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조어

이 문서에 대한 토론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 생긴 의견 충돌로 이 문서의 토론방에서 토론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문서의 수정을 원하는 사용자는 이 토론 에서 의견을 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문서에서 토론하고 있는 부분을 토론 합의 없이 수정 시 문서 훼손으로 간주되어 차단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집단연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틀이 달린 문서에는 독자연구를 담을 수 있습니다. 모든 의견들은 다른 이용자의 정당한 반론에 의해 수정될 수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하기 전에 문서 내 검색을 통해 중복된 내용인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집단연구 문서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정의

신조어(新造語, Neologism)란 새로 만들어진 단어 및 용어 중, 표준어로 등재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새로 만들어진 낱말을 뜻하며 '새 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표준어가 되는 과정

신조어가 표준어로 등재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탄생 - 신조어의 작성원리에 따라 새로운 단어가 만들어지는 단계
2. 인식 - 사람들이 신조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널리 사용되지는 않는 단계
3. 확산 - 신조어의 사용자 수가 늘어나는 단계
4. 정착 - 신조어가 자주 언급되기 시작하며 의미를 명확히 정립하는 단계[1]
5. 유행 - 표준어의 규정에 이를 정도의 인원이 명확한 의미로 신조어를 사용하는 단계
6. 인용 - 방송, 신문, 소설 등의 매체에서 신조어를 사용하는 단계
7. 등재 - 표준어로 인정되는 단계

3 비표준어로 남는 경우

다음과 같은 원인으로 인해 신조어가 표준어로 등재되지 않을 수 있다.

1. 표준어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한국어는 표준어를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 로 정의하고 있다.)
2. 표준어의 조건은 만족하였으나 단어가 태어난지 오랜 세월이 지나지 않아 아직 수명이 의심받는 경우.
3. 작성원리가 불분명한 경우.
4. 신조어가 사용되어야 할 문화권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의미 및 개념을 내포하고 있는 경우. (주로 은어로 분류되는 것들.)

이모티콘은 용도가 분명한 표기이나 작성원리가 불분명하기 때문에 신조어에 포함되지 않는다. 사실 신조어 운운 이전에 이모티콘은 언어라고 볼 수도 없는데, 한국어 단어의 생성원리에 상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혹시라도 언어의 생성원리에 상형이 포함되어 있는 문화권이라면 이모티콘도 언어라고 허용할 가능성이 아주 없다고 볼 수 없겠지만... )

4 신조어의 작성원리

축약을 제외한다면 새로운 언어가 만들어지는 원리와 대동소이 하다.

4.1 축약어

단어 혹은 문장의 길이를 줄이기 위하여 정상적인 표기의 일부분을 생략하는 작성법. 다만 이경우 새로 만들어진게 아니라 원래 있던것을 줄인것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신조어의 경우 보통은 합성어를 줄여서 부르게 된다.

예시)

  • 축약형 신조어에서 표준어가 된 예시들
    1. I. (Avian Influenza)
CD (Compact Disc)
Radar (RAdio-Detection And Ranging)
  • 표준어가 아닌 축약어들
Newb, Noob (Newbie)

이 중에서, 단어 및 용어의 머리글자만 사용하는 축약어를 Acronym 이라고 한다.

4.2 파생어

기존에 존재하는 단어 및 용어에 접두사 혹은 접미사 등의 보조를 붙여 새로운 단어 및 용어를 만들어내는 작성법

예시)

  • 친목질 (친목 + -질)
  • 대인배 (대인 + -배)
  • 풋사과 (풋- + 사과...?)
  • 개이득 (개- + 이득)
  • 어린이 (어리- + -ㄴ- + 이. 소파 방정환 선생님이 친히 만들어낸 신조어.)
  • 복돌이 (복사 + -돌이. 불법 복제를 일삼는 사람을 가리키는 의미의 신조어로 사용되고 있다.)
  • ジモティー (じもと(地元) + ~ee. 토박이라는 의미의 신조어. 이건 뭐 일본어도 아니고 재플리쉬도 아니고... 이와 비슷한 원리로 작성된 우리나라의 파생어는 초글링)
  • plutoed (명왕성의 퇴출로 인해 발생한 신조어. 갑작스러운 강등, 혹은 퇴출을 의미하는 단어이며,* '좆됐다'라는 속된 표현을 대신하기 위해 사용한다.)

4.3 합성어

기존에 존재하는 단어 및 용어를 둘 이상 합쳐서 새로운 단어 및 용어를 만들어내는 작성법.
축약과 달리 원 용어의 의미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존재한다.

예시)

  • 뉴비(Newbie): 원래의 구성 단어는 New + Baby. 해당 항목의 유래나 New + Bee 등의 바리에이션은 정착단계에서 나타났다.
  • 딸내미바보: 팔불출이라는 말과 같은 의미지만 일본어에 해당하는 오야바까(親バカ)를 팔불출로 해석하자니 정말 팔불출처럼 뭔가 모자란 단어라서, 효율적(?)인 해석을 하고자 만들어낸 신조어.
  • 자존감: 자존심의 自尊 + 감정을 나타내는 접미어感 이 만나서 생긴 신조어, 자기계발서의 난립으로 보급된 단어로 보인다.

4.4 도치

발음의 편의성, 표기상의 이점, 순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를 위하여 원 단어 및 용어의 순서를 변경하는 작성법.

예시)

  • 슴가
  • 네타: 원어는 씨앗, 종자라는 의미의 타네. 해당 문서 참조

4.5 의미변화

이미 존재하는 단어 및 용어의 의미를 변화시키는 작성법. 변화라고는 썼지만 기실 상당한 확률로 기존의 단어가 가진 의미를 날려먹기 때문에 이 방식으로 만들어진 신조어를 사용할 경우, 기성세대와 신세대간 의사소통에 많은 지장이 있다. (신조어에서 언급하는 기성세대와 신세대는 나이차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해당 언어를 접하는 시기의 차이를 의미함)

예시)

4.6 외래어

다른 문화권에 이미 존재하는 단어 및 용어를 그대로 혹은 비슷한 형태로 사용하려는 문화권에 맞게 들여오는 작성법.

예시)

  • 간지나다
  • 페이크 더블
  • 투 해처리

5 기타 원리

한국어에 적용되지 않는 신조어 작성원리가 존재하며, 다음과 같다.

5.1 상형

갑툭튀한 존재를 나타낼 말이 없을때, 해당 존재의 외형을 따서 단어 및 용어를 만들어내는 작성법.
주로 중국에서 볼 수 있으며, 중국 정부가 새로운 한자의 작성을 강력히 제재하는 편임에도 불구하고 대륙의 특성한자의 특성상 자주 나타난다.

5.2 eponym

인명유래용어(eponym)라고도 하며 Self Titled 이라고도 한다. 일반명사를 고유명사로 대체하는 작성방식으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학문 분야에서 발견자나 이론을 정립한 학자의 이름을 학명 같은 학술용어로 사용하는 방식이다. 인명만이 아니라 다른 명칭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는데 스카치테이프와 같이 딱히 대체할 필요가 없는데도 워낙 입에 붙어 원래의 일반명사를 고유명사가 밀어내는 경우도 있고, 포스트 잇처럼 원래의 일반명사가 워낙 저질스러운 이름을 가지고 있어서 고유명사가 일반명사를 밀어내는 경우도 있다.

예시)

위의 예시는 이미 표준어로 등재된 단어들이므로, 이 방식으로 작성된 신조어를 아는분은 적절한 단어들을 추가바람

  • 김대기 (이는 정말로 적절한 eponym 이라 할 수 있다)
  • 비수류 (화려(?)한 테크니컬 전략의 eponym. 신조어의 유래는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 김택용의 아이디 비수)
  • 대일밴드 손가락이나 무릎 혹은 발 뒤꿈치 등 상처가 났을 때 붙이는 밴드로 상품명인 대일밴드가 eponym으로 쓰인다.
  • Google (영어권 나라에서 '검색하다'라는 단어의 eponym.)

6 외부링크

  • 위키피디아 신조어 항목(영문)
  • Urban Dictionary(영문) - 외국의 신조어 모음사이트 중 하나.
  • 국립국어원 - 언어 순화운동을 주재하는 곳. 국립국어원에서 제시하는 신조어(물론, 이들은 '순화어' 라고 주장한다.)는 일반적으로 그 사용정도를 '권고'(=사용을 권장함) 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강제력은 지니고 있지 않으나, '나들목' 과 같이 정책용어로 인정되는 등 공신력을 가지는 단어가 자주 나오는 편이다. (아무리 그래도 마우스를 다람쥐로 순화하는건 자제좀...)
  • 우리말 다듬기 - 국립 국어원의 주재로 외래어 순화를 위하여 우리말 신조어를 양산하는 사이트.
  1. 이 단계에서, 맨 처음에 등장한 당시와 의미가 전혀 다른 의미로 정착하는 경우가 적지가 않다. 2000년대에 탄생해서 정착한 쌩깐다라는 말의 경우, 맨 처음 등장했을 땐 '거짓말하다'라는 뜻이었지만 정착 단계에서는 '무시한다'라는 의미로 정착되었다.
  2. 스판은 비표준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