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말

(도깨비어에서 넘어옴)
신조어 문체의 종류
일반나스체도깨비말사물존칭야민정음오타체외계어
지큐체통신체한본어휴먼구연체이응체-
특정 집단이
쓰는 문체
급식체노땅체다나까체여자어연서복체박근혜 화법
오덕체줌마체광고체참피체--
끝말체근성체근영체긔체나영체냥체-
삼체~스무니다체~슴다체양양체~아체음슴체
이기야~해체해오체~지 말입니다--
기타, 외국어 관련번역체 문장보그체왈도체인살어--
문체: 일반 문체 / 신조어 문체

1 개요

이비 서버수부른 나바무부우비키비으비 부불무문유불에베으비하바여비 도보깨배비비마말로보 자박서벙도비어벘으븜으블 아발리빕니비다바..

하반구북어버으비 어번어버유부흐비으비 이빌조봉이비다바. 구부어버체베에베서버 주부로보 사바요봉하바느븐데베, 어번어버느븐 아발려버져버 이빘어버도보 마발하발 때배으비 부불펴번하밤 때배무분에베 사바요봉하바지비 아밚느븐 하박새뱅드블이비 대배부분이비라바 아발아바드븓느븐 하박새뱅드블마반이비 아발아바드븓느븐다바. 처버으븜에베느븐 무부스븐 마발이빈가바 시빞어버 하바다바가바도보 드븓고보 마발하바느븐데베 이빅수북해배지비며번 그븜바방 아발아바드블으블 수부 이빘으브니비 너버무부 거벅저벙하바지비느븐 마발자바.

버버디비버버디비 시비저벌에에 유부하빙하빘더번 마발투부로보 혀번시빌에베서번 이빌지빈드블이비 두빗다밤호바르블 까바기비우비해배 자바주부 써벘다바.

이비와바 가밭이비 가바도복서벙이비 떠벌어버지빈다바느븐 이비유부로보 구부어버체베에베서버마반 주부로보 사바요봉하반다바.

1.1 해석

이 서술은 나무위키의 불문율에 따라 도깨비말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한국어의 언어유희의 일종이다. 구어체에서 주로 사용하는데, 언어는 알려져 있어도 말할 때의 불편함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이 대부분이라 알아듣는 학생들만이 알아듣는다. 처음에는 무슨 말인가 싶어 하다가도 듣고 말하는 데 익숙해지면 금방 알아들을 수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는 말자.

버디버디 시절에 유행했던 말투로 현실에선 일진들이 뒷담화를 까기위해 자주 썼다. 하지만 그 근원은 훨씬 전 1960년대로 추정되는데, 이 대목을 수정한 위키러의 어머니(1949년생)가 고등학생 시절부터 친구들과 이 말투로 대화했다는 증언이 있다.

이와 같이 가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구어체에서만 주로 사용한다.

2 사용법

기존 초성+중성+종성 결합의 한 글자를 초성+중성 / 초성(주로 비읍사용)+중성+종성 의 두 글자로 늘려 말하는 것이 원칙. 받침이 없는 경우에는 두 번째 글자 역시 받침을 제외하고 초성+중성 / 초성(주로 ㅂ)+중성 으로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자면, 지갑의 경우, 첫 글자는 받침이 없는 글자이므로 초성+중성 / 초성+중성 의 조합을 사용해서 ㅈ+ㅣ/ㅂ+ㅣ, 즉 지비 로 말하면 된다. 두번째 글자는 받침이 있는 글자이므로 초성+중성 / 초성+중성+종성 의 조합을 사용해서 ㄱ+ㅏ/ㅂ+ㅏ+ㅂ, 즉 가밥 으로 말하면 된다. 둘을 합쳐 지갑을 지비가밥 으로 말하면 된다.

내 지갑에는 돈이 한 푼도 없어 → 내배 지비가밥에베느븐 도본이비 하반 푸분도보 어벖어버

받침이 겹받침인 경우에도 이 원칙을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없어 → ㅇ+ㅓ+ㅄ // ㅇ+ㅓ 이므로, ㅇ+ㅓ/ ㅂ+ㅓ+ㅄ // ㅇ+ㅓ/ㅂ+ㅓ, 즉 어벖어버 로 사용.

이중모음 중 ㅑ,ㅕ,ㅛ,ㅠ,ㅒ.ㅖ 의 경우는 두번째 글자의 중성을 이중모음이 되기 전의 단모음의 형태로 사용한다.

야→야바, 여→여버, 요→요보, 유→유부, 얘→얘배, 예→예베

얘와 예는 발음 시에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두번째 글자를 서술할 때 ㅐ와 ㅔ의 구분을 뚜렷하게 하지 않는다.

일부 이중모음의 사용에서 세 가지 방법으로 분리된다. 이 문서는 첫번째 방법을 이용하여 서술되었다.

  • 첫번째 방법

이중모음을 분리시켜 사용하는 방법. 위에서 설명한 이중모음의 예시를 제외하고shift 키 누르면 나올 수 있는 거랑 키보드 자체에 있는 거 말고 ㅚ, ㅟ, ㅞ, ㅙ, ㅝ, ㅢ 등과 같이 모양 자체가 두 개의 모음이 결합하여 생긴 이중모음의 경우에는 모음을 분리하여 사용한다.

외→오비, 위→우비, 웨→우베, 왜→오배, 워→우버, 의→으비

외할머니를 뵈러 갔다 → 오비하발머버니비르블 보비러버 가밨다바.

  • 두번째 방법

이중모음을 그대로 두번째 중성에도 가져가 사용하는 방법.

외→외뵈, 위→위뷔, 웨→웨붸, 왜→왜봬, 워→워붜, 의→의븨

외할머니를 뵈러 갔다 → 외뵈하발머버니비르블 뵈뵈러버 가밨다바.

  • 세번째 방법

이중모음을 첫글자 중성에는 그대로, 두번째 글자의 중성에는 이중모음의 두 번째 모음으로 중성을 사용하는 방법. 발음에 따라 중성이 변형되는 경우도 있음.

위→위비, 웨→웨베, 왜→왜배, 워→워버, 의→의비

외 의 경우에는 외배 혹은 외베 로 발음한다. 외 자체에서 ㅣ 발음이 나지 않고 왜, 웨 등과 발음이 비슷한 것이 이유.

그리고.. 대화 시 사용 할 때 에는 한글자를 말하는 중간에 인디언 아바바바 하듯이 한번 막았다가 떼면 매우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혁신은 그런것이다

3 귀신말

구시시신마살으슨 도소깨새비시마살에세서서 비시으습으슬 시시오솟으스로소 벼선혀성하사여서 사사요송하사느슨 마살이시다사. 두수버선째새 그슬자사으시 자사으슴이시 ㅂ에세서서 ㅅ으스로소 벼선하사느슨 거섯으슬 제세오시하사고소느슨 도소깨새비시마살으시 사사요송바상버섭으슬 그스대새로소 사사요송하사며선 도신다사.

3.1 해석

귀신말은 도깨비말에서 비읍을 시옷으로 변형해서 사용하는 말이다. 두번째 글자의 자음이 ㅂ에서 ㅅ으로 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깨비말의 사용방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4 이 문체를 사용하는 인물

  • 걸그룹 I.O.I의 멤버 김소혜 - 프로듀스 101 프로그램의 자기소개 영상에서 자신의 특기라고 밝혔다. 이 쪽은 ㅂ이 아니라 ㄹ로 바꾸는 쪽. 마란나라서러 바란가랍스릅니리다라 예레쁘르게레 봐롸주루세레요로
  • 걸그룹 여자친구의 멤버 엄지 - 아는 형님에 출연했을 때 자신이 잘하는 언어가 외계어라며 도깨비말을 구사했다. 국장님이 알아듣고 서로 대화한 건 덤

5 유사한 말투

일본어에도 바비고(バビ語)라는 비슷한 언어유희가 있다고 한다. 이쪽도 음절 뒤마다 [ば행 + 앞에 나온 모음]을 덧붙이는 식.

러시아어에도 비슷한 언어유희가 있다고 한다. 역시 한 음절 뒤에 [특정 자음 + 앞에 나온 모음]을 넣는 식으로, 만약 자음을 б(ㅂ)를 넣으면 '하얀 말'(белый язык)이라고 하고, с(ㅅ)를 넣으면 '파란 말'(синий язык)이나 '짠 말'(солёный язык), з(z)를 넣으면 '녹색 말'(зелёный язык)이라고 한다고.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У попа была собака, он её любил. (우 빠빠 븰라 사바까, 온 이요 류빌; 뜻은 '사제에게 개가 있었는데, 사제는 개를 귀여워했다.')
  • 하얀 말(белый язык) : Убу побопаба быбылаба собобабакаба, обон ебеёбё любюбибил. (우부 빠바빠바 븨븰라바 사바바바까바, 오본 이비요뵤 류뷰비빌.)
  • 파란 말(синий язык) : Усу посопаса бысыласа сособасакаса, осон есеёсё люсюбисил. (우수 빠사빠사 븨싈라사 사사바사까사, 오손 이시요쇼 류슈비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