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왕

1 왕자가 왕(아버지)에게 지칭하는 표현 부왕(父王)

왕자가 자신의 아버지인 왕을 지칭하는 표현.

전한, 후한시대의 과거 중국에서는 세자가 왕을 이렇게 불렀다. 드라마 신삼국지에도 조비가 조조를 부왕이라 칭하는 장면이 나온다.

2 총독의 다른명칭 부왕(副王)

Viceroy

총독의 다른 명칭으로 유럽에서 규모가 큰 식민지를 다스릴 때 임명했던 총독. 정확히는 왕의 대리인이라는 뜻이다.[1] 따라서 부왕이지만 총독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도 간혹 있었다. 부왕의 황제 버전인 황제의 대리인인 부제도 있으나 이쪽은 조금 다른 역할을 수행한다.

총독과 큰 차이점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크고 인구가 많은 식민지를 지배하기 위해 총독보다 높은 호칭인 왕의 대리인이라는 뜻의 부왕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다. 부는 반장, 부반장할 때 그 부이다. 영어로는 vice-. roy는 왕이라는 뜻이다. 부왕비나 여성 부왕은 vicereine.

스페인의 아메리카 식민지나 인도 제국의 총독에게 부왕이라는 호칭을 주었으며, 왕의 대리인이라는 호칭의 특성상 부왕으로 임명되려면 귀족 출신이어야 했다.[2] 인도 제국 부왕을 마지막으로 부왕의 호칭은 전세계에서 더 이상 남지 않게 되었다.

2.1 부왕령

부왕이 다스리는 식민지는 부왕령(viceroyalty)이라고 한다. 보통 흩어진 여러 식민지들을 전부 통합적으로 지배하기 위한 상위 조직으로 설치되었다.

스페인의 에르난 코르테스아즈텍 제국을 정복하고 세운 식민지. 영어식으로 뉴 스페인이라고도 한다. 말 그대로 새로운 스페인이라는 뜻. 북아메리카의 스페인 령[3]뿐만 아니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필리핀이나 팔라우도 포괄하는 식민지였다. 수도는 멕시코 시티였다.
프란시스코 피사로잉카 제국을 정복하고 세운 식민지. 본래 현재 남아메리카의 스페인어권 지역 전부를 포함하는 남미 유일의 스페인 부왕령이었지만 18세기에 아래의 두 부왕령이 분리되어나갔다. 수도는 리마
  • 누에바 그라나다 부왕령
본래 그라나다 신왕국이라는 페루 부왕령 산하의 식민지였으나 1717년 부왕령으로 승격되었다. 현재의 콜롬비아, 에콰도르, 베네수엘라, 파나마가 있는 지역을 지배했다.
  •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
1776년 페루 부왕령으로부터 분리되어 설치되었다. 현재의 아르헨티나의 전신으로 볼리비아, 파라과이, 우루과이가 있는 지역도 포함되어있었다. 참고로 이 부왕령이 분리되어 나가면서 페루 부왕령에 남은 길쭉한 부분이 칠레가 된다.
영어식으로 뉴 프랑스라고도 한다. 누에바 에스파냐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프랑스라는 뜻. 1534년 프랑스의 탐험가 자크 카르티에가 세인트 로렌스 강을 탐험하여 그 일대를 프랑스 왕령으로 선언한 것을 시초로 한다. 현재의 퀘벡 주루이지애나의 전신이다. 수도는 퀘벡.

3 고조선의 왕 부왕(否王)

이 문단은 부왕(고조선)(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기자조선의 역대 국왕
기자??대 부왕 기부??대 준왕 기준
왕호부왕(否王) 또는 비왕(否王)
기(箕)
부(否)
생몰년도? ~ BCE 210년?
재위년도? ~ BCE 210년?

고조선의 왕. 비왕이라고도 하며 문헌상으로 이름이 전해지는 한국사 최초의 왕이다. 부왕 이전의 고조선의 왕 또는 단군의 이름은 시조인 단군왕검이나 즉위 여부 자체가 의심스러운 기자 같은 신빙성이 의심가는 것을 제외하면 이름이 전해지지 않는다. 기록은 소략하기 그지없지만 한국사에서 최초로 등장하는 이름이 전해지는 왕이기에[4] 행적에 비해 의외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국왕. 기자조선을 인정한다면 기자조선의 마지막 왕인 준왕의 아버지가 되며, 기자조선을 부정한다면 고조선 토착 왕계의 멸망 직전 왕이 된다.

진시황이 활동했을 무렵에 즉위한 것으로 보인다. 삼국지의 기록에 따르면 BC 214년, 시황제가 몽염을 시켜 만리장성을 쌓게 했고 이에 조선왕 부(否)는 진나라가 쳐들어올 것을 두려워해 진나라에 복종했다고 하나 입조하지 않았고, 그가 세상을 떠나자 그의 아들 준(準)이 즉위했다. 하지만 오히려 진의 멸망 직후에 팽창하는 모습을 보였으므로 명목상으로만 속국을 칭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대체적으로 기원전 210년경에 사망한 걸로 보이지만 기록이 없다 보니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부왕에서 준왕으로의 부자세습이 이루어진 것은 한국 사학계에서 국가의 일정한 발전으로 다루고 있다.
  1. 부왕(副王)이라는 표현은 진승 · 오광의 난에서 진승오광을 부왕에 임명했다는 기록에서도 찾을 수 있다. 여기서는 총독이라는 의미는 없다.
  2. 부왕이 되는 평민 출신도 많았지만 꼭 귀족 작위를 동시에 수여하여 논란의 여지를 막았다.
  3. 멕시코뿐만 아니라 현재는 미국 영토인 캘리포니아, 텍사스, 뉴멕시코, 애리조나도 포함된다.
  4. 그 이전에 조선후가 왕을 칭했다느니, 연을 치려 한다느니 하는 대목이 정사 삼국지를 통해 전해지기는 하지만 이름이 기록되지 않다 보니 문헌이 추가로 발굴되지 않는 이상은 이때의 재위했던 왕이나 단군의 이름을 전혀 알 수 없는 상태. 기자 조선 계보도가 전해져 내려온다고는 하지만 이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걸로 추정되는 만큼 신뢰성이 매우 떨어지며, 환단고기규원사화 같은 저서에서도 역대 단군의 계보도가 기록되어있다고는 하지만 저서 자체의 사료적 신빙성이 별로 없는 걸로 입증이 된 만큼 이 또한 신뢰성이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