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춘추전국시대)

중국의 역사
中國史
기원전 1600 ~ 기원전 206기원전 206 ~ 907년
907년 ~ 1644년1616년 ~ 현재
중국의 역사 기원전 1600 ~ 기원전 206
기원전 1600 ~ 기원전 1046상(商)은(殷)
기원전 1046 ~ 기원전 256주(周)서주(西周)
동주(東周)/춘추전국(春秋戰國)춘추(春秋)
전국(戰國)
기원전 221 ~ 기원전 206진(秦)
후초(後楚)

1 개요

宋. 중국서주시대부터 존재하던 국가. (기원전 1040년? ~ 기원전 286년)

의 왕족이자 주왕의 이복형 미자계가 분봉받은 나라다. 수도는 상구(商丘)로, 지금의 하남성 상구현 남쪽 일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국성은 자(子)씨였다.

(周)가 통일한 직후에 받은 땅이 중원의 제후국 중에서 손에 꼽을 정도였고 그 작위는 모든 제후국 중에서도 으뜸가는 공작이었다. 공신 (齊)나라의 태공망이 후작인걸 감안하면 엄청난 지위인데 그 이유는 송의 시조가 은의 왕족이기 때문으로 공작의 거의 대부분은 주나라 왕족들이었는데 대표적으로 소공의 [1], 주공의 소주[2]가 대표적이다.

무엇보다도 이렇게 우대를 받은 이유는 비록 을 멸망시키기는 했으나, 지배국가였던 만큼 은의 국력이나 문명 수준이 주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멸망당한 은의 유민들도 자존심이 강해서 주에 쉽게 복종하지 않았고, 높이 대우하여 그들을 회유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미자계가 후손없이 사망하자 그의 아우 미중연이 뒤를 이었고 이 후 미중연의 자손들이 대대로 세습하게 된다. 춘추시대 초기 때만 해도 (鄭), (衛)와 함께 큰 세력이었으나, 제(齊), (晉), (楚)가 강성해지자 그 사이에 끼여 혼란을 겪었으며, 송양공이 제환공 사후에 중원의 혼란기를 수습하며 패권을 계승하려고 하였으나, 회맹에서 등나라라고 하는 작은 나라 군주인 선공이 오지 않자, 등나라를 치겠다고 결의하려 했다. 그러나, 공공(共公)이 이를 거부하자 조나라로 쳐들어갔다. 하지만 조나라도 만만치 않았고, 공공도 직접 군사들을 지휘하면서 송과 둘 다 망하던지 할 정도로 필사적이라서 결국 흐지부지 물러나야 했다.(고우영십팔사략 만화책 2권을 보면 이 조나라 공공이 촐싹맞다고 것만 나오지만 그럭저럭 재능이 있던 사람이었다.)

기원전 639년 다시 한번 회맹을 열지만 이 자리에는 강대국인 초나라 성왕이 참석하는 통에 뭔가가 이상했다. 이복형 목이는 이 자리에 가지 말라고 몇 번이나 충고했지만 고집부리면서 양공은 참석했고, 목이의 예상대로 함정이었다. 초나라는 잡은 양공을 인질로 송나라에게 여러 요구를 제시하지만, 송나라는 이를 비웃듯이 목이를 새 송공으로 앉히고, 결사항전을 하려고 했기에, 초 성왕은 그냥 양공을 풀어준다. 그리고 목이는 군말없이 신하들 결사반대를 뒤로 하고 왕위를 양공에게 돌려준다.

기원전 638년 양공은 설욕을 하고자 초나라와 동맹국인 정나라로 쳐들어간다. 초나라는 정나라를 돕고자 병력울 동원했고 두 군대는 홍수 전투에서 맞붙는다. 이 전투에서 강을 끼고 양군이 대치중 군이 성급하게 도강을 시작하여 진형이 무너졌다.목이와 다른 신하들이 지금 군을 쳐야 한다고 했으나, 군자의 풍모가 물씬 풍겼던 송양공은 군자가 어찌 상대의 어려움을 틈타 공격한단 말이냐. 면서 군이 도강을 완료하고 진형을 재정비 할때까지 기다렸고, 이후 정정당당하게 공격했다. 결과는 뭐 굳이 설명안해도...스포츠 였다면 매우 훌륭한 행동이었을 것이다. 이후 '아무 실속없는 대의명분만을 내세우다가 한방에 훅가는' 이런 행태를 '송양지인'이라 일컬으며 2천년 넘게 까이고 있다. 극히 일부는 그를 찬양하지만[3], 대다수 평은 허세로 아주 나랄 말아먹을 짓이었고 더불어 그도 말아먹었다. 이 전투에서 초군이 쏜 화살에 중상을 입은 그는 1년도 안가 결국 죽었기 때문이다. 목이가 재상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양공의 아들 성공을 보좌하며 그나마 아주 송나라 멸망을 막아내고 어느 정도 나라를 크게 회복시킨 걸로 보아...양공보다는 이복형 목이가 훨씬 군주에 어울렸다. 아니 되려 목이가 송나라 공위를 이어받았더라면 초나라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춘추오패로 이름을 알렸을 것이라는 주장까지 있다.

이 송양지인 일화는 조광조의 일화와도 흡사하다.

춘추시대 중기에 기원전 546년에 화원, 상술과 같은 유력 귀족들에 의해 정전회의라 하여 평화를 이룩하여 위신을 높이는 등의 각국의 외교를 지도하였으나 전국시대에 이르러 점차 쇠퇴하였다. 그런데 기원전 328년에 뜬금없이 각성하여 제(齊), 초(楚), (魏) 등을 격파하여 영토를 확대하였다. 이때 군주가 언이었는데 그는 자칭 왕이었으므로 강왕이라고 부른다. 강왕은 송나라 유일의 왕으로 형 척성을 몰아냈는데 송나라를 부흥시키기 위해 노력한 결과 제법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자신이 초인이라는 걸 보여주기 위해 높은 장대에 소피를 담은 자루를 걸고 화살을 쏘아 하늘을 맞혀 피가 나는 것 처럼 보이게 했다.[4] 신하들과 잔치를 열어 음주 대회를 했는데 그는 열 말을 들이켜도 취하지 않았다. 왜냐면은 그가 먹는 건 이 아니라 꿀물이었기 때문이었다. 또 신하 한빙의 아내를 뺏고[5] 결국 왕호를 자칭하고, 형을 몰아내고, 약한 나라를 치고[6], 강한 나라[7]에게는 빌붙는 등 10가지 악행을 내건 제(齊), 초(楚), 위(魏) 등의 공격을 받고 기원전 286년에 멸망한다.

은의 후신인 만큼 주나라 계열의 다른 제후국과는 다른 특이한 풍속이 많았다고 전해진다. 또한 그에 관련하여 송나라에 대한 특이하면서도 우스운 고사들이 많이 전해지는데, 대표적인 것이 수주대토발묘조장. 주나라 시대 이후 우스꽝스러운 일이 있으면 덮어놓고 송인(宋人)의 소행이라 기록할 정도로 송나라를 희화화 하는 기록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송이 은의 후신이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후대한 것과는 별개로, 전 왕조의 후신이기 때문에 정통성을 주장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의도적으로 그들에 대한 것을 희화화하고 폄하하여 기록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2 역대 군주

1. 미자(微子) 계(啓): 상나라 주왕의 큰형으로 한경제의 휘와 같아서 <사기>에서는 개(開)로 기록되었다.
2. 미중(微仲) 연(衍) : 미자의 동생
3. 계(稽): 미중의 아들로 폐위된 군주가 아닌데도 시호가 전해 내려오지 않는다.
4. 정공(丁公) 신(申): 계의 아들
5. 민공(湣公) 공(共): 정공의 아들
6. 양공(煬公) 희(熙): 민공의 동생으로 송양지인으로 유명한 그 분과 무관하다.
7. 여공(厲公) 부사(鮒祀): 민공의 아들로 숙부 양공을 시해하고 즉위했는데 즉위 전 불보하(弗父何)를 임금으로 세웠으나, 거절당해 본인이 즉위했다고 한다.
8. 희공(釐公) 거(擧): 여공의 아들
9. 혜공(惠公) 한(覵): 희공의 아들
10. 애공(哀公): 혜공의 아들
11. 대공(戴公) 백(白): 애공의 아들로 태자 사공을 제외한 대공의 나머지 아들들인 공자 충석, 열, 간에게서각각 황보씨(皇甫氏), 화씨(華氏), 악씨(樂氏)가 갈려나와 송나라 유력 가문으로 발전했다.
12. 무공(武公) 사공(司空): 대공의 아들로 이름이 사공이라서 피휘를 위해 송나라는 관직 사공의 이름을 사성(司城)으로 바꿨다..
13. 선공(宣公) 역(力): 무공의 아들
14. 목공(穆公) 화(和): 선공의 동생으로 임종 때 대사마 공보가를 불러다 자신의 아들 빙 대신 형 선공의 아들 여이에게 군주 자리를 맡겼다.
15. 상공(殤公) 여이(與夷): 선공의 아들로 주나라 환왕(周桓王)이 정 장공을 공격하다 정나라 대부 축담에게 어깨에 화살을 부상을 당하고 대패하자 상공은 정나라를 치기 위해 곧바로 송나라 땅에서 제후들을 불러모은 뒤 환왕에게 정을 쳐도 좋다는 윤허를 받았다. 하지만 상공의 진짜 속셈은 정나라에 망명 가 있던 사촌 공자 빙을 죽이려는 것이었다. 상공은 곧 진(秦), 진(陳), 조(曺), 위(衛)등 네 나라를 이끌고 정나라 역성을 점령하고 수도 정성을 향해 진격했다. 정 장공은 그 속셈을 알고 공자 빙을 장갈로 보내 송나라군대를 유인하고 네 나라의 군사들을 모두 돌려보냈다. 공자 빙은 정나라와 협공해 장갈과 역성에서 승리를 거둔 뒤 송나라 군대를 물리쳤다. 그 후 상공과 대부 화독이 사이가 나빠지기 시작하자 화독은 장차 자기가 상공에게 죽으리라는 것을 알고 먼저 선수를 치기로 했다. 결국 상공은 화독의 자객들에게 수도에 입성하던 도중 시해당했다.
16. 장공(莊公) 빙(馮): 목공의 아들로 아버지가 자기 대신 사촌 상공에게 군위를 넘겨주자 정나라로 망명했다. 자길 죽일려고 정나라를 공격한 상공을 정나라의 힘을 빌려 격파하고 때마침 대부 화독이 상공과 공보가를 죽이자 군주로 옹립되었다. 이후 정 장공이 죽고 정나라의 내분에 관여하여 송나라에 온 정나라 재상 채중을 사로잡고 협박해 송나라와 인척인 공자 돌을 정 여공으로 세우도록 압박했다.
17. 민공(閔公) 첩(捷): 장공의 아들로 남궁만(南宮萬)을 보내 노나라를 공격했으나, 대패하고 남궁만은 사로잡혔다. 남궁만은 풀려났으나, 같이 사냥을 하다 남궁만을 노나라 포로라고 모욕했다가 격분한 남궁만에게 시해당했다.
18. 유(游): 민공의 동생으로 민공을 시해한 남궁만에게 옹립되었다. 하지만 남궁만이소탕되면서 결국 도성에서 죽음을 당했다.
19. 환공(桓公) 어열(御說): 민공의 동생으로 그의 아들 공자 목이, 공자 탕, 공자 인, 공자 상에게서 어씨(魚氏), 탕씨(蕩氏), 인씨(鱗氏), 상씨(向氏)가 파생되었다.
20. 양공(襄公) 자보(玆父): 환공의 아들로 송양지인의 주인공이다.
21. 성공(成公) 왕신(王臣): 양공의 아들
22. 어(禦): 성공의 아우로 성공이 죽자 태자와 대사 공손고(公孫固)를 죽이고 스스로 즉위했으나, 결국 송나라 사람들에게 죽음을 당했다.
23. 소공(昭公) 저구(杵臼): 성공의 아들로 어를 죽인 송나라 사람들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결국 시해당했다.
24. 문공(文公) 포(鮑): 소공의 아우
25. 공공(共公) 하(瑕): 문공의 아들
26. 평공(平公) 성(成): 공공의 아들로 형 태자 비(肥)가 사마 탕택(蕩澤)에게 살해당한 후 옹립되었다.
27. 원공(元公) 좌(佐): 평공의 아들로 평공이 참소를 듣고 형이자 태자 좌(痤)가 자결하면서 태자로 책봉되었고 그 후 즉위했다.
28. 경공(景公) 난(欒): 원공의 아들
29. 계(啓) : 경공의 종손으로 경공은 아들이 없어서 동생 공자 서진(褍秦)의 아들 공손 주(周)의 두 아들 득(得)과 계를 길러 후계자로 삼을려고 했다. 그러나 경공이 결국 태자를 세우지 않고 죽자 신하들이 계를 옹립했다. 하지만 주요 신하들인 여섯 경(卿)은 이에 반대하여 백성들에게 형인 득을 제치고 계가 선 것은 옳지 못하다고 하자 백성들이 이에 동조했다. 여섯 경이 마침내 득을 세우자계는 초나라로 달아났다.
30. 소공(昭公) 득(得): 원공의 증손이자 계의 아우
31. 도공(悼公) 구유(購由): 소공의 아들
32. 휴공(休公) 전(田): 도공의 아들
33. 환공(桓公) 벽병(辟兵): 휴공의 아들
34. 척성(剔成): 환공의 아들로 재위 41년만에 아우 언에게 쫒겨났다.

35. 강왕(康王) 언(偃): 척성의 아우로 형 척성을 몰아내고 군주가 되었으며 재위 10년 만에 왕을 칭해 송나라의 최초이자 마지막 왕이 되었다. 강왕은 호전적으로 약소국이나 속국들을 멸망시키고 폭군이 되어 신하의 아내를 빼앗거나 간언하는 신하에게는 숙청하는 등 공포 정치를 하여 국내외로 송의 걸왕으로 불렸다고 한다. 그러한 구실로 그는 상나라의 폭군인 주왕의 자손이며[8] 그가 재래했으니 협력하여 없애야 한다는 제나라, 위나라, 초나라의 연합군에 패배하고 피살되어 송나라는 멸망한다. 송나라 영토는 세 나라에 3조각으로 나눠졌으며 상나라의 피를 이어받은 왕조는 완전히 끊어졌다.
  1. 나라를 받았지지만 백작국이었고 소나라는 공작국이었다. 소공은 자신의 봉국인 소나라를 다스리고 주나라 경사라서 주나라에 머물러 있어야 했기 때문에 그의 장남 극에게 연나라 군주 자리를 넘겼다. 그리고 소공은 다른 아들에게는 소나라 공작 겸 경사 자리를 넘겼다. 소공의 시호는 소나라 강공이다.
  2. 주공도 주나라 공작과 노나라 후작 자리를 겸했기에 장남 백금에게 노나라를 주고 차남 군진에게 주나라 공작 자리를 주니 그가 주평공이다. 주공의 시호는 주나라 문공이다.
  3. 그러나 '그 극히 일부'가 공자사마천과 같은 사람들이기에 대놓고 무시하기는 어렵다.
  4. 이건 그의 먼 조상이었던 은나라 왕 무을이 시전했는데 그는 우상을 만들어 같이 도박하고 우상을 목베고 강왕과 똑같은 짓을 했다가 벼락 맞고 죽었다.
  5. 한빙과 그 아내는 자살했다. 화가 난 강왕은 합장해 달라는 그 아내의 유언을 무시하고 따로 매장했지만 두 무덤에서는 나무가 자랐고 결국 붙었는데 여기서 상사병이라는 말이 유래했다.
  6. 나라 같은 소국을 멸했다.
  7. (秦)나라를 말한다.
  8. 다만 주왕의 작은형 미중의 후손이므로 직계의 후손은 아니다.