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 |||||
물리학상 | 화학상 | 생리의학상 | 문학상 | 평화상 | 경제학상 |
수상자 | 수상자 | 수상자 | 수상자 | 수상자 | 수상자 |
- 역대 노벨문학상 수상자 일람. 수상자 정렬은 수상년도를 기준으로 오름차순.
년도 | 수상자(국적) | 수상자 소재국 | 작품언어 |
1901 | 쉴리 프뤼돔 | 프랑스 | 프랑스어 |
1902 | 크리스티안 마티아스 테오도르 몸젠 | 독일 | 독일어 |
1903 |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 노르웨이 | 노르웨이어 |
1904 |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 프랑스 | 오크어[1] |
호세 에체가라이 이 에이사기레 | 스페인 | 스페인어 | |
1905 |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 폴란드 | 폴란드어 |
1906 | 조수에 카르두치 | 이탈리아 | 이탈리아어 |
1907 | 러디어드 키플링 | 영국 | 영어 |
1908 | 루돌프 크리스토프 오이켄 | 독일 | 독일어 |
1909 | 셀마 오틸리아나 로비사 라겔뢰프[2] | 스웨덴 | 스웨덴어 |
1910 | 파울 폰 하이제 | 독일 | 독일어 |
1911 | 모리스 마테를링크 | 벨기에 | 프랑스어[3] |
1912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독일 | 독일어 |
1913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인도[4] | 벵골어/영어 |
1914 | 수상자 없음 | ' | ' |
1915 | 로맹 롤랑 | 프랑스 | 프랑스어 |
1916 |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 스웨덴 | 스웨덴어 |
1917 | 카를 기엘레루프 | 덴마크 | 덴마크어 |
헨리크 폰토피단 | 덴마크 | 덴마크어 | |
1918 | 수상자 없음 | ' | ' |
1919 | 카를 슈피텔러 | 스위스 | 독일어[5] |
1920 | 크누트 함순 | 노르웨이 | 노르웨이어 |
1921 | 아나톨 프랑스 | 프랑스 | 프랑스어 |
1922 | 하신토 베나벤테 | 스페인 | 스페인어 |
1923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아일랜드 | 영어 |
1924 |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 폴란드 | 폴란드어 |
1925 | 조지 버나드 쇼 | 영국[6] | 영어 |
1926 | 그라치아 델레다 | 이탈리아 | 이탈리아어 |
1927 | 앙리 베르그송 | 프랑스 | 프랑스어 |
1928 | 시그리드 운세트 | 노르웨이 | 노르웨이어 |
1929 | 토마스 만 | 독일 | 독일어 |
1930 | 싱클레어 루이스 | 미국 | 영어 |
1931 | 에리크 악셀 카를펠트 | 스웨덴 | 스웨덴어 |
1932 | 존 골즈워디 | 영국 | 영어 |
1933 | 이반 부닌 | 생략[7] | 러시아어 |
1934 | 루이지 피란델로 | 이탈리아 | 이탈리아어 |
1935 | 수상자 없음 | ' | ' |
1936 | 유진 오닐 | 미국 | 영어 |
1937 | 로제 마르탱뒤가르 | 프랑스 | 프랑스어 |
1938 | 펄 벅 | 미국 | 영어 |
1939 | 프란스 에밀 실란페 | 핀란드 | 핀란드어 |
1940 | 수상자 없음 | ' | ' |
1941 | 수상자 없음 | ' | ' |
1942 | 수상자 없음 | ' | ' |
1943 | 수상자 없음 | ' | ' |
1944 |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 덴마크 | 덴마크어 |
1945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칠레[8] | 스페인어 |
1946 | 헤르만 헤세 | 스위스 | 독일어[9] |
1947 | 앙드레 지드 | 프랑스 | 프랑스어 |
1948 |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 영국 | 영어 |
1949 | 윌리엄 포크너 | 미국 | 영어 |
1950 | 버트런드 러셀 | 영국 | 영어 |
1951 |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 스웨덴 | 스웨덴어 |
1952 | 프랑수아 모리아크 | 프랑스 | 프랑스어 |
1953 | 윈스턴 처칠 | 영국 | 영어 |
1954 | 어니스트 헤밍웨이 | 미국 | 영어 |
1955 | 할도르 락스네스 | 아이슬란드 | 아이슬란드어 |
1956 | 후안 라몬 히메네스 | 스페인 | 스페인어 |
1957 | 알베르 카뮈 | 프랑스 | 프랑스어 |
1958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10] | 소련 | 러시아어 |
1959 | 살바토레 콰시모도 | 이탈리아 | 이탈리아어 |
1960 | 생존 페르스 | 프랑스 | 프랑스어 |
1961 | 이보 안드리치 | 유고슬라비아 | 세르보크로아트어 |
1962 | 존 스타인벡 | 미국 | 영어 |
1963 | 요르기오스 세페리스 | 그리스 | 그리스어 |
1964 | 장 폴 사르트르 (수상 거부)[11] | 프랑스 | 프랑스어 |
1965 |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숄로호프 | 소련 | 러시아어 |
1966 |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 이스라엘 | 히브리어 |
넬리 작스 | 스웨덴 | 독일어[12] | |
1967 |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 과테말라 | 스페인어 |
1968 | 가와바타 야스나리 | 일본 | 일본어 |
1969 | 사뮈엘 베케트 | 아일랜드 | 영어/프랑스어 |
1970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소련 | 러시아어 |
1971 | 파블로 네루다 | 칠레 | 스페인어 |
1972 | 하인리히 뵐 | 서독[13] | 독일어 |
1973 | 패트릭 화이트 | 오스트레일리아 | 영어 |
1974 | 에위빈드 욘손 | 스웨덴 | 스웨덴어[14] |
하뤼 마르틴손 | |||
1975 | 에우제니오 몬탈레 | 이탈리아 | 이탈리아어 |
1976 | 솔 벨로 | 미국 | 영어 |
1977 |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 스페인 | 스페인어 |
1978 |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 미국 | 이디시어 |
1979 | 오디세아스 엘리티스 | 그리스 | 그리스어 |
1980 | 체스와프 미워시 | 폴란드/미국[15] | 폴란드어 |
1981 | 엘리아스 카네티 | 영국 | 독일어[16] |
1982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콜롬비아 | 스페인어 |
1983 | 윌리엄 골딩 | 영국 | 영어 |
1984 |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어 |
1985 | 클로드 시몽 | 프랑스 | 프랑스어 |
1986 | 월레 소잉카 | 나이지리아[17] | 영어 |
1987 | 조지프 브로드스키 | 미국 | 영어/러시아어[18] |
1988 | 나기브 마푸즈 | 이집트 | 아랍어 |
1989 | 카밀로 호세 셀라 | 스페인 | 스페인어 |
1990 | 옥타비오 파스 | 멕시코 | 스페인어 |
1991 | 나딘 고디머 | 남아프리카공화국 | 영어 |
1992 | 데릭 월컷 | 세인트 루시아 | 영어 |
1993 | 토니 모리슨 | 미국 | 영어 |
1994 | 오에 겐자부로 | 일본 | 일본어 |
1995 | 셰이머스 히니 | 아일랜드 | 영어 |
1996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 폴란드 | 폴란드어 |
1997 | 다리오 포 | 이탈리아 | 이탈리아어 |
1998 | 주제 사라마구 | 포르투갈 | 포르투갈어 |
1999 | 귄터 그라스 | 독일[19] | 독일어 |
2000 | 가오싱젠 | 프랑스[20] | 중국어 |
2001 | 비디아다르 수라지프라사드 나이폴 | 트리니다드 토바고/영국 | 영어 |
2002 | 임레 케르테스 | 헝가리 | 헝가리어 |
2003 | 존 맥스웰 쿠체 | 남아프리카공화국 | 영어 |
2004 | 엘프리데 옐리네크 | 오스트리아 | 독일어 |
2005 | 해럴드 핀터 | 영국 | 영어 |
2006 | 오르한 파묵 | 터키 | 터키어 |
2007 | 도리스 레싱 | 영국 | 영어 |
2008 | 장 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 | 프랑스/모리셔스 | 프랑스어 |
2009 | 헤르타 뮐러 | 루마니아/독일[21] | 독일어 |
2010 |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페루/스페인[22] | 스페인어[23] |
2011 |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 스웨덴 | 스웨덴어 |
2012 | 모옌 | 중국 | 중국어[24] |
2013 | 앨리스 먼로 | 캐나다 | 영어 |
2014 | 파트리크 모디아노 | 프랑스 | 프랑스어[25] |
2015 |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 벨라루스 | 러시아어 |
2016 | 밥 딜런 | 미국 | 영어 |
- ↑ 프랑스 남부 지역의 고유어. 해당항목 1번 참고
- ↑ 문학상 최초의 여류수상자
- ↑ 태생이 벨기에지만 프랑스어권 지역에서 태어나 활동도 주로 프랑스에서 했다.
- ↑ 아시아 최초 수상
- ↑ 리스탈 시의 공식 홈페이지도 독일어로 제작될 정도로 슈피텔러의 출생지인 리스탈과 그 근방은 전통적으로 독일어권 지역이다.
- ↑ 1922년 아일랜드가 독립하였지만 선정 당시 활동영역이 영국이었기 때문에 공식 노벨상 기록은 영국으로 규정하고 있다.
- ↑ 스웨덴 아카데미가 제공하는 서지정보로도 수상시의 소재국이 없다. 엄밀한 의미에서 부닌은 무국적자였기 때문이다. 우선 부닌이란 인물은 명백히 러시아인이 맞다. 다만 혁명을 피해서 프랑스로 망명한 상태였다. 소련 국민도, 더이상 러시아 제국민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않았기에 무국적으로 등록한 듯 하다.
- ↑ 남아메리카 최초의 수상자
- ↑ 독일계 스위스인
- ↑ 타의에 의해서 수상을 거부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사후 그의 아들이 대리 수상을 하였기에 수상을 한 것으로 봐도 무방하다. 자세한 사항은 보리스 파스테르나크항목 참고.
- ↑ 자의로 수상을 거부하였다.
- ↑ 본래 독일인이지만 유대인이었기 때문에 나치의 박해를 피해 스웨덴으로 갔었다.
- ↑ 노벨상 위원회에서는 Federal Republic of Germany로 기록되어 있다. 이 경우는 냉전시대임을 감안하면 통일 독일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서독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 ↑ 노벨문학상 최초로 동시수상자가 같은 국적이며, 같은 언어로 작품을 낸 작가들이다.
- ↑ 노벨상 위원회에서 이중국적임을 인정받은 최초의 작가. 주미 폴란드 대사관에서 근무하다 1970년에 미국 국적을 취득하였고, 이중국적임을 인정해도 정치적으로 문제가 없었던 케이스
- ↑ 1966년 수상자 넬리 작스와 마찬가지로 나치로부터 도피를 했기 때문에 영국 국적인데 독일어로 상을 받게 되었다.
- ↑ 아프리카 최초의 문학상 수상자
- ↑ 조금 특이한 경우로 산문작품은 영어로, 시는 러시아어로 작품을 썼다고.
- ↑ 뵐과 마찬가지로 Federal Republic of Germany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수상 시점을 고려해 보면 통일 후의 독일 연방 공화국으로 봐야 한다.
- ↑ 망명 11년째인 1998년부로 프랑스 시민권을 취득하였으며, 이에 중국 국적은 사라졌다.
- ↑ 독일계 루마니아 출신이지만 그녀가 젊었던 시절의 지도자가 그 악명높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라서 모국인 독일로 귀화하였고 작가로서 왕성한 활동을 했다.
- ↑ 서지정보 상으로만 확인 가능.
- ↑ 서지정보 상으로만 확인 가능.
- ↑ 서지정보로만 확인 가능
- ↑ 스웨덴 아카데미에서 직접 서술하지는 않았으나 수상 인터뷰가 프랑스어로 진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