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어사



1902년 8월 14일 범어사 조계문(일주문)

梵魚寺 / Beomeosa (Temple)

1 개요

부산광역시 금정구 청룡동에 위치한 . 금정산 중턱에 있으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이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어사역의 역명이 여기서 유래했다. 사실 겁나 멀지만 그나마 가장 가까운 역이긴 하다

2 역사

창건에 대하여는 2가지 설이 있으나, 그 중 삼국유사의 678년(문무왕 18)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는 설이 유력하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금빛이 나는 물고기가 하늘에서 내려와 우물에서 놀았다고 하여 금정산(金井山)으로 이름짓고 그곳에 사찰을 지어 범어사(梵魚寺)를 건립하였다고 기록하고 있다.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버려 10여 년을 폐허로 있다가 1602년(선조 35) 중건하였다. 그러나 또다시 화재를 당하였고, 1613년(광해군 5) 여러 고승들의 협력으로 중창하여 법당, 요사채, 불상, 시왕상(十王像), 필요한 모든 집기를 갖추었다.

범어사는 역사적으로 많은 고승대덕을 길러내고 선승을 배출한 수행사찰로 오랜 전통과 많은 문화재가 있는 곳이다. 의상대사를 비롯하여 원효대사, 표훈대덕, 낭백선사, 명학스님과 그 대에 경허선사, 용성선사, 성월선사, 만해 한용운, 동산선사 등 고승들이 수행 정진하여 한국의 명찰로서 그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1950년대 동산스님이 불교정화운동을 주도하였고, 이후 한국근대불교를 이끌었으며, 2012년 11월 선찰대본산 금정총림으로 지정되었다.

3 현황

현재 보물 제434호로 지정된 대웅전을 비롯하여 3층석탑(보물 250호), 당간지주(幢竿支柱), 일주문(一柱門), 석등(石燈), 동-서 3층석탑 등의 지방문화재가 있다. 이 밖에 많은 전각(殿閣), 요사, 암자(庵子), 누(樓), 문 등이 있다.

양익 큰스님이 선무도의 원형인 금강영관을 창시한 사찰이기도 하다.

2010년 12월 15일, 천왕문에 누군가가 방화를 저질러 전소되었다. 이 사건으로 예수쟁이가 저지른 짓이 아니냐고 뒤숭숭했으나 정작 이틀 뒤 잡힌 용의자는 개신교와는 관련이 없었다고 한다. 범어사 인근 어떤 암자에 사는 거사로 밝혀졌는데 자신이 뜻하는 소원이 이루어지지 않아 방화를 저질렀다고 한다. 2013년 3월 현재는 복원이 완료된 상태.

4 교통

위에 서술한대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범어사역이 있긴 하지만, 엄청나게 먼 데다 산 중턱까지 올라가야 하므로 여기서 내려서 걸어갈 생각은 얌전히 포기하는 게 좋다.(...) 운동 하는 셈 치고 올라가면 성인 남성기준으로 30분 정도 걸린다. 대웅전까지 15분 더걸리는건 함정

가장 좋은 방법은 범어사역 5번과 7번 출구 사이에 있는 골목길로 쭉 들어가다 보면 나오는 삼신교통 차고지에서 대기 중인 범어사 셔틀 버스부산 버스 90을 타는 것. 148번, 80번, 49번등도 삼신교통 차고지까지 도달하므로 이 버스들을 이용하여 90번으로 환승할 수도 있다. 물론 석가탄신일이나 수능 시즌은 방문객들로 차고지에서부터 헬게이트가 열리므로 주의.

차를 끌고 간다면 올라가는 곳과 내려가는 곳이 구분되는 일방통행이니 주의.

금정산성, 황령산과 함께 부산 업힐의 메카 중 하나이다.(그 밖에 이기대, 만덕, 개좌, 달맞이 등이 있지만..)

참고로 범어사로는 굉장히 특이한데 어느 정도 번화한 삼신교통 본사 일대[1]를 벗어나고 나면 상행길은 그야말로 사방이 나무밖에 안보이는 산지이지만 하행길은 상대적으로 탁 트여있고 카페나 음식점 등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5 기타 매체

소설가 김정한 선생의 <사하촌>[2]에 나오는 의 모델이 범어사가 아니냐는 얘기가 있다. 소설 속에 나오는 절은 농민들 위에 군림하면서 농민들을 착취하는 악랄한 절로 묘사되는데, 실제로 김정한 선생이 이 소설을 발표했을 당시 범어사의 땡초 스님들이 "저 놈 잡아죽여야겠다!!"며 집으로 몰려온 적이 있다고(…)[3]
  1. 흔히 팔송이라고 불리는 지역.
  2. 寺下村. '절 아래 마을'이라는 뜻이다.
  3. 실제로 김정한 선생이 태어나고 자랐던 생가는 범어사 산 밑에 위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