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문서 : 라틴어
라틴어의 명사에 있어서 격(格)이란 명사의 문장 내에서의 문법적 위치에 따라 명사의 형태가 바뀌는 속성이다. 교착어에 속하는 한국어에서는 -은(는)이나 -에 등의 조사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나, 대표적인 굴절어인 라틴어는 명사 자체가 변형된다.
수많은 굴절어의 시조인 고대 인도유럽어족(PIE)에는 원래 8격이 있었으나, 라틴어에의 명사에는 넓은 의미로 봤을 때 7격이 있는데, 이중 처격은 극히 일부 명사에만 쓰이고, 호격은 제2변화에서 -us로 끝나는 남성 명사의 단수 호격을 제외하면 주격과 동일하기 때문에, 실제로 익혀야 하는 격은 5가지라고 할 수 있다.
1 명사의 격
하지만 공식적으로 라틴어는 6개의 격이 존재한다. 일부 교재에서는 5개의 격에 대해서만 변화표를 만들어 두었지만 그런 교재들도 '공식적으로는' 6개의 격이 존재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격의 이름은 숫자로 부르는 것과 이름으로 부르는 것, 그리고 라틴어 이름 맨 앞 세 글자로 부르는 것이 혼용된다. 대부분의 변화표나 사전에서는 숫자도 이름도 아니고 약자가 통용되니 잘 외워둘 것.
1.1 1격: 주격(主格, NOMinativus)
그 명사가 문장 안에서 주어(主語) 혹은 술어 주격(述語主格)으로 쓰임을 나타내는 격. 술어 주격이란, 'A는 B이다' 같은 문장에서 B의 위치를 일컬으며, 문법적 주어가 능동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닌 단지 서술되기만 할 때 쓰인다. 부정형(문장에서 쓰이는 형태가 아니라 명사 그 자체를 언급하는 형태)이기도 하다.
Tristis est anima mea.
나의 영혼이 슬프다. (직역하면 '슬픈 게 내 영혼이구나.' or '슬프구나. 내 영혼이.'[1])
(Ego) sum panis vivus.[2]
나는 생명의 빵이다.
In terra pax hominibus bonae voluntatis[3]
지상에 선한 의지의 인간들에게 평화.
라틴어 항목에도 있지만 라틴어는 단어 자체가 그 단어의 문법적 위치를 내포하고 있어서, 주어가 문장의 맨 뒤로 간다던지, 아니면 수식어와 피수식어 사이에 한 문장의 나머지 품사들이 전부 다 들어 있다던지 하는 일이 흔하다. 아래의 두 문장은 야고보서 3장 15절의 일부로, 주어로 쓰인 1격이 문장 맨 뒤로 간 문장의 예시. 2번째 문장을 보면 된다.
Et oratio fidei salvabit infirmum
믿음의 기도가 병자를 구원하고
et adlevabit eum dominus
주님께서 그를 하늘로 들어올리실 것이다.
1.2 2격: 속격(屬格, GENitivus)
속함(屬-)을 나타내는 격. 우리말로 '-의'[4]로 번역되는 명사는 전부 2격이라고 생각하면 대충 맞다. 그 외에도, '~에 대하여'(영어로는 about에 해당)라는 뜻도 있다. 기억에 관련된 동사는 이 때문에 목적어를 2격으로 가진다.
흥미로운 것은 영어의 속격에 해당하는 전접어 '-s'가 라틴어 3변화[5]의 -is와 비슷하다는 것이다. 또 영어도 라틴어처럼 단수 속격이 복수 주격이 동일한 경우가 많다. (예: equi = horse's/ horses, insulae = island's/ islands)
민중 라틴어에서는 점점 사라져가고, 그 대신 de + 탈격이 종종 쓰였다. [6]
In terra pax hominibus bonae voluntatis.
지상에 선한 의지의 인간들에게 평화.
주요 쓰임새를 분류하자면,
부분의 속격(genitivus partitivus)
pars hominum
사람들의 일부.[7] (=일부 사람들)
multitudo hominum
사람들의 많은 숫자. (=많은 사람들)
소유의 속격(genitivus possesivus)
domus amici
친구의 집.
성질의 속격(genitivus qualitatis)
res eius modi
이 종(種)의 것
대상의 속격(genitivus obiectivus)
amor Lesbiae
Lesbia(人名)에 대한 사랑
주체의 속격(genitivus subiectivus)
amor Lesbiae
Lesbia의 (누군가에 대한) 사랑
기억의 속격[8] (genitivus memoriae)
Memento Mori!
(사람들은)[9] 죽음을 기억할지어다!
1.3 3격: 여격(與格, DATivus)
간접 목적어를 생각하면 된다. 그 이름은 라틴어의 'datus'(주어진)에서 파생되었으며, 이것은 '줄 與'로 번역되었다. '누구에게'를 나타내는 격. 그 외에도 이해관계에 관련된 동사의 경우엔 직접 목적어를 여격으로 쓰기도 한다.
속격과 마찬가지로 민중 라틴어에서는 점점 사라져가고, ad + 대격이 가끔 대신 쓰였다.
In terra pax hominibus bonue voluntatis.
지상에 선한 의지의 인간들에게 평화.
Nobis datus
우리에게 주어진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쓰임새가 있다.
소유의 여격(dativus possessivus)[10]
domus mihi est(그 집은 나에게 있다.=그 집은 나의 것이다)
야기자(惹起者)의 여격(dativus auctoris)
liber mihi legendus est(그 책은 나에 의해 읽혀야만 한다.)
수익/피해의 여격(dativus commodi / incommodi . '이해 여격'이라고도 부른다.
Non scholae sed vitae discimus. (우리는 학교를 위해서가 아니라 인생을 위해서 공부한다)
목적의 여격(dativus finalis)
venio auxilio (나는 도움을 위해 온다.=나는 도우러 온다.)
관심 여격
추가바람.
1.4 4격: 대격(對格, ACCusativus)
직접 목적어, 혹은 지향성을 나타내는 격. 대부분 -m으로 끝난다. 일부 전치사 혹은 어떤 전치사의 일부 용법은 명사의 4격과 같이 다니기도 한다.(ad, versus, ultra 등) 어떤 전치사는 같이 쓰이는 명사가 대격이냐 탈격이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주로 대격과 함께 쓰일 때는 동적인 의미가, 탈격과 함께 쓰일때는 정적인 의미가 강해진다. 말하자면,
in
탈격: ~안에서(英 in)
대격: ~으로(英 into)
super
탈격: ~위에서(英 above)
대격: ~를 넘어(英 over)
sub
탈격: ~아래서(英 under)
대격: ~아래로(英 under)
이 외 라틴어 전치사의 용법에 관해서는 이곳(영문)을 참조.
주요 쓰임새로는,
직접목적어
Timeamus, et amemus Deum vivum.[11]
살아계신 하느님을 경외하고 사랑하자.
시간의 지속 기간
multos annos
다년간.
방향성(전치사 필요 없음)
Terram...
지구로...
대격과 쓰이는 전치사와 함께
Usque ad mortem.
죽음에 이르기까지.
Reductio ad absurdum
불합리로의 회귀. 귀류법. 귀류법을 다른 말로 '배리법'이라고 부르는데, 합리성을 배제하는 논증 방법이란 뜻으로, 라틴어 표현 직역이다.
1.5 5격: 탈격(奪格, ABLativus)
라틴어 명사에서 제일 까다로운 격. 일반적으로 전치사와 합성할 때 사용하지만, 그 외에도 정말로 많은 상황에서 쓰인다. 어떤 교재에서는 '명사를 부사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격'이라고 하던데, 뭐가 어쨌든간 라틴어를 배우는 사람이면 명사 5격과 동사 접속법이라고 하면 치를 떨 것이다. 어째서인지 개신교 성경에서는 라틴어 인명을 표기할 때 주격이 아닌 탈격을 사용한다.
이 격은 여러모로 라틴어의 모태가 된 그리스어에는 없는 격이므로, 로마인들은 '우리의 격'이라 부르며 자랑스러워했다.[12] 얘네들은 지중해도 '우리의 바다'(Mare Nostrum)라 불렀다. 그리고 현대 이탈리아어의 단어들도 보면 대표격으로 쓰이는 주격, 속격보다는 오히려 이 탈격의 형태에서 따온 것이 많다.
주요 쓰임새로는,
- 장소의 탈격(ablativus loci)
- In terra pax hominibus bonae voluntatis.
- 지상에 선한 의지의 인간들에게 평화.
- Ex libris
- 책에서 (영어에서 '장서표'라는 의미로 쓰이는 구절이다.)
- 시간의 탈격(ablativus temporis)
- Ora pro nobis peccatoribus nunc et in hora mortis nostrae.
- 지금과 우리의 죽음의 때에 우리 죄인들을 위해 기도해 주오.
- ※지속기간을 나타내는 시간의 대격과 달리, 어떤 일이 일어난 시점을 나타낸다.
- Video Caesarem hodie.
- 난 오늘 카이사르를 본다.
- 이는 영어에서도 시간을 나타내는 부사어는 전치사 없이 쓰는 것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I met IU yesterday. 지 I met IU in yesterday가 아니잖는가.
- 분리의 탈격(ablativus separationis)
- Libera me, Domine, de morte aeterna.
- 주여, 나를 영원한 죽음으로부터 구해주소서.
- Vagina Ferrum Erepuit.
- 칼집에서 칼을 뺐다. [13]
- 원인의 탈격(ablativus causae)
- 방법의 탈격(ablativus modi)
- 수단의 탈격(ablativus instrumenti)
- oculīs vidēre
- 눈으로 보다
- 동반의 탈격(ablativus sociativus)
- cum Marco ambulare
- Marcus와 산책하다
- 최고의 영예와 함께. [14]
- 한 마디 덧붙이자면, '~와 함께'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 전치사 Cum은 인칭 대명사를 받을 때는 전치사가 아니라 접미사로 작동한다. Miseria Et Dolor Tecum. (비극과 슬픔이 너와 함께[15])
- 성질의 탈격(ablativus qualitatis)
- 관점의 탈격(ablativus respectus)
- 비교의 탈격(ablativus comparationis)
- equus maior cane est
- 말은 개보다 크다.
이 외에 탈격 전용 전치사를 받아주는 역할도 한다.
- Pro(~앞에, ~전에, ~를 위해)
- Ora pro nobis peccatoribus nunc et in hora mortis nostrae.
- 지금과 우리의 죽음의 때에 우리 죄인들을 위해 기도해 주오.
- ※'~를 위해'의 용법은 언뜻 여격 같지만, 라틴어에서 3격이 전치사와 같이 쓰이는 예는 없다. 그냥 의미상 4격이랑 같이 다니는 게 안 어울리는 전치사는 모조리 5격이랑 같이 다닌다고 외워 두자.
- Sine(~없는. 英 without)
- Homo Sine Religio Est Sicut Equus Sine Freno.
- 종교 없는 인간은 재갈 없는 말과 같다.
1.6 6격: 호격(呼格, VOCativus)
명사로 지칭하는 대상을 부를(呼) 때 사용하는 격. -us, -ius로 끝나는 2변화 남성명사의 단수 호격만 -e, -ī로 바뀌고[16] 나머지는 주격과 동일하다. 때문에 맨 처음에 라틴어의 명사 변화를 가르칠 때만 6격을 가르치고 대명사 등의 표기에서는 5격까지만 표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O nata lux de lumine.
오 빛에서 난 빛이여.
Quo vadis, Domine?
어디 가십니까, 주여?
Et tu, Brute?
브루투스, 너도냐?
1.7 cf) 처격(處格, LOCativus)
장소(處)를 나타내는 격인데, 이거 쓰는 명사는 한 손에 꼽는다. 고대 인도유럽어족 처격의 흔적.
- 도시 이름
- 작은 섬. 로마인들에 의하면, 시칠리아, 사르데냐, 코르시카, 크레타, 키프로스 외에는 다 작은 섬이다.
그럼 그린란드는 어쩌라고 - 그 외에 몇 개 단어. 원래 4변화하는 domus의 단수 처격 domo 등.
그 외의 기능은 탈격으로 흡수되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처격은 '어디에'를 나타내는 기능이니, '어디로'같은 방향성을 나타낼 때는 대격을 써야 한다. e.g.,
Romae: 로마에서
Romam: 로마로
대부분의 라틴어 장소 이름은 1변화하기에, 처격도 1변화가 가장 많다.
1.8 cf) 구격(具格, INSTRumentalis)
형용사에 존재하는 격으로, 그 형용사를 '-하게'라는 의미의 부사로 만드는 격.
- 1,2변화 형용사는 -e, 3변화 형용사는 -iter 어미로 실현한다.
- 3변화 형용사 중 어간이 -nt로 끝나는 형용사는 그 뒤에 -er만 붙이면 된다.
1.9 으뜸꼴은?
사전에서는 1격과 2격을 모두 으뜸꼴로 쓴다. (예를 들면 anima는 주격, 속격, 성별 순으로 anima -ae f.라고 적혀있다.) 불규칙 변화하는 명사가 있을 수 있고, 명사 3변화는 주격의 형태가 어근과 다르기 때문.
2 몇 가지 팁
- 중성 명사는 무조건 1격과 4격이 같다. 불규칙 중성 명사가 성이 있는 명사의 변화를 빌려 쓰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 1,2변화는 복수 3,5격이 똑같고, 3,4,5변화의 복수 3,5격은 서로 매우 유사하다.
- 중성이 아닌 모든 변화에서 단수 4격은 m으로, 복수 4격은 s로 끝난다. 중성 복수 1격과 4격은 항상 a로 끝난다.
- 3가지 성이 모두 존재하는 명사(대표적으로 지시대명사)는 중성 복수와 여성 단수의 형태가 똑같다.
3 명사 제1, 2변화
<|3></blank> | 제1변화 | 제2변화 | ||||
1식 | 2식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1격 | -a | -ae | -us | -ī | -um | -ā |
2격 | -ae | -ārum | -ī | -ōrum | ||
3격 | -ae | -īs | -ō | -īs | ||
4격 | -am | -ās | -um | -ōs | -ā | |
5격 | -ā | -īs | -ō | -īs | ||
6격 | -a | -ae | -e | -ī | ||
형용사 구격 | -e |
주로 제1변화는 여성 제2변화는 남성을 맡는데, 3가지 성을 다 갖는 형용사나 지시대명사 등의 단어는 제1변화와 제2변화를 모두 갖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묶어서 표기한다. 다행히도 제1변화는 그리스어에서 온 불규칙 명사를 제외하고는 모든 변화가 이 하나로 끝난다. 제 1변화 불규칙 명사에 대해서는 라틴어/불규칙 활용을 참고하자. 제1변화 명사 일부는 복수형만을 쓰는 경우도 있다. (e.g. dīvitiae, -ārum, f. pl. 부, 재산) 제1변화를 쓰는 명사는 대부분 여성이다.
제1변화 일부 단어들의 복수 여격과 탈격은 가끔 -īs대신 -ābus로도 쓰이는데, 이는 보통 같은 뜻을 가진 제2변화 명사의 복수 여격과 탈격이 겹침을 막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지면, "신들과 여신들에게"를 쓸 때에 deus, -ī, m. (신)과 dea, -ae, f. (여신)의 복수 여격과 탈격이 같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고자 "Deīs deīsque" 대신에 "Deīs deābusque"로 써도 된다는 것이다.
제2변화 명사 중 일부는 단수 1격과 6격이 격어미가 없이 er로 끝나는데,(e.g. puer, puerī, m. 소년, 아이) 그것을 제외한 나머지는 정상적으로 격어미를 붙이며 제2변화 1식과 똑같이 간다. 이 때 er에서 e가 탈락하는 단어가 있고 탈락하지 않는 단어가 있다. (e.g. ager, agrī, m. 들판, 경작지)
라틴어 단어를 많이 보다 보면 어떤 단어에서 e가 탈락하고 어떤 단어에서 e가 남아 있을지 대충 감이 오지만 그 전까지는 그냥 외우는 수밖에 없다. 억지로 규칙을 정리하라면 할 수는 있겠지만 그러기 전에 그냥 외우는 것이 더 편할 것이다.
참고로 vir(vir, virī, m. 사나이, 남자) 역시도 제2변화 명사이다.
제2변화 1식은 주로 남성명사에, 2식은 중성명사에 쓰이는데, 2식은 단수 1격과 복수 1,4격만 제외하고 나머지는 제2변화 1식과 같기 때문에 나머지 칸은 가독성을 위해 비워 둔다. 하지만 이 규칙도 예외가 있어서, 나무 이름은 2변화 1식으로 쓰면서 여성이고, 직업이나 신분을 나타내는 단어 중 일부는 1변화로 쓰면서 남성이다. 또 advena 혹은 incola와 같이 제1변화 명사임에도 남성과 여성 어느쪽으로든 쓸 수 있는 명사도 몇 개 있다.
3.1 형용사 제1,2변화
형용사의 변화 구분은 교재마다 다르다. 허창덕 신부의 초급 라틴어를 비롯한 몇몇 교재에서는 형용사의 변화를 명사의 변화에서 이름을 따서 '제 1/2변화'와 '제3변화'로 나누고, 성염 교수의 라틴어 첫걸음을 비롯한 몇몇 교재에서는 앞에서 말한 '제 1/2변화'를 하나로 묶어서 제1변화, 그리고 앞에서 3변화라고 한 것을 제2변화라고 부른다.
이 문서에서는 형용사의 격변화를 명사의 격변화에 유비해서 보는 전자의 관점을 택하기로 한다.
형용사의 1,2변화는 위의 표를 그대로 사용한다.
4 명사 제3변화
<|3></blank> | 1식 | 2식 | 3식 | |||||
남/여성 | 중성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1격 | -ēs | -a | -ia | |||||
2격 | -is | -um | -ium | -ium | ||||
3격 | -ī | -ibus | ||||||
4격 | -em | -ēs | * | -a | -ia | |||
5격 | -e | -ibus | -ī | |||||
6격 | -ēs |
위에서 말했듯 제3변화 명사의 단수 1,6격은 어간과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그 칸은 그냥 비워 둔다. 어간의 형태과 단수 1격의 형태 사이에는 규칙이 있기는 하지만 그냥 단어만 외우다 보면 규칙은 알아서 들어와 있다. 규칙을 알고 싶다면 성염 교수의 고전 라틴어에 이 규칙이 설명되어 있다.
제3변화 명사로서 주격과 속격의 음절 수가 같은 남/여성 명사나, 성별 상관 없이 어간의 끝에 2개 이상의 자음이 있는 것들이 제3변화 2식 변화를 한다고 한다. 달라지는 점은 복수 2격밖에 없다.
1격이 -al, -ar, -e로 끝나는 중성 명사들이 제3변화 3식으로 변화한다. -e로 끝나는 명사는 이 -e를 떼고 격어미를 붙이고, 나머지는 1격에 그대로 격어미를 붙인다.
4.1 형용사 제3변화
<|2></blank> | 남/여성 | 중성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1격 | -ēs | -ia | ||
2격 | -is | -ium | ||
3격 | -ī | -ibus | ||
4격 | -em | -ēs | * | -ia |
5격 | -ī | -ibus | ||
6격 | -ēs | -ia | ||
구격 | -iter, -er[17] |
변화 형태 자체는 명사의 제3변화 제3식과 같다. 그런데 명사 쪽과 다른 점은, 형용사의 제3 변화에서는 1격의 어미가 몇 가지로 정해져 있다는 것. 굳이 나누자면 남성이 -er, 여성이 -is, 중성이 -e의 어미를 갖는 제1식과 남성 여성 모두 -is, 중성은 -e의 어미를 갖는 제2식, 그리고 3가지 성이 모두 같은 어미[18]를 갖는 제3식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유의해야 할 것은, 중성 명사의 경우 여기서도 1격과 4격을 똑같이 가져야 하기 때문에, 중성으로 쓰일 때와 중성이 아닌 성으로 쓰일 때 단수 4격이 달라진다는 사실이다. 그것을 주의하라고 오른쪽 표의 단수 4격에 별표를 넣어 놨다.
5 명사 제4변화
1식 | 2식 | |||
단수 | 복수 | 단수 | 복수 | |
1격 | -us | -us | -ū | -ua |
2격 | -ūs | -uum | ||
3격 | -uī | -ibus -ubus | -ū -uī | |
4격 | -ūm | -ūs | -ū | -ua |
5격 | -ū | -ibus -ubus | ||
6격 | -us | -us | -ū | -ua |
1식은 남/여성, 2식은 중성.
6 명사 제5변화
단수 | 복수 | |
1격 | -ēs | -ēs |
2격 | -ēī | -ērum |
3격 | -ēī | -ēbus |
4격 | -em | -ēs |
5격 | -ē | -ēbus |
6격 | -ēs | -ēs |
단수는 제1변화와 형태가 매우 비슷하다. 그렇다고 제대로 안 외웠다가는 복수에서 뒤통수를 맞는다. 다행히도 이 변화에 속하는 단어는 DIES와 RES를 제외하고는 복수가 없다고 하니...
- ↑ 이게 의역이 아니라 다른 형태의 직역이다. Tristis Est와 Anima Mea의 앞뒤를 끊어 직역한 것.
- ↑ 동사가 인칭을 가리키기 때문에 주어로써의 인칭 대명사는 자주 생략된다. 명시적으로 인칭 대명사가 있을 경우 해당 문장의 주어를 특히 강조하는 의미가 있다. 한국어에서 주어가 자주 생략되는 것과는 다른 개념인데, 한국어에서는 주어를 언급을 안 해도 문맥상으로 당연히 알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하는 것과는 달리, 라틴어에서는 주어의 인칭이 (그리고 당연하게도, 1,2인칭 동사의 경우엔 주어 자체가) 이미 동사에 써 있기 때문에 생략하는 것이다.
- ↑ 선한 의지의 인간들이란, 마음이 선한 인간을 가리킬 수도 있고 문맥에 따라 (신이) 선의/호의를 품고 바라보는 인간을 가리킬 수도 있다. 중의적 표현. 해당 예문은 라틴어판 대영광송 구절이라 기도문이다.
- ↑ 한국으로 치면 명사에 관형격 조사가 붙는 거라 보면 된다. 애초에 예전에는 관형격을 속격이라 부를 때도 있었다.
- ↑ 성염 교수의 고전 라틴어에 따르면 라틴어의 명사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3변화이다.
- ↑ de는 프랑스어나 스페인어의 de, 이탈리아어의 di 등으로 변하였으며, 영어의 'of'(소유)나 'about'(~에 대하여)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 ↑ 인칭 대명사에는 이 용도로 쓰이는 복수 2격이 형태가 따로 있다. 그래서 인칭 대명사에는 복수 2격이 2개다. (독일어 등을 배워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그의'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는 인칭 형용사라고 해서 단어가 따로 있기 때문에 인칭대명사는 '원래의 2격'이 나올 일이 잘 없다. 아래의 '기억의 속격' 때문에 남아 있는 것) 라틴어/대명사 참고.
- ↑ 라틴어에서는 기억에 관련된 동사는 목적어를 2격으로 갖는다.
- ↑ 동사가 '3인칭 미래 명령법'이다. 사실 3인칭 명령법은 학자에 따라서 존재하는지 자체가 논쟁의 대상이다. 하지만 한국에 풀려 있는 라틴어 교재에서는 대부분 3인칭 명령법이 존재한다고 가르치기 때문에 '3인칭 명령법'이라고 표기한다. 그리고 '3인칭 명령법'이란 아햏햏한 명칭에서 볼 수 있듯이 해석이 나름 난해하다.
- ↑ 3격 + esse는 1격 + habere로 치환할 수 있다. 후자의 의미는 '내가 ~를 가지고 있다.'
- ↑ 접속법이 쓰인 문장이다. 접속법은 단독으로 쓰이면 권유의 의미가 된다. 접속법을 한 마디로 정의하면, '현실이 어떤지는 상관없이 내 생각엔...'
- ↑ http://ja.wikipedia.org/wiki/%E5%A5%AA%E6%A0%BC
- ↑ 라틴어를 조금 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Vagina와 Ferrum이 무슨 뜻인지 알 것이다. '웃으면서 배운다' 라는 개념으로 첨가해 보았다. 참고로 성염 교수의 고전 라틴어라는 책에 실제로 나오는 문장이다.
- ↑ 어디서 많이 본 그 문장 맞다. 학교 졸업장에 단골로 쓰이는 멘트. 원래는 Cum Summa Laude가 맞지만 전치사 Cum은 이렇게 형용사와 명사 사이에 파묻히는-_- 일이 많다.
- ↑ Krypteria 2집 Bloodangel's Cry의 Sweet Revenge 中
- ↑ 그나마도 -er로 끝나는 2변화 남성명사는 1격과 6격이 같다.
- ↑ 어간이 nt로 끝나는 녀석은 뒤쪽, 다른 녀석은 앞쪽의 어미를 갖는다.
- ↑ 이 쪽은 명사의 제3변화처럼 단수 1격과 나머지 격들이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