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독립공원

1 개괄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에 위치한 시립공원. 별칭으로 '독립공원', '독립문공원' 이라고도 하며 1992년에 개장하였다.

원래는 일제강점기조선총독부가 애국자 및 독립운동가들을 체포하여 수감하였던 곳이었다가 해방 후에는 주로 정치 및 사회 범죄자들을 수감 및 감호(監護)하였던 '서울구치소' 가 있던 곳이었기 때문에 이 당시까지는 구치소 면회객을 제외하고는 일반인의 출입이 엄금된 곳이자 지역주민들까지 혐오와 기피를 하였던 곳으로 악명이 높았던 곳이었다. [1]

그러나 1987년 서울구치소가 지금의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하게 되면서 서울특별시법무부와의 합의하에 구치소 부지를 매입하여 공원조성화로 결정된 후 1992년 지금의 '서대문독립공원' 으로 개장하게 되었다.

개장 초기까지는 구치소 시절 남아있던 일부 노후시설에다가 특히 당시 연못 등이 일본식으로 되어있는 등 역사적 의미의 퇴색 지적 때문에 2009년에 재조성을 통해 일본식 정원을 전통 한국식 정원으로 교체하고 이후 애국자 및 독립운동가들을 숭모하는 성역(聖域) 역할도 하게 되었다.

참고로 옛 서울구치소는 1998년에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장하였으며 일제강점기 때 투옥 및 수감을 당했던 애국자 및 독립운동가들의 당시의 흔적을 전시하고 있다.

2 주요시설

2.1 독립문

2.2 독립관

원래는 '모화관(慕華館)' 이라 불리웠고 조선왕조명나라 사신을 접대하기 위한 영빈관 역할을 했던 곳이었으나 구한말 독립협회가 설립되어서 독립협회의 본사 역할을 하게 되어 이름을 '독립관' 으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일제가 이 건물을 대한독립을 부추기는 불온 시설로 간주하여 결국 일제에 의해 강제철거되었다가 1997년에 원래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본래는 단층짜리 한옥건물이었지만 현재는 지하층을 따로 개설하여 순국선열들의 업적 등을 전시하는 공간을 마련해 두었다.

2.3 서대문형무소역사관

2.4 순국선열추념탑

공원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1992년 공원 개장 때 공개되었고 탑에는 대한민국 14개 시도[2]를 의미하는 태극기들이 새겨져 있으며 벽면에는 윤봉길, 이봉창, 유관순, 김좌진을 비롯한 독립운동가들과 구한말 의병들, 그리고 일제에 의해 체포되어 사형장으로 연행되는 의병들의 모습이 새겨져 있었고 그 아래로 '순국선열추념기(記)' 가 새겨져 있다.

2.5 3.1 독립선언 기념탑

원래 탑골공원에 있던 것을 복원한 것으로 1992년에 공개되었으며 중앙에는 만세운동을 하는 독립운동가들의 모습을 새긴 동상이 있고 벽면에는 기미독립선언문 원문 구절과 좌우로 독립에 대한 불굴의 의지를 태우는 애국자들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2.6 영은문 주초(柱礎)[3]

독립문 앞면에 위치해 있으며 두 개의 돌기둥이 세워져있다. 영은문(迎恩門)은 조선왕조가 명나라 사신들을 환영하고 접대하기 위해 만든 관문으로 구한말 때인 1896년에 철거되어 그 자리에 지금의 독립문을 세웠다.

3 일화 및 여담

주로 노인층들이 찾는다는 곳인데다가 독립을 주제로 한 공원이라는 점 때문에 일각에서 '서대문 탑골공원' 또는 '제2 탑골공원' 이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서울구치소가 존재했던 시절 서울특별시의 활발한 발달이 있었던데다가 지역주민들이 구치소를 혐오 및 기피시설로 낙인하고 지역상권 등을 저하시킨다는 영향 때문에 이전 요구까지 생겼다. 서울특별시 도심 한복판에 구치소가 있다는 것이 부적합하다는 정부의 판단에 따라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이 결정되었다.
  1. 서대문 형무소터의 경우 독립투사의 귀신들을 봤다는 목격담 및 도시전설이 2000년대 이후로도 종종 있었다.
  2. 이 탑은 1992년 당시 기준으로 세운 것이었기 때문에 광역시권의 경우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光州), 대전광역시까지만 의미하고 있다. 참고로 울산광역시는 그 당시 경상남도 시(市) 관할로 있었기 때문에 경상남도의 일부에 속했다가 1997년에 광역시로 승격되어 경상남도에서 분리독립하였다. 2012년에 옛 충청남도 연기군이 세종특별자치시로 분리독립하여서 시도 수가 증가했지만 당시에 만든 구조상 개조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3. 주춧돌 기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