內破音
자음의 분류 | ||||||||||||||
조음 방법 |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마찰접근음 | 접근음 | ||||||||
탄음 | 전동음 | 설측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
조음 위치 |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
성대 울림 | 유성음 | 무성음 | ||||||||||||
기식 유무 | 유기음 | 무기음 |
1 개요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내파음'은 성질이 다른 두 가지 종류의 음을 가리키는 용어다. 이는 일본 언어학계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두 종류의 음을 둘 다 '内破音(내파음)'이라고 섞어 불렀었다가[1] 이제는 기류가 안쪽으로 들어오는 음을 '入破音(입파음)', 기류가 막히는 음을 '内破音(내파음)'이라고 분류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기류가 안쪽으로 들어오는 음을 '내파음', 기류가 막히는 음을 '불파음(不破音)'이라고 분류하고 있다고 한다만, 당장 국어사전에서 '내파음'을 검색하면 나오는 결과는 '막히는 음'이니, 아직까지도 혼용되고 있는 듯 하다. 한국어로는 검색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당장 상단에 불파음=implosive라고 적은 용자가 눈에 띈다.
2 Implosive consonant
인두쪽에 힘을 주고 아래쪽으로 누름으로 인해 기류가 안쪽으로 들어오는 음. 인두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성대에서 입까지 사이의 길 내의 기압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 때 파열을 일으키면 기압 차로 인해 공기가 살짝 안쪽으로 들어오게 된다. 한국어에서는 절대 볼 수 없는 단어이며, 우리 입장에서나 웬만한 외국인의 입장에서나 조음 방법이 꽤나 괴상하기 때문에 이런 음을 가진 언어가 있을까 싶지만, 놀랍게도 전세계 언어의 13%에서 이런 류의 음이 발견된다고 한다. 하지만 그 언어는 대부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이나, 베트남어 같은 동남아 지역의 언어이니, 딱히 쓸 일은 없을 듯. 하지만 국제결혼으로 인해서 국내에 베트남 사람이 점점 많아지고 있는 중이라는 것이 함정
일단 기류가 안쪽으로 들어오는 음이긴 한데, 이는 어디까지나 후두를 아래쪽으로 누르고 파열을 일으킴으로 인해서 뒤따라오는 현상이고, 이 발음을 공기를 들어마셔서 발음하는 음이라고 인식하면 곤란하다. 어차피 공기를 들이마셔서 발음하려고 하면 파열 바로 다음에 오는 모음을 발음하기 힘들어진다. 파열이 일어날 때 뚫어뻥 뗄 때 나는 '뻥' 소리 비슷한 게 난다면 성공. [2]혹자는 입 비트박스에서 클럽 베이스 킥의 꿉 꿉 하는 그 소리라고도 한다
IPA에서는 유성음을 나타내는 기호만 있는데, 원래는 무성음을 나타내는 기호도 있었다가 별로 쓸모가 없다고 생각되었는지 1993년에 폐지되었다. 지못미
나무위키에는 자음에 대한 문서들이 조음 방법에 따른 분류가 아닌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로 만들어져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해당 문서들로 연결하는 것으로 대신한다.
3 Unreleased stop
흔히 '불파음'이라고 하면 이 발음을 뜻한다. 음이 제대로 터지지 않고 파열 도중에 기류가 막혀 버리는 음. 척 들어도 '막힌다'라는 느낌이 든다.[3] 따로 표기하는 기호가 마련되어 있는 'implosive consonant'와는 다르게 이쪽은 무성 파열음의 변종으로 취급되어 그냥 오른쪽 위에다가 'ㄱ'자 모양의 기호만 붙이는 거로 끝나며, 여기에 해당하는 음도 양순음(/p̚/), 치경음(/t̚/), 연구개음(/k̚/) 밖에 없다. 발음하는 방법은 그냥 고민할 것 없이 한국어의 받침 ㄱ(/k̚/), ㄷ(/t̚/), ㅂ(/p̚/)을 발음하는 것이다. 광둥어나 태국어에서도 이런 받침을 볼 수 있다. 한국어의 경우, 바로 뒤쪽에 파열음 또는 마찰음이 올 경우 막혀 있던 것이 터지면서 된소리(무기음)로 바뀌는 자음동화 현상을 일으킨다.
한국어의 무성음 받침이 전부 이렇게 기류가 막히는 음이라는 특성상 ㄷ받침이나 ㅅ받침이나 그 발음이 똑같을 수밖에 없었고 이는 중세 국어의 8종성법을 현대의 7종성법으로 변화시키는 데에 큰 역할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