라이어스 제임스 코리(미국) | 복잡한 분자를 합성하기 위한 역합성 분석법(retrosynthetic analysis)개발 | 역합성 전체[21] |
11 1990년대
년도 | 수상자(국적) | 수상 내역 | 교과서에 등장 |
1991 | 리하르트 로베르트 에른스트(스위스) | 핵자기 공명 분광학 개발 | NMR 분석법 |
1992 | 루돌프 아서 마커스(미국) | 분자 간 전자이동에 대한 설명 | |
1993 | 캐리 뱅크스 멀리스(미국 마이클 스미스(캐나다) | 유전자 연구와 조작기술 고안 | PCR |
1994 | 조지 앤드루 올라(미국) | 탄화수소 분자의 연구기술 개발 | |
1995 | 파울 요제프 크뤼천(네덜란드) 프랭크 셔우드 롤런드(미국) 마리오 호세 몰리나(멕시코) | 오존층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적 메커니즘을 설명 | |
1996 | 로버트 컬(미국) 해럴드 크로토(영국) 리처드 스몰리(미국) | 새로운 탄소화합물인 풀러렌의 발견 | 풀러렌 |
1997 | 존 워커(영국) 폴 보이어(미국) 옌스 스코우 | ATP 합성효소 발견 | |
1998 | 월터 콘(영국) 존 포플(미국) | 컴퓨터를 사용한 분자반응 연구방법 고안[22] | GAUSSIAN 98 |
1999 | 아흐메드 즈웨일(미국) | 초고속 레이저 분광학 기술을 이용한 화학반응 연구 | |
2000 | 앨런 J. 히거(미국) 앨런 G. 맥더미드(미국) 시라카와 히데키(일본) | 전도성 플라스틱 개발 |
12 2000년대
년도 | 수상자(국적) | 수상 내역 | 교과서에 등장 |
2001 | 노요리 료지(일본) 윌리엄 놀스(미국) 배리 샤플리스(미국) | 촉매를 이용한 비대칭 합성기법 개발 | Sharpless Epoxidation[23] |
2002 | 존 펜(미국) 쿠르트 뷔트리히(스위스) 다나카 고이치[24](일본) | 생물학적 거대분자의 질량 측정, 3차원 구조 규명 | ESI, MALDI[25] |
2003 | 피터 아그리(미국) 로더릭 매키넌(미국)[26] | 세포막에서 단백질 분리 성공, 칼륨 이온 통로에 대한 입체구조 규명 | |
2004 | 어윈 로즈(미국) 아브람 헤르슈코(이스라엘) 아론 치에하노베르(이스라엘) | 단백질 분해를 조절하는 세포 내 메커니즘 발견 | |
2005 | 이브 쇼뱅(프랑스) 로버트 H. 그럽스(미국) 리처드 R. 슈록(미국) | 복분해 반응 및 복분해 반응을 유도하는 촉매물질 개발 | Grubbs 촉매(Olefin Metathesis)[27] |
2006 | 로저 콘버그(미국)[28] | 유전자 정보 전사과정연구 | |
2007 | 게르하르트 에르틀(독일) | 표면 화학 분야에 대한 새로운 연구 | |
2008 | 로저 첸[29](미국) 마틴 챌피(미국) 시모무라 오사무(일본) | 특정한 세포의 활동을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는 녹색 형광 단백질(GFP)을 발견하고 발전시킨 공로 | |
2009 | 벤카트라만 라마크리슈난(인도/영국/미국) 토머스 스타이츠(미국) 아다 요나트(이스라엘) | 리보솜이라 불리는 세포입자의 구조와 기능을 원자 수준에서 밝혀낸 연구 | |
2010 | 리처드 헥(미국) 네기시 에이이치(일본) 스즈키 아키라(일본) | 팔라듐 촉매교차결합 연구 | 팔라듐 관여 C-C결합 형성반응[30] |
13 2010년대
년도 | 수상자(국적) | 수상 내역 | 교과서에 등장 |
2011 | 다니엘 셰흐트만(이스라엘) | 준결정 발견 | |
2012 | 브라이언 코빌카(미국) 로버트 레프코위츠(미국) | G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31] 연구 | |
2013 | 마틴 카플러스(미국/오스트리아) 마이클 레빗(미국/영국/이스라엘) 아리에 와르셸(미국/이스라엘) | 복잡한 화학 시스템을 위한 멀티스케일 모델의 개발[32] | |
2014 | 슈테판 헬(독일) 에릭 베치그(미국) 윌리엄 머너(미국) | 기존 광학 현미경의 회절한계를 뛰어넘는 STED 현미경을 개발 | |
2015 | 토마스 린달(스웨덴/영국) 폴 모드리치(미국) 아지즈 산자르(터키/미국)[33] | DNA 수선 메커니즘 연구 | |
2016 | 피에르 소바주(프랑스) 프레이저 스토더트(영국/미국) 베르나르트 페링하(네덜란드) | 분자 기계 개발 |
- ↑ 당의 입체배열을 표시하는 방법
- ↑ 포도당의 공간 절대배열을 밝혔다.
- ↑ 노벨물리학상 수상은 같이 연구를 했던 J.W.S 라일리가 했다.
- ↑ 이 해의 화학상 후보에는 주기율표로 유명한 맨델레예프도 있었으나 근소한 표차로 무아상에게 돌아갔다. 이 때만 해도 주기율표는 단순히 원소의 주기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배열한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었고, 왜 주기성이 존재하는지는 증명하지 못한 상태여서 상대적으로 그 평가가 낮았다. 게다가 당시 플루오르의 정제는 대단히 어려워서 많은 과학자들이 부상을 입거나 죽기까지 했으며 무아상 본인도 한쪽 눈을 잃을 정도였다.
- ↑ 퀴리 부인이라는 이름으로 유명한 그 분. 1903년노벨물리학상 수상, 노벨상을 여럿 받은 사람 및 단체는 꽤 있으나 서로 다른 과학분야에서 수상한 것으로는 유일하다.
- ↑ 카를 보슈 한정.
- ↑ 미국화학회에서 내는 랭뮤어(Langmuir) 저널은 이 화학자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었다. 계면-표면공학에 대한 저널로 유명함.
- ↑ 노벨상을 두 번이나 탄 퀴리 부인의 사위인데 그녀를 존경하고 또 그 성을 후세에 전하고 싶다며 자신의 성을 갈았다. 서양에서 결혼을 하면 여성이 남성의 성을 따라서 가는데 이쪽은 그 반대.
- ↑ 퀴리 부부의 장녀이다. 그 엄마에 그 딸.
- ↑ 네덜란드 태생이나 국적은 미국이어서 이름이 좀 꼬인다. 영어식으로는 피터 조지프 윌리엄 디바이(Peter Joseph William Debye), 독일어식으로는 페터 요제프 빌헬름 데바이(Peter Joseph Wilhelm Debye).
- ↑ 타의에 의해서 수상을 거부할 수 밖에 없었다.
- ↑ 타의에 의해서 수상을 거부할 수 밖에 없었다.
- ↑ 고리화합물, 특히 Bridged된 복잡한 고리화합물의 합성에 필수적인 반응
- ↑ 원자번호 106번 시보귬이 이 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인명에서 유래한 원소 중 유일하게
하지만 오가네손이 있다당사자가 살아있을 때 명명되었다. - ↑ 코리(E.J.Corey, 1990년 노벨화학상 수상) 이전의 유기합성화학계의 본좌
- ↑ Robert S. Mulliken. 기름방울실험으로 알려진 밀리컨(Robert A. Millikan, 192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과는 성의 철자부터 다른 전혀 관계없는 사람이다.
- ↑ 나중에 Horner-Wadsworth-Emmons가 이 반응을 개량함
- ↑ 이로써 두 번째 수상
- ↑ 중국계로서 최초 노벨화학상 수상자며(두 번째는 2008년의 로저 첸(첸융젠)), 대만 출신으로 유일한 노벨상 수상자다(단, 대만에 일시 거주한 외성인을 포함한다면 하나 더 있긴 하다). 본성인. 미국 국적을 취득했다가 포기하여 현재는 중화민국 국적.
- ↑ 재미있게도 이 사람의 부모는 평안남도 운산 금광에서 일할때 태어난지라(아버지가 미국인, 어머니가 일본인) 노벨상 위원회 공식 기록에 출신지가 한국으로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 ↑ 역시 유기합성화학계의 본좌. Synthon,Umpolung,FGI 등의 현대 유기전합성에서 필수적으로 쓰이고 있는 개념들을 창시.
그리고 그의 제자인 필 배런(Phil.S.Baran)이 학계에서 다음 세대 노벨화학상 유력 후보로 거론될 만큼 넘사벽의 포스를 흩뿌리는 중 - ↑ 분자의 구조, 성질을 계산하는 GAUSSIAN 프로그램 개발 공로
- ↑ 특정 반응에 첨가하는 카이랄 첨가제의 입체구조에 따라 생성물의 입체구조가 달라지는 것을 밝혀냄. 현대 의약품 비대칭 전합성의 핵심기법
- ↑ 학사 출신 유일
- ↑ ESI, MALDI는 거대분자를 이온화 할 수 있는 방법이다. 각각의 방법마다 장단점이 존재하며 현재 단백질 분석에 빠지지 않는 기술들이다. ESI(존 펜), MALDI(다나카 고이치)
- ↑ 피터 아그리 그리고 매키넌 모두 의사출신의 화학자이다.
- ↑ 기존의 방법으로는 합성이 어려운 고분자 및 거대고리화합물 합성에 절대로 빠져서는 안 되는 촉매
- ↑ 1959년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아서콘버그의 아들
- ↑ 희대의 매드 사이언티스트 첸쉐썬의 5촌 조카이다. 중국식 이름은 첸융젠(錢永健, 전영건).
- ↑ 이 세 사람의 이름을 딴 반응이 다 따로 있다! 이 반응으로 인해 기존의 방법으로는 연결이 곤란했던 분자들의 결합이 가능하게 되었다.
- ↑ 세포막에서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이 세포에 작용하도록 만든다.
- ↑ CHARMM이라는 프로그램 개발. 종전의 GAUSSIAN은 양자역학적 계산만 하지만 CHARMM은 작은 분자에는 양자역학을, 큰 분자에는 고전역학을 적용해 계산속도를 빠르게 하고 거대분자 계산도 가능하게 했다.
- ↑ 노벨의학상 수상자 중엔 의사 출신이 흔하지만, 드물게도 의사 출신의 노벨화학상 수상자다. 실제로 의사면허 취득 이후 진료 경험이 있던 임상의사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